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ger See Learning 타이거 시 러닝
박연선,박길선 / 동아일보사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서울에서 부산까지 가장 빨리 갈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비행기? KTX? 자동차?

정답은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가는 것' 이라고 한다.
물리적인 시간과 인간이 감각으로 느끼는 시간은 이렇게 차이가 있다.
현대인들은 물리적인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서
도로를 만들고, 터널을 뚫고, 다리를 놓고, 더 빠른 탈 것을 만들어 내었다.

부산이 고향이라 학생 때부터 수 년을 서울과 부산을 오고 갔었다.
언젠가 KTX를 타고 고향으로 가며, 창 밖으로 휙휙 지나치는 풍경을 보다 말고 문득,
2시간 가까이 단축된 고향 가는 길이 얼마나 나에게 행복을 주었나를 생각해 본 적이 있다.
물리적인 공간과 공간이 가까워 진 만큼 우리들 마음의 공간도 그 만큼 더 가까워졌을까?
한참을 생각하였다.

이 책은 학습법에 관한 책이다.
좀 더 부연하면 초고속 속독법에 대한 방법을 제시하는 책이다.

우리는 왜 책을 읽을까?
지식 습득을 위해서, 혹은 정보를 얻기 위해서와 같은 실용적인 목적도 있고
글을 읽어야 하는 직업상의 목적도 있고, 단지 즐거움을 구하기 위해 책을 읽기도 한다.

즐거움을 얻기 위한 책 읽기가 빨라야 할 필요가 있을까?
이는 아름다운 풍경을 감상하기 위한 관광열차의 속도가 빠르지 않는 것과 같다.

하지만, 실용적인 목적으로 책을 읽어야만 한다면 이러한 속독법이 유용한 사람이 있을 것이다.
이 책의 지은이는 호랑이의 사냥법에서 착안하여 'Tiger See'라는 학습법을 개발하였다.

Tiger See Learning의 원리는 글을 읽지 말고 보라는 것이다.
글을 보는 것만으로도 인간의 잠재의식 속에 이미 기억으로 담겨져 있게 되므로,
글을 보고 나서 의식적으로 자신이 본 글에 대해서 한번 생각해보고
그 잠재의식 속의 기억을 끄집어 내기만 하면 수 많은 글들도 단지 몇 초만에 머리에 집어 넣고
사용 할 수 있는 능력이 개발 될 수 있다고 한다.

사실, 이 책을 한 번 읽고서는 잘 모르겠다
하지만, 설명이 구체적으로 잘 정리되어 있으므로
이 책에서 제시된 방법으로 반복 연습을 할 생각이다.

만약, Tiger See Learning을 마스터 하더라도, 과연 느릿느릿 소설 읽는 재미를 버릴 수 있을까?
아마, 그 즐거움은 포기하지 못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