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에이프릴 풀스 데이 - 상 - 데이먼 코트니는 만우절에 떠났다
브라이스 코트니 지음, 안정희.이정혜 옮김 / 섬돌 / 2007년 3월
평점 :
품절
나는 지금까지 혈우병에 대해 잘못 알고 있었다. 나는 지금까지 에이즈에 대해 잘못 알고 있었다. 이렇게까지 힘들고 아픈 병인 줄 모르고 혈우병은 그저 피가 잘 멎지 않는 병이라 다치지 않도록 조심하면 되겠거니, 에이즈는 톰 행크스가 주연한 영화 <필라델피아>에서처럼 살이 빠지고 쇠약해지다가 죽는 병이겠거니 생각했다. 주변에 이런 병들을 앓는 사람이 없다 보니 남의 이야기처럼 무심하게 보아 넘긴 것이었다. 그러나 혈우병을 가지고 태어났고, 이를 치료하기 위한 혈액응고인자 수혈을 통해 에이즈에 감염된 막내아들의 짧고 고통스러운 생애를 구구절절하게 그려낸 브라이스 코트니의 <에이프릴 풀스데이>를 읽으면서 나는 바로 옆에서 그의 투병기를 보는 것처럼 함께 아파할 수밖에 없었다.
데이먼은 ‘모든 일에 사력을 다해야 하며 실제 생활에서 아주 간단하게 처리될 일도 그 사람에게는 아주 힘겨운 노동인, 아주 처참한 삶을 산 이’였다. 그러나 그는 병을 싸움의 대상이 아닌 ‘적응해야 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육체가 침입자에 대항하는 싸움에서 자신의 생활 방식과 행동 양식을 성공적으로 적응시킬 수 있는 자가 치료 능력을 믿었다. 따라서 ‘자신이 아는 것과 배운 모든 것을 이용해서 현실을 받아들이고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자신을 적응시키는 것이, 원하는 인생을 살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열쇠이고, 적어도 이것이 내가 원하는 인생이며, 그 인생은 길고 완전하다’며 학회에서 발표한 것처럼 그는 고통을 감내했고 자신이 에이즈를 이겨낼 것이라고 굳게 믿었다. 그리고 그 길고 힘든 과정에는 연인 셀레스트와 가족이 함께 했다.
책은 데이먼의 임종 직전에서 긴박하게 시작하여 시간대를 넘나들며 이야기가 진행되고, 중간중간 이야기를 이끌어나가는 화자가 바뀌기도 하지만, 결국은 에이즈로 죽음을 맞는 명백한 결말로 나아가는 악몽과도 같은 이야기이다. 그러나 그를 마지막에 돌본 의사 어윈의 말처럼 데이먼은 용기 있고 품위 있게 죽음을 맞이했다고 생각한다. 죽음이 가까워올수록 삶에의 의지가 강해지고 집착이 되기 쉬운데, 고통 속에서 마지막까지 피어난 데이먼의 의지와 용기에 감동했다.
사람의 죽음은 신체의 어느 장기가 기능을 하지 않는가에 따라 단계별로 나뉜다. 뇌의 기능이 정지되면 뇌사로 판정하고, 심장까지 멎어야 실질적인 사망이 선언된다. 사람이 사람답게 살아 있다는 것은 뇌가 정상적으로 움직여서 서로간의 의사 소통이 가능하고 살아 있는 의미가 있어야 할 것이다. 그래서 에이즈의 결과로 정신까지 침해당해야 했던 데이먼의 모습을 보며, 몸이 아프던 때와는 다른 수준의 안타까움을 느꼈다.
우리 나라에도 이와 같이 혈우병 때문에 에이즈에 걸린 환자들이 있었다는 뉴스를 보았다. 아프리카에서는 에이즈 때문에 나라 전체가 붕괴되고 있다고 한다. 그런 일들이 내게 와 닿지 않아서 그리 신경을 쓰지 않았었는데, 이 책 한 권으로 인해 이제 한동안 에이즈에 대한 기사와 뉴스들이 갑자기 눈에 많이 띌 것이고, 이들에 대해 한 번이라도 더 생각을 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