대국굴기 - 세계를 호령하는 강대국의 패러다임
왕지아펑 외 7인 지음, 공병호 감수 / 크레듀(credu) / 2007년 8월
평점 :
절판


비교적 생소한 단어인 '대국굴기'에서 大國은 근현대 세계역사상 한 페이지를 장식한 국가
(포르투갈/스페인' '네덜란드'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러시아' '미국')를 지칭하고
堀起('산처럼 솟구치며 일어서다' 라는 뜻)는 성장스토리를 의미한다.

중국 CCTV가 3년여 동안 제작하여 방영한 12부작 다큐멘터리 '대국굴기'는 중국 뿐 아니라,
국내에도 소개되어 많은 화제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이 책은 12부작 다큐멘터리를 집약하여 9개 강대국의 흥망사를 한 권에 정리한 요약본 성격으로
다큐멘터리 제작에 참여했던 8명의 전문가들이 영상에서 제공할 수 없었던 보다 심층적인 내용을
핵심중심으로 정리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은 당시의 강대국들이 바다로 진출할 꿈도 꾸지 않을 때인 15세기,
먼저 바다로 눈을 돌려 블루오션을 찾았고 그 결과 새로운 발전 모델을 제시하였다.

17세기, 좁은 국토에 그나마도 항상 바닷물의 위협을 감수해야 했던 소국 네덜란드가
전 세계의 상권을 장악하고 대국으로 일어나 세계의 중심에 설 수 있었던 비결은
안전까지도 사고 팔았던 철저한 바다의 상인이었기에 가능하였다.

전 세계 면적의 0.2%, 인구 2천만명에 지나지 않았던 섬나라 영국이
세계에서 제일 부유하고 '해가 지지 않는 제국'을 건설한 원동력은 산업혁명을 주도하였기 때문이다.

시대를 막론하고 유럽 대륙에서 결코 무시할 수 세력을 가졌던 프랑스의 저력은
혼돈 속에서도 새로운 질서를 창조해 나간 힘이 바탕이 되었다.

19세기 후반 정치적 통일을 이룬 독일은 중앙집권식 강력한 국가권력을 중심으로
아주 짧은 시간 안에 폭발적으로 강력한 국력을 키웠다.

아시아의 작은 섬나라 일본 역시 정치적 통일후 이를 바탕으로 적극적인 개방정책을 통하여
아시아 다른 나라들이 서구 식민지로 전락한 가운데에도 서구와 맞먹는 국력을 키웠다.

전통적으로 팽창을 꿈꾸던 러시아는 1차 세계대전 이후 사회주의 혁명을 성취하고
한 때 세계의 거의 절반을 호령하는 정치대국으로 성공가도를 달렸다.

유럽 이민자들이 세운 나라 미국은 도전과 스피드를 바탕으로 200년의 짧은 역사 속에서
현재 초강대국으로 세계의 패권을 쥐고 있다.

이 책은 서문에서
'역사는 오늘을 직시하고 미래를 창조하는 거울이다. 그러기 때문에 강대국의 역사는
지금 강대국으로 성장을 꿈꾸고 있는 국가들에게 더 큰 의미를 갖는다'고 적고 있다.

이 책이 기업의 CEO나 비즈니스맨 중심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것도
강대국의 성장 패러다임을 통해 기업경영에 적용 가능한 교훈을 얻고자 함일 것이고,
강대국의 흥망성쇠에 대한 전 세계 석학들의 통찰력 있는 견해를 담고 있어
일반인을 위한 교양서로도 유용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