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살전에 사람됨을 가르쳐라
문용린 지음 / 갤리온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부모들은 사랑하는 자녀가 성공하길 바란다.

성공의 열쇠는 남 들보다 더 많이, 더 잘 배우는 것에 있다는 오랜 믿음으로
오늘도 부모는 생활비를 아껴 사교육비를 마련하고,
아이는 아이대로 이런저런 '학습'에 빡빡한 일과를 보내고 있다.
좀 더 나은 교육환경과 기회를 자녀에게 주고픈 바램은
'기러기 아빠'라는 신조어가 유행할 만큼 조기유학의 열풍을 가져왔다.
 
이러한 교육광풍의 시대에 지은이는 성공의 키워드로 '도덕'을 내세운다.
지은이의 주장은 단호하다.
"도덕 능력이 떨어지는 아이는 10년 뒤 결코 살아남을 수 없다"
즉, 학력을 비롯한 모든 것이 월등하다 해도 단 하나 결정적으로 부족한 것이 있다면
결코 성공할 수 없고, 그 결정적인 한가지가 바로 '도덕 지능(Moral Intelligence)'이라는 것이다.
 
'도덕 지능'이란 옳고 그름을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나아가 자기만의 윤리적 신념에 따라
행동에 옮기는 능력을 말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타인의 고통에 공감하는 능력', '욕구충족을 다음으로 미룰 줄 아는 능력'
'의견을 조율하는 능력', '옳다고 판단되는 일을 행동으로 옮기는 실행력'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 도덕 지능을 키우는 교육은 빠르면 빠를수록 좋으며, 열 살 전에는 모두 끝내야 한다고
지은이는 주장하다.
그 이유는, 사람다운 행동을 하게끔 만드는 도덕 능력은 뇌의 '전두엽'의 역할이라고 하는데,
만일 어릴 때 전두엽이 손상되면 사회적으로 용납이 안 되는 범죄적 행동을 서슴없이 저지르지만,
성인이 되어서는 전두엽에 손상을 입었더라도 상식에는 어긋날지언정 사회적으로 용납 불가능한
행동을 저지르지는 않는다고 한다.
어려서부터의 충실한 도덕교육이 중요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는 것이다.
 
부모의 역할이 자녀의 '성공'을 도와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자녀를 '행복'하게 만드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성공'이 얼마만큼의 '행복'을 가져다 주는 지에 대해서는 깊게 생각하지 않고
무조건 성공을 향해서만 내달리는 요즘의 세태에
'성공'과 '행복'에 대하여 생각할 거리를 던져 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