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의 도덕경만큼 무정부주의에서 제국주의까지 그 해석의 스펙트럼이 넓은 문헌은 없을 것이다. 이유가 없지 않다. 도덕경의 말들이 다양한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 함축적이고 추상적인 언어이기 때문만은 아니다. 백성의 삶에 간섭하지 않는 무위자연의 성인(聖人)의 정치와 백성들의 삶을 다양한 방식으로 지배하려고 하는 제국주의적 자본가들의 정치를 분별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모르는 것과 모르는 척하는 것 혹은 아는 것과 아는 척하는 것은 구별하기 힘들다. 애매모호함이다

 

 

 

 

 

 

 

 

 

 

 

 

 

 

이렇게 정의할 수 있다. 성인과 사기꾼은 한끝 차이다. 공통점이 있다. 첫째, 성인은 스스로 성인이라고 의식하지 않는다. 성인이 스스로 성인이라고 자처하면서 은혜를 베푼다면 성인이라고 할 수 없다. 마찬가지다. 사기꾼도 스스로 사기꾼이라고 자처하지 않는다. 사기꾼은 스스로 사기꾼이라고 떠버리면서 사기 치지는 않는다.

둘째, 성인이 사람의 마음을 감동시키듯이 사기꾼도 사람의 마음을 현혹한다. 사람들을 홀리는 기술인지 유혹하는 매력인지 어째든, 사람들에게 강한 영향력을 미치는 마력이 있다.

셋째, 성인이건 사기꾼이건 체득(體得)의 경지에 이른 사람이다. ‘범죄의 재구성이라는 영화를 본 일이 있다. 사기꾼들에 관한 탁월한 영화다. 이 영화에는 성인과 사기꾼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대사가 나온다. “청진기대면 바로 진단 나와.”

성인이건 사기꾼이건 이것저것 따져보지 않고서 청진기만 대면 곧바로 진단 나와야 한다. 머리 굴려 사려하고 주판알 퉁기면서 계산한다면 사기꾼 되기 한참 먼 것이다. 사기꾼 가운데 최고 고수는 청지기대면 진단 바로 나오는 체득의 경지에 이른 사람이다. 하지만 성인이야 말로 사려하거나 계산하지 않는 체득의 경지에 이른 사람이 아니었던가.

성인이건 사기꾼이건 청진기대면 진단이 나오는 체득의 경지로 스스로 의식하지 않거나 타인이 의식하지 못하는 방식으로 사람들을 현혹한다. 정이천은 노자를 이렇게 평가한다.

 

노자라는 책은 그 말이 물과 기름처럼 서로 부합되지 않으니 애초의 의도는 도의 극히 현묘한 곳을 말하고자 하였으나 나중에는 도리어 권모와 사술을 말하는 것으로 흘러버렸다. 예컨대 취하고자 하면 반드시 주어야 한다라는 말들 따위이다.”(老子書, 其言自不相入處如氷炭, 其初意欲談道之極玄妙處, 後來却入做權詐者上去. 如將欲取之, 必固與之之類.)

 

정이천이 보기에 노자라는 책은 매우 오묘한 지점을 말하고 있는 듯하지만 결국에는 사기술로 빠진다는 말이다. 노자라는 책 자체가 문제라기보다는 그것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문제라면 문제이겠지만 노자의 애매모호함은 장점이 아니라 약점일 수 있다.

 

 

 

 

 

 

 

 

 

 

 

 

199310월에 호북성(湖北省) 형문(荊門) 곽점(郭店) 초묘(楚墓)에서 대나무로 이루어진 죽간본(竹簡本) 노자를 발견하였다. 기존의 통행본과 비단본인 백서(帛書) 노자와는 형식과 내용면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다. 전 세계의 노자 연구자들이 놀라는 것은 당연하다. 어쩌면 이제 노자의 연구는 시작일 뿐인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