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리얼 타이베이 - 타이베이를 가장 멋지게 여행하는 방법, 2023~2024 최신판 리얼 시리즈
김홍래 지음 / 한빛라이프 / 2023년 3월
평점 :
판매중지


타이베이행 비행기 타기 직전에 다 읽었습니다. 알찬 내용이네요. 제가 좋아하는 커피나 맛집 정보도 상세해서 좋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신대학교가 부설 한국어학당에 다니던 우즈베키스탄인 유학생 22명을 강제 출국시키는 만행을 저질렀습니다. 이른바 ‘진보 대학’이라는 이미지와 달리 인권 유린을 서슴지 않은 것입니다. 이런 일이 벌어진 배경에는 유학생 유치를 통한 돈벌이에 눈먼 대학 당국과, 이주민 유입을 확대하면서 통제도 강화하는 정부 정책이 있습니다.

https://wspaper.org/article/30412

📰 구독

📺 노동자연대TV youtube.com/c/노동자연대TV
📱 안드로이드·아이폰 앱 wspaper.org/s/app
📮 매일 뉴스레터 구독 wspaper.org/s/email
⚡️ 텔레그램 wspaper.org/s/tg
🗞 종이신문 wspaper.org/subs
👉 후원(일시·정기) wspaper.org/donation

〈노동자 연대〉를 구독하고 후원해 주세요.

내용 일부

또, 정부는 어학연수생에게 1000만 원의 은행 잔고 증명서를 요구한다. 가난한 학생들을 잠재적 미등록 체류자 취급(차별)하며 배움의 기회도 제약하는 것이다.

한신대는 2021년까지 교육국제화역량 인증 대학에 선정됐다가 지난해에는 어학연수 과정이, 올해는 학위 과정이 인증을 받지 못해 유학생 유치에 제한을 받았다. 인증 대학에 다시 선정돼 내년 유학생 유치를 늘리려고 우즈베키스탄인 유학생들을 속여 가며 강제 출국시킨 것으로 의심된다.

한신대 당국과 정부는 강제 출국당한 유학생들에게 적절한 구제 조처를 취해야 한다. 또한 미등록 체류를 막겠다며 벌이는 유학생 통제 정책들을 중단해야 한다.

‘진보’ 이미지와 달리 보수적으로 학교를 운영해 온 한신대 당국
한신대 신학대학이 독재 정권 시절 권력에 맞서는 목소리를 대변하는 양심의 아성이었던 까닭에 한신대는 진보적 대학이라는 이미지가 있다. 지금도 한신대 당국은 스스로 “진보대학”을 표방하고 있지만 그 말이 무색해진 지는 오래다.

한신대가 종합대학이 된 1980년 이후, 신학대가 아닌 일반 단과대 차별, 학내 복지 부족, 이사회 비리 문제 등으로 투쟁이 벌어졌다. 이 투쟁 과정에서 1987년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들인 김수행 교수와 정운영 교수가 해임됐다.

법인이자 설립자인 한국기독교장로회총회는 자신이 책임져야 할 사학연금을 8년(2005~2012년)이나 학생 등록금으로 60억 원을 지급했다.

학교 당국은 정원 감축, 학과 통폐합 등 신자유주의적 구조조정에도 적극 나서 왔다. 이 때문에 대학 구조조정에 반대하는 학내 투쟁이 여러 차례 벌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유대교 경전(구약성경)을 이용한 시온주의의 거짓말

https://wspaper.org/article/30418

📰 구독

📺 노동자연대TV youtube.com/c/노동자연대TV
📱 안드로이드·아이폰 앱 wspaper.org/s/app
📮 매일 뉴스레터 구독 wspaper.org/s/email
⚡️ 텔레그램 wspaper.org/s/tg
🗞 종이신문 wspaper.org/subs
👉 후원(일시·정기) wspaper.org/donation

〈노동자 연대〉를 구독하고 후원해 주세요.

🚩 [온라인 토론회 영상] 유대교 경전(구약성경)을 이용한 시온주의의 거짓말

https://www.youtube.com/watch?v=PUrLBw9g1Gg

이스라엘 국가의 공식 이데올로기인 시온주의는 서기 70년에 로마제국에 의해 팔레스타인에서 쫓겨났던 유대인이 거의 1900년 만에 돌아와서 유대인 국민 국가를 수립할 권리가 있었다고 주장합니다.
시온주의자들은 유대인이 팔레스타인 땅에 “다윗과 솔로몬의 왕국”이라는 “고대 이스라엘”의 영광을 구가한 바 있었고, 오늘날 이스라엘이 바로 이 영광을 재현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미 팔레스타인에 오랫동안 살아온 사람들을 내쫓고 학살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이런 주장은 과연 참말인지 살펴봤습니다.

📖 추천 책

《고대 이스라엘의 발명: 침묵당한 팔레스타인 역사》, 키스 W. 휘틀럼, 이산, 384쪽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429483

《성경: 고고학인가 전설인가》, 이스라엘 핑컬스타인/닐 애셔 실버먼 지음, 까치, 440쪽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80083

📺 노동자연대TV에 오시면 뜨거운 현안부터 마르크스주의 이론까지 570여 개의 콘텐츠를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com/c/노동자연대TV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록 이번에 아래의 대만이주노동운동 30주년 토론회와 대만여행을 가서 한국에서의 팔레스타인 연대 집회 참가를 못 하지만, 대만 여행, 주되게 머물 타이베이에서 팔레스타인 연대집회가 열리면 그 집회에 참가하고 싶다. 타이베이에서도 수백여 명 규모의 집회가 열린 걸로 알고 있다.

