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피버 드림
사만타 슈웨블린 지음, 조혜진 옮김 / 창비 / 2021년 3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환상문학이 그렇듯이, 이 소설역시 나에게는 또하나의 있는 세계처럼 느껴졌다.
마치 눈을 감고 나는 책을 읽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다비드와 아만다가 서로의 목소리만 존재하는 이 소설은 카메라가 녹아버릴 것 같은 무더운 여름날, 응시되는 공포가 느껴진다. 원제목은 '구조거리'라고 한다. 곧 존재하지 않을 그녀가 찾는 딸 '니나'는 어디에 있는가?
"그건 중요하지 않아요" 건조한 목소리의 소년과 상반되는 엄마의 다급한 목소리의 대비
다비드의 목소리는 현실인가 환상인가?
퍼즐을 맞출 수 없는채로 이 소설을 끝까지 읽게 된다. 몇년만에 읽은 소설인지 모르겠다.
그럼 뭐가 중요한 거야 다비드? 왜 아만다는 묻지 않을까.
소년이 찾는 그 순간들은 무엇이였을까. 삶의 중요한 순간들은 누가 정하는가.
내 등에 흐르는 작은 전류를 느끼며, 옮긴이의 글을 읽어보았다.
한번도 기형이라는 말이 나오진 않았고, 환경 문제에 대해 언급된 적이 없지만 저자는 이를 염두해두었다고 한다.
소년는 독에 중독이 되었고, 아만다도 독에 중독이 되었다.
중독된 소년의 몸에 다른 영혼이 들어왔다고 생각하는 아이의 엄마,
아이를 구조할 시간, 거리를 팽팽한 긴장감을 놓지 않는 보이지 않는 탯줄인 구조거리
아이를 놓치는 그 순간의 그 아찔함, 구조거리의 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엄마들이면 알듯 싶다.
간결한 문체속에서 한편의 영화를 본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