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이승우.
다른 쪽에 불가지론이 있다. 사랑이 시작된 과거의 한 시간이 아니라 현재의 확신과 진행형 상태에 더 주목하는 것처럼 보이는 이들은 사랑의 속성을 점오漸悟 것으로 받아들인다. 한순간에 갑자끼 깨달음이 찾아왔다면 그 시간을 기억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왜냐하면 그 순간에 시간의 매듭이 지어지기 때문이다. 돈오頓悟의 매듭이라고 이름붙일 수 있는 어떤 것, 그러나 물이 가죽으로 스미는 것처럼 천천히, 조그씩, 점점 깊이 깨닫게 되는것이 진실이라면 시간의 매듭은 지어지지 않는다. 모든 상태는 '이미'와 '아직 아닌' 사이 어딘가에 위치한다. 구원파적 엄격함을 사랑에 빗댄 사람들이 사랑이 시작된 시점을 사랑의 완성과 연결 시키고 그 이후의 시간은 다만 그 사랑을 즐기고 유지하는 것에 불과하다고 간주하는 반면에 점오적 입장을 가진 사람들은 사랑의 시작과 완성을 동일시하지 않을 뿐 아니라 시작이 그런 것처럼 완성 역시 매듭지을 수 있는 것이라고 여기지 않는다. p.31
그 순간에 세상은 현저하게 축소되었다. 그 땅에, 이 세상에, 당신과 그녀 말고 다른 사람은 존재하지 않았다. 사랑에 빠지는 순간 세상은 두 사람만 사는 공간이 된다. 그들이 어디 있든 마찬가지다. 연인들은 최초의 하늘과 땅을 가진 에덴의 연인들이 그랬던 것처럼 이 세상에 다 두 사람만 거주하는 양 느끼고 말하고 행동한다. 연인 이외의 모든 사람들은 그저 배경에 지나지 않는 것이 된다. 연인은 연인 말고는 다른 누구도 의식하지 않는다. 말하자면 사랑은 세상을 축소시키는 기술이다. 사랑에 빠지는 사람의 세계는 두 사람만 존재하는 , 아주 좁은, 아제 막 태어난 세상이다. 사랑하는 사람이 기웃거리지 않는 것은 기웃거릴 대상이 없기 때문이다. 자기를 제외하면 그, 그녀만이 유일한 인류이기 때문이다. 사랑이 시들해지면 세상이 조금씩 넓어지고, 보이지 않던 사람들이 점점 더 잘 보이고, 그리고 결국 한때 유이한 인류였던 그 사람이 보이지 않게 된다. 기웃거리기가 가능해지는 것은 기웃거릴 대상이 다시 생겨났다는 증거다. 만물이 그런 것처럼 사랑 역시 태어나고 성장하고 소멸한다. p.37
언제나 돈오의 매듭으로 시작된 사랑이었다. 세상 만물이 그런 것처럼 그 사랑의 매듭 역시
풀렸다. 대부분은 상대방의 손에 의해서 가끔은 내 손에 의해서.
사랑이 끝나는 순간은 언제 일까?
번개맞은 듯한 사랑이든 가죽에 물이 스며들듯한 사랑이든 그 사랑이란것이 끝날때
모든 연인들은 결국 다시 기웃거리고 있는거겠구나.
또 다시 이승우의 사랑이야기. 하지만 역시 등장인물 모두가 각자 자기만의 방식으로
고통스러운 사랑을 지켜나간다.
사랑하기에 떠나 보내는 사람, 사랑하기에 기다리는 사람, 사랑하기에 곁에서 지켜주는 사람, 사랑하기에 바라 볼수 밖에 없는 사람.
각자 선택한 방법은 다르지만 결국 그 모든 것들이 사랑일뿐이라는 것.
오늘 이승우의<검은 우물><에리직톤의 초상><나는 아주 오래 살 것이다> 이렇게 세권을 배송받았다. 당분간 아마도 이승우에게서 헤어나오긴 힘들듯 싶다. 그래서 우울감에서도 빠져나오긴 힘들듯. 이승우의 책은 나를 우울하게 만든다. 뭐랄까 마음이 발바닥쯤에 내려 앉아 있는 그런 느낌이다. 그런데 놓을 수가 없다. 우울감에 빠질껄 알면서 또 찾게되는 그의 책들. 나 새디스트인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