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간을 파는 남자 - KI신서 916
페르난도 트리아스 데 베스 지음, 권상미 옮김 / 21세기북스 / 2006년 11월
평점 :
품절
딱 5분의 휴식이 절실한 때가 있다. 시험 공부를 할 때, 머리에 안 들어오는 책을 열심히 읽어보고자 노력할 때, 상사에게 깨질 때, 내가 왜 이런 일을 하고 있나 싶을 때가 내게는 바로 그런 때이다. 담배를 피우는 사람들에게는 아마 막간의 담배 한 대가 5분의 휴식이나 마찬가지라서, 아마 니코틴 중독 때문이 아니더라도 담배를 끊기 어려울 것이다.
시간을 사고 파는 설정은 우리에게 익숙한 <모모>의 회색인들에게서 익히 보았기 때문에 이 책의 독특함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주인공이 파는 시간이 5분에서 2시간, 일주일, 극단적으로 35년으로 늘어나면서 일어나는 사회적인 변화는 주목할 만하다. 5분의 자유는 사람들의 활력을 증진시키고 업무 만족도까지 높이는 순작용을 나타냈으므로 회사에서 win-win을 위해 사원용으로 대량 구매할 정도로 호응을 얻었다. 그러나 2시간부터는 일의 진도가 늦어지고 업무가 마비되기 시작했으며, 일주일에서는 일의 흐름이 끊겨서 경제가 돌아가지 않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개인이 가진 모든 것을 팔아서 35년이라는 시간을 구입하는 극단 상황에서는 국가가 와해되는 사태로 발전한다. 결국 결자해지의 묘책을 내어 나라 경제가 다시 돌아가게 된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2시간 이후부터의 시간 판매에 대해서는 그다지 동조하지 않았다. 자기 자신을 위해 시간을 할애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그러나 업무 시간에 시간을 쓰는 것은 주인 의식이 없다는 증거라고 생각된다. 예전의 공산국가나 독재국가에서처럼 매일 20시간씩 강제노동을 하는 생활이 아니라면, 굳이 돈을 내고 자유 시간을 사서 업무 시간에 사용하지 않더라도 자신을 위한 시간은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시간을 아껴가며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그리 반갑지 않았을 듯한 이야기 전개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무슨 이야기를 하고 싶어했을까? 그리고 국민들은 이런 묘책에 모두들 만족했을까?
모든 사람에게 24시간은 동등하게 주어지지만 그 가치는 어떻게 쓰는가에 따라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이 책의 해결책은 상황을 너무 단순하게 설정한 나머지 개인의 독특함과 가치, 차별성을 무시한 위험한 발상이라는 생각을 하며 책을 덮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