어찌됐든 한국의 이주노동자운동에 연대활동한 사람으로서 이번 토론회도 의미가 있을 것 같다. 큰 마음 먹고 모처럼 길게 5일 연차휴가를 신청하고 가는 것이니 잘 배우고 와야겠다.

#歡迎報名參加
過水有痕:「外勞」30年/ MENT 20年國際研討會
#日程表及詳細議程請參考報名頁面
報名頁面連結:
中文 https://www.surveycake.com/s/bxw8W
英文 https://www.surveycake.com/s/gOxPa
印尼文 https://www.surveycake.com/s/D04q4
越南文 https://www.surveycake.com/s/pkAVz

活動日期|2023 / 12/ 16 - 17 ㊅㊐
活動地點|東吳大學城區部
(台北市中正區貴陽街一段56號)
12/16 第五大樓 5117教室(視聽教室)
12/17 第一大樓 崇基樓 1705教室

主辦單位:台灣移工聯盟
合辦單位:東吳大學法學院

1992年5月8日,《就業服務法》正式上路,法制化了外國人在台勞動的規定。勞動者被劃分為「國民」與「外國人」;外國人被劃分為「白領移工」與「藍領移工」;移工的勞動被劃分為「合法」與「非法」。《就業服務法》規定藍領移工「不得轉換雇主」,為「當代奴工制度」打下基礎;訂定工作年限,確立了藍領移工的「客工」身分;移工的「引進」與「管理」,放任以利潤為導向的「私人仲介」長期壟斷。

30年過去了,政黨輪替了3次、立委選舉了9次。然而,如今所謂的「補充性勞動力」已經來到了將近70萬人,早已是與台灣社會密不可分的一份子,這群非公民(non-citizen),卻始終入不了掌權者與立法者關注的視野,從未被平等對待。

階級歧視的台灣政府透過移工政策對藍領移工做了許多不平等的限制,而且在語言與文化隔閡之下,他們30年來就像台灣的過客,也像一艘扁舟行過名為台灣的水面——船過水無痕。然而,30年來,數百萬流轉至台灣又或自願或被迫離開的移工們,都將他們生命中的黃金歲月,留在了台灣。本座談會希望在台灣引進移工30年、台灣移工聯盟成立20週年的當下,為台灣的移工史劃下一個簡而有力的小結,讓他們的生命經歷與故事,置於公共視野面前,讓移工的在台歷史能「過水有痕」。

以非政府面向出發,我們計畫透過學者、NGO團體、移工團體,以及鄰居地區的移工相關團體,對移工的過去、現況及跨國狀況做一個綜覽,瞭解過去、分析現在,作為藍領移工在台30年的一個中點,並展望未來移工政策的推進與改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2월 집중 행동의 날: 서울/부산
✊이스라엘은 인종 학살 즉각 멈춰라
🇵🇸팔레스타인에 연대를

📢서울 집회·행진
👉일시: 12월 16일(토) 오후 2시
👉장소: 주한 이스라엘대사관 인근(서울 중구 무교로 32 효령빌딩)
👉문의: 010-7550-2131

📢부산 집회·행진
👉일시: 12월 17일(일) 오후 2시 30분
👉장소: 서면 쥬디스태화 앞(부산 부산진구 중앙대로 694)
👉문의: 010-8028-8029

※ 집회 후 도심 행진
※ 아랍어-한국어 통역 제공
————-
👉주최: 팔레스타인에 연대하는 사람들(people.freepalestine@gmail.com)

※후원 계좌: 국민은행 694701-01-227958(예금주 백은진)
보내 주신 후원금은 팔레스타인 연대 집회 개최를 위해 사용합니다.

________

🚩December Day of Action: Seoul/Busan
✊Stop Genocide NOW
🇵🇸Solidarity with Palestine

📢Seoul march after protest
👉Time: 16 Dec(Sat), 2pm
👉Location: near Israeli embassy(Hyoryong Building. 5min walk from exit 5 Gwanghwamun St.)
👉contact: 010-2142-6978(ARB) / 010-2196-1917(ENG & ARB)

📢Busan march after protest
👉Time: 17 Dec(Sun), 2:30pm
👉Location: Judies Taehwa, (5min from Seomyeon St. Exit 2)
👉Contact: 010-8028-8029

—————
※ March after protest
※ Korean-Arabic translation provided
👉Hosted by People in Solidarity with Palestine
(people.freepalestine@gmail.com)
—————
○ Fundraising account: Kookmin Bank 694701 01 227958 (백은진)
Fund will be used for hosting future Palestine solidarity protests

#팔레스타인 #palestine #freepalestine #gaza #savegaza #westbank #가자지구 #서안 #fromtherivertotheseapalestinewillbefree #israelisaterrorstate #zionismisterrorism #zionismisracism #stopgenocide #ethniccleansing
#stopkillingchildren #palestinelivesmatter🇵🇸 #weareallpalestinians #freegaza #israelterrorist #freepalestine🇵🇸 #전쟁범죄 #제노사이드 #인종청소 #이스라엘 #주한이스라엘대사관 #팔레스타인에연대하는사람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