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건, 사랑이었네
한비야 지음 / 푸른숲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학생 때 사회선생님을 통해 처음 알게 된 한비야 씨는 내가 무척 존경하는 분이다. 여
자로서 세계 배낭여행을, 그것도 오지만을 방문하는 그 분은 무척 패기 넘치고 세상을 사랑하
는 분으로 비춰졌다. 한비야씨의 기행문들은 나도 언젠가 세상을 누비고 마리라는 결심을 하게
되는 계기였다.

월드비전의 구호팀장으로서 많은 도움의 손길을 내미는 모습은 감동적이었다. 불우 이웃
돕기 모금함에 돈 몇 푼을 기금하는 일은 쉬워도 내 시간을 쪼개서 직접 봉사하러 가는 일은
쉽지 않다. 그런데 자신의 생업을 다른 사람들을 돕는 것으로 정하다니. 보통 결심이나 의지로
는 끝까지 하기 힘든 일이다.

몇 년 전, 한 친구가 사람들이 자신의 영위만을 위하여 돈을 벌려고 하는 모습이 안타깝
다고 말했다. 자신이 꿈을 이루어 치과 의사가 된다면 가난한 사람들이 진료를 무료로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시설을 만들겠다고. 많은 학생들이 그렇듯 자신의 포부에 명분을 부여하기 위한
말인 줄 알았는데, 방학동안 실제로 그러한 병원을 방문했다는 그 친구가 진심임을 느낄 수 있
었다. 그 친구를 보며 나도 세상을 위해 무언가를 하고 싶다는 욕심이 생겼다.

생각해보면 우리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은 참 많은데. 우선 여러 보도를 접해 우리
사회가 처한 상황에 대하여 인식하는 것이 가장 쉽고 기본적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중고등학
생들이 학교 내신을 위해 하는 봉사 시간을 헛되이 보내지만 않는다면 우리 사회를 개선할 수
있는 여지가 매우 많을 것이다. 도서관에 가서 책을 정리하는 것보다는 아무래도 독거노인의
수발을 들어주는 게 훨씬 봉사다운 봉사이다.

나도 한비야씨나 내 친구처럼 일생을 다른 사람을 위해 봉사하는 것으로 메울 수 있을지
는 잘 모르겠다. 대신 다른 사람들에게 꾸준히 관심을 가져주고, 조금만 도와주더락도 세상이
변할 수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Twilight Saga Box Set (Paperback 4권, International Edition) The Twilight Saga 5
스테프니 메이어 지음 / Little Brown & Company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Attending schools in Korea, I had came across only two books which all students decided to read. One is the Harry Potter Series, with the legendary record of being the best selling book of the time. These days, the Harry Potter Series seems to be replaced by another one - the Twilight Series, at least among girls. The series is well-read among females because it deals with dangerous, but indispensable romance between a human and a vampire. I enjoyed reading the series as well, but it stroke me as merely an addictive time killer.

It is a fantasy novel so it obviously does not provide any practical information. What is more, the love described in the book, I think, is something that can not exist in reality. Not because it is between two different races, but the way the two characters love each other is unrealistic.

They love each other more than anyone else in the world. The heroine, Bella even decides to become a vampire so that she can live with her soul mate for good. A teenage girl may think that her love will last forever, but isn't it too much that she desires to transform herself into a dangerous creature and abandon her family? I believe in passionate love, and that my priority must be love. However, it should be accompanied by some sense of responsibility as well. She also justifies the fact that he is a vampire and used to kill humans for their blood. I don't think I would be able to love someone so much that I can turn the cold shoulder on serious crimes such as murder. According to Art of Loving written by Erich Fromm, the way parents love their children is the only unconditional love there can be. Love between men and women is different. I don't believe in platonic love,  regarding love as an emotion built up when the conditions which people consider are ideal and pursue are met. In other words, I do believe in intense loves but don't think there is destined love, but rather there are always innate reasons though some people may be unaware of it.

Although the Twilight Series was truly a page turner, I regard it as an English version of Internet novels of Korea or girlish comic books.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rayon 2012-02-04 22: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I can't agree with you more! Also, although Meyer's ideas are not bad her writing is terrible - very amateurish. I was glad when Stephen King said “Both Rowling and Meyer, they’re speaking directly to young people. … The real difference is that Jo Rowling is a terrific writer and Stephenie Meyer can’t write worth a darn. She’s not very good.” But I won't deny that I quite enjoyed reading Twilight's romantic scenes... I'm just being a girl!
 
