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의 구성은 특이하다. 사랑의 다양한 모습들을 알파벳 순서에 따라 우연적으로 배열하고 있다. 그러나 단지 우연적이지만은 않다. 우연적 배열들로부터 드러나는 사랑의 모습은 사랑이 성숙해 나가는 연대기이며 서사시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여기에서 묘사되는 사랑의 양태는 권태에서 변태까지 감정의 바닥에서부터 시작하여 낭만과 주저와 폭력과 담담함과 여유로 이어진다. 가히 사랑의 박물관이라고 할 수 있다. 바르트는 사랑의 담론이 지극히 외로운 처지에 놓여 있다는 의식으로부터 이 책을 시작하고 있다. 사랑이 흔해지면 실로 사랑은 외로워지는 법이다.

사르트르는 실존주의자이고 바르트는 구조주의자라고 평할 수 있다. 사르트르는 주체의 자유와 선택을 강조했고 바르트는 주체를 해체한다. 문학적인 맥락에서 볼 때 사르트르와 바르트는 대립적 입장에 서 있다. 바르트는 독자의 탄생은 저자의 죽음이라는 대가를 치러야 한다라고 하면서 저자의 죽음을 말한다. 마치 주체의 죽음처럼 느껴지는 대목이다.

 

 

 

 

 

 

 

 

 

 

 

 

 

 

사르트르가 능동적으로 의미를 부여하는 저자의 기능이나 저자의 의미가 담겨 있는 작품을 강조했다면 바르트는 수동적으로 의미를 경청하고 음미하는 독자의 능력과 무한한 해석의 가능성이 담긴 텍스트를 강조했다. 그에게서 텍스트는 저자의 의미를 해독해야할 대상이 아니라 주이상스(jouissance, 향유, 즐김)의 대상일 뿐이다.

나의 스타일에 꼭 맞는 책이었기에 바르트의 생각대로 이 책은 읽는 내내 바르트의 의도를 해독해야할 작품이 아니라 내가 향유했던 텍스트였다. 내가 놀란 것은 바르트의 문장 속에 감추어진 중국의 향내들이다. 게다가 그의 사고는 매우 도가(道家)적이었다는 사실!

나는 롤랑 바르트를 스타일리스트라고 평가한다. 단지 문학적인 측면에서의 문체를 말하려는 것이 아니다. 그가 이룬 독특한 스타일은 문체가 아니라 삶 자체의 스타일이 아닐까. 그의 문장 사이사이에는 어떤 어조, 뉘앙스, 리듬, 침묵이 담겨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그 눅진한 감성을 읽어내지 못했다. 그것을 불어로 읽지 못하는 나의 무능력을 통탄할 뿐이다. 어쩌면 나에겐 이 책 사랑의 단상은 직접 불어로 읽어야만 하는 유일한 책인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