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의 역사 - 유라시아의 교차로 서울대학교 중앙유라시아연구소 교양 총서 2
제임스 A. 밀워드 지음, 김찬영.이광태 옮김 / 사계절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요즘 불매운동으로 화제가 되고 있는 '신장 면화'에 대한 내용.

1980년대 신장은 곡물을 자급자족하게 되었기 때문에 점점 더 많은 토지가 면화 재배에 이용되었다. 1978년에는 5만 5천 톤의 면화를 생산했으며, 20년 후에는 수확량이 150만 톤에 이르렀다. 1990년과 1997년 사이에만 면화 재배 면적이 두 배로 늘어났다. 1990년 이래 개발프로그램 하에서 다수의 수리사업 계획이 면화재배를 위한 토지개간을 지원함으로써 이루어졌다. 또한 서부대개발 계획에서는 이전의 개간으로 인해 생겨난 환경파괴를 완화하려 함으로써 면화생산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었다. 그 결과, 신장은 1990년대 초반 중국에서 단일 규모로는 가장 큰 면화 생산지가 되었으며, 2001년에 이르러서 전국 면화 재배의 25%를 차지했다. 2005년 175만 톤에 달하는 신장의 면화 수확은 농촌 소득의 40%를, 일부 지역에서는 70%의 비율을 차지했다. 면화가 신장의 경제발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기는 하지만 - P417

2004년 시장이 소위 ‘쳔연 색상’ 면화-흰색 이외의 빛깔로 성장하도록 유전적으로 조작된 면화-의 세계 총수확량 중 16퍼센트를 생산했기 때문에 신장의 개발 구호 일흑일백 중 ‘일백(一白)’이라는 구호는 더 이상 정확하지 않다. 확인되지 않은 소문에 따르면, 유전자 조작 면화와 일반 면화가 지나치게 가까이에서 함께 재배되는 지역에서는 ‘쳔연 색상’ 면화가 때때로 다른 면화와 수정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붉은 반점이 있는 흰색 면화나 다른 예기치 못한 혼색(混色)이 발생한다고 한다. - P418

신장 면화 중 약 40%는 병단의 농장에서 재배되었는데 면화 재배가 언제나 이윤을 남기는 것은 아니었다. 20세기 말 국제적인 면화 공급 과잉으로 인해 신장 면화는 중국 동부의 방적회사가 해외에서 수입한 면화보다 비쌌다. 그 결과, 막대한 재고가 쌓였다. 위구르족 농부와 한족 농부 모두 손해를 보면서 작물을 재배해야 한다고 불평했다. 청대와 마찬가지로 국가가 징발하는 면화는 오늘날 신장에서 토지 개간과 이주정책의 핵심이었으며, 경제적인 목적뿐만 아니라 정치적인 목적도 수행했다. - P4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