세계를 가슴에 품어라 - 반기문 총장이 대한민국 청소년에게 전하는 파워 멘토링
김의식 지음 / 명진출판사 / 2008년 4월
평점 :
품절


 

물론 나도 예외는 아니었지만, 외고를 다니는 학생이라면 대부분 한번쯤은 외교관이나 국제공무원이 되고 싶다는 꿈을 품은 적이 있을 것이다. 한국 최초로 유엔 사무총장이 되신 반기문 선생님은 내게는 존경의 대상이었다.

국제공무원이라는 직업이 매력적인 것은 다른 나라의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많다는 점이다. 다른 사람들을 위해 봉사하고, 내가 다른 사람들에게 베푸는 작은 관심과 도움이 그들의 삶을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이 뿌듯할 것 같다. 나는 미국과 유럽같은 선진국보다는 내 도움이 큰 변화를 줄 수 있는 아프리카나 남아메리카의 오지에서 활동하고 싶다. 흔히 말하는 서구 문명과 다른 새로운 문화를 그 지역에서 거주하며 생생하게 맛볼 수 있다는 점도 역시 매력적이다.

내가 막연하게나마 관심을 가지고 있던 국제공무원을 이 책은 자세하게 설명해 주었다. 나는 국제 기관이라고 해봐야 유엔, 적십자회, WHO 밖에 아는 것이 없었다. 국제 기관은 생각외로 다양해 각각 하는 일도 다르고, 그에 따라 요구되는 자질도 달랐다. 그러나 공통적인 것은 어떤 기관에서 무슨 일은 하던 여자로서 희생해야 하는 점이 많을 것이라는 점이다. 특히, 가정을 꾸린다는 생각은 거의 버려야하는 모양이다.

반기문 선생님이 직접 쓰신 책이 아니라 다른 사람이 그에 대하여 평가하는 형식으로 쓰인 책이라 약간 아쉬웠다. 반기문 선생님께서 자신의 경험담과 충고를 몸소 해주시는 글이었다면 생생할 뿐만 아니라 가슴 속에 더욱 깊이 새겨졌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명화걸작, 어떻게 이해할까? 미술문화 inter/ART 어떻게 이해할까 16
토마스 R. 호프만 지음, 심희섭 옮김 / 미술문화 / 200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행을 즐겨 하시는 부모님 덕분에 어렸을 때부터 해외여행을 줄곧 다니곤 했다. 각국마다 대표적인 미술 작품을 볼 기회가 많았는데, 이 책을 통하여 그 당시 보았던 작품들을 더욱 심도 있게 알아볼 수 있었다.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을 방문했을 때가 기억난다. 자연 건조된 미라, 비너스상 등 여러 특이하고 유명한 문화유산들을 접할 수 있었지만 단연 기억에 남는 것은 ‘모나리자’였다. 나 이외에도 이 작품을 보려 하는 사람들이 너무나 많아서 먼발치에서 밖에 볼 수 없었고, 이 책에서 대신 자세히 살펴 볼 수 있었다. 의미심장한 미소가 아름다운 것은 물론이거니와 어머니와 같이 인자해 보이는 여인의 옷 주름이 배경의 강줄기와 조화를 이룬 모습이 ‘자연은 만물의 어머니’라는 실감케 했다. 흰 살결에서는 스푸마토 기법이 확연히 드러났다. 선이 없이 윤곽이 그려져 살이 보송뽀송할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삼각구조와 황금비율을 완벽하게 적용한 모나리자는 그림으로만 보아도 역시 세계 최고의 명작로서의 아우라가 느껴졌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미술 학파는 인상파이다. 많은 사람들이 최고의 인상파 작가라고 손꼽는 클로드 모네와 반 고흐 중 나는 고흐의 그림이 더욱 좋다. 작가가 말했듯, 내가 그림이 좋다고 생각하는 기준이 무엇인지는 모르겠지만 고흐의 그림들은 분명 아름답다고 느껴져 직접 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도 했다. Starry Night이라고 명명된 고흐의 두 작품은 같은 제목이지만, 인상은 확연히 다르다. 나는 잔잔하고 약간은 침울한 분위기의 초기의 작품보다는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있는 후기의 작품을 더 좋아한다. 강렬한 색채와 붓터치가 매력적이다. 요동치는 파도 같은 밤하늘 속에서 찬란하게 빛나는 몇 개의 별은 우리가 험난한 삶 속에서 뚜렷한 목표를 지니고 살아야 한다는 의미를 시사하는 것 같기도 하다.

