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즈베크어 표준 교재 A1 우즈베크어 표준 교재
Mashrabbekova Aziza.이지은 지음 /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지식출판원(HUINE)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즈베크어 소개

우즈베크어는 투르크어의 일종이다. 투르크어 계통에는 터키어, 아제리어, 투르크멘어, 카자흐어, 키르기스어, 타타르어, 위구르어 등이 있는데, 전 세계 약 1억 5천 명에 이르는 사람들이 사용한다. 이 중 우즈베크어와는 위구르어(중국 신장위구르 자치구에 거주하는 위구르인의 모국어)가 가장 비슷하다. 이들 투르크어 계통 언어들은 서로 공통된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그중 가장 중요한 점은 바로 ‘문장 구조‘이다. 이들 언어를 소위 "교착어(膠着語)"라고 부르는데, 명사와 동사 원형에 접미사를 붙여 문법적 기능이 표현된다. - P18

우즈베크어 사용 인구는 약 3,300만 명으로 주로 우즈베키스탄에 거주하며, 그 밖에도 중앙아시아 국가들과 아프가니스탄(제3위 공식어)에도 우즈베크어를 사용하는 인구가 있다. 우즈베크어 어휘에는 아랍어와 페르시아어가 많이 발견되며, 또한 소련의 통치를 받을 당시 러시아어에서 가져온 단어(행정 및 과학 관련 용어)들도 많이 찾을 수 있다. 1991년 독립 이후 우즈베키스탄은 이러한 러시아어 단어들을 우즈베크어로 바꾸는 작업을 정부 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다. - P19

우즈베크어 표기 변천사

우즈베크어는 20세기에만 여러 차례 표기 문자가 바뀌는 경험을 했다. 1923년까지 우즈베크어는 수 세기 동안 중앙아시아 언어들의 표기 문자였던 아랍어 문자에 수정이 이루어졌다. 이후 1929년 라틴 문자로 대체되었지만 오래 지나지 않아 1940년 키릴 문자가 우즈베크어 표기 문자로 채택되었다. 이후 약 50여 년이 지난 후인 1993년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라틴 문자를 우즈베크어 공식 표기 문자로 선언했다.
이 교재에서는 1996년 최종 수정을 거친 새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우즈베크어를 설명하고 있다. 이미 영어나 그 밖의 라틴 문자를 익힌 이들에게는 우즈베크어를 라틴 문자로 배우는 것이 키릴 문자로 배우는 것보다 쉬울 것이다. 그렇지만 현재도 많은 전문 서적과
- P20

문학작품 및 사전들은 키릴 문자로 출판되기 때문에 고급 수준으로 갈수록 키릴 문자에 익숙해지는 것 역시 우즈베크어를 배우는 데 필요하다.
라틴 문자로 표기된 우즈베크어 문자 순서와 키릴 문자로 표기된 우즈베크어 문자 순서가 서로 다르니 각각 어떤 순서로 구성되어 있는디 확인할 필요가 있다. - P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