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작에게 길을 묻다 2
송정림 지음, 유재형 그림 / 갤리온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마크 트웨인이 말하길
'고전이란 누구나 읽었더라면 하고 원하면서도 실은 누구나 읽기를 싫어하는 책,
그게 바로 고전이다'고 했다.

이 책은 누구나 한 번쯤 이름은 들어 보았고, 또 누구나 한 번쯤은 읽으려고 마음 먹기도 했을
고전 명작 소설의 줄거리를 요약하고 작품에 대한 지은이의 간단한 느낌을 담고 있다.
 
총 7개 테마에 41편의 소설을 소개하고 있는데,
'세익스피어'의 '베니스의 상인'에서 부터 최근작인 '트레이시 슈발리에'의 '진주 귀걸이 소녀'까지
소개하고 있고, '톨스토이'의 '부활' '단테'의 '신곡'과 같은 읽기가 쉽지 않는 작품이 있는 반면,
'콜린 맥컬로'의 '가시나무 새'나 '바스콘셀로스'의 '나의 라임오렌지 나무'와 같은 대중적인 소설도
보이고, '소나기' 등 한국의 단편도 3편이 포함되어 있다.
 
작가는 소설의 줄거리를 먼저 풀어 주고, 독자에게
'살아야 하는 이유, 견뎌야 하는 이유, 사랑하는 이유, 그 사랑을 멈추지 말아야 하는 이유,
용서해야 하는 이유, 용감해야 하는 이유' 등 생의 순간 순간마다 우리를 번뇌케 하는 의문들을
명작 속에 담겨 있는 진리로 설명한다
 
매일 쏟아져 나오는 새로운 책들의 홍수 속에서 우리는 왜 고전 명작을 읽는가?
당대에는 최첨단을 걸었을 작품임에 틀림 없으나,
현대를 살아 가는 우리의 감각으로는 낡아 보이는 고전 소설을 읽는 이유는
시대의 흐름에도 불구하고 사랑과 미움, 환희와 비애, 욕망과 좌절 등
원초적인 감정에 갈등하는 인간상에 대한 생생한 묘사와
인간과 사회 그리고 인생에 대하여 깊이 생각할 수 있는 여지를 주기 때문이다.
 
예컨데, '모파상'은 '비계 덩어리'에서
소위 교양있는 사람이라 불리는 집단의 위선과 탐욕을 꼬집는 동시에
인간 본성에 내재된 이기심을 무서울 정도로 묘사한다.
 
'상인' '정치가' '귀족' '민주주의자' '수녀'로 대표되는 '교양집단'이
상황의 변화에 따라 한낱 '매춘부'에게 행한 '의도적 무시' '찬양' '설득과 회유' 그리고, '무시와 멸시'는
시대와 관계없이 인간이 약자에게 향한 집단적 폭력성을 섬뜩하게 보여 준다.  
  
이 책은 단 번에 읽을 것이 아니라,
머리맡에 두고 한편 한편씩 음미하며 읽기에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