작품과 그에 대한 설명, 그리고 윤곽선을 따라 그린 밑그림을 통하여 그림의 구조와 의미를 파헤쳐 주는 이 책은 무척 흥미로울뿐더러 미술 교양 지식을 쌓는데 도움이 되었다. 내가 피상적으로 아는 미술 지식과 결합하여 작품의 해설을 읽으면 더욱 작품이 내게 가까워진 듯했다. 이와 같은 책을 진작 읽었더라면 여행을 다니며 보았던 많은 미술 작품들의 가치를 더욱 느끼고 감상할 수 있었을 텐데. 새삼 아쉬워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성학 이야기 - 인어공주는 왜 왕자를 죽였을까 책세상 루트 9
민가영 지음 / 책세상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난 여름방학동안 내가 가고 싶은 대학으로 경찰대라는 목표를 설정했다. 공부하는 환경이 우수하고 대학을 졸업한 후 가능한 취직업종이 내 적성과 잘 맞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너무나도 화가 나는 것은 경찰대에서 선발하는 전체 학생 중 불과 10%만이 여학생이라는 점이다. 경찰대에 진학하면 실제로 현장에서 뛰는 경우보다는 경찰의 지도층으로서 행정직을 맡게 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학생의 비율을 한정시킨 것은 남녀차별의 단적인 예이다.

이 책은 남자들이 사회에서 자신들의 위치를 확고히 하기 위하여 여자가 생물학적으로 열등하다는 사실을 증명하기 위해 힘써온 흔적들을 제시한다. 그러나 여자들이 열등하단 것을 증명하려는 남자들의 노력은 역설적으로 여자가 남자와 대등하다는 사실을 반증한다. 실제로 여자가 남자보다 월등히 못한 존재라면 그들의 열등성을 증명하기 위한 수많은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언젠가 성매매가 여성들을 보호해 줄 수 있는 수단이라는 발언을 들은 적이 있다. 돈을 지불하면 언제든 몸을 살 수 있는 여자들이 있기 때문에 다른 여자들이 남자들의 성욕으로부터 안전하다는 것이다. 이 책을 읽고 나니 그처럼 남녀차별적인 사고방식에 사람들이 물들어 있다는 것이 놀라웠다. 남자들은 성욕을 절제할 수 없다는 전제를 두었기 때문이다. 오히려 성매매가 다른 여성들을 보호해주기 위한 방편이라기보다는 힘이 없는 여성들이 돈을 벌기 위한 수단이라는 관점이 더 남녀평등적일 것이다. 국가가 복지제도를 통해 여성들이 경제난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도와주지 못한다면, 국가적으로 여성들이 안전한 근무 조건을 보장받을 수 있고 인권이 침해받지 않도록 제도적으로 뒷받침해주는 것이 그들이 최소한 해야 할 역할이라 생각한다.

‘여성학 이야기’라는 이 책을 통하여 여자들이 알게 모르게 사회로부터 받고 있던 부당한 대우에 대하여 깨우치고, 새로운 관점을 얻게 된 기분이었다. 그러나 이 책을 읽고 우리 사회에 만연한 여러형태의 남녀차별을 깨달았음에도 불구하고 나도 사회의 시류에 편승하여 여자는 마르고 남자는 듬직해야 한다는 식의 사고방식을 확고히 지니고 있다는 사실이 당혹스럽다. 머릿속에 뿌리박힌 생각을 바꾸는 일은 쉽지 않겠지만, 남녀차별에 있어 피해자이자 이러한 세태에 반발해야 할 나조차도 그러한 생각을 지니고 있으면 이 사회는 평등한 모습을 띄기 어려울 것이다. 항상 남녀평등의식을 지니고, 여성이 부당한 대우를 받는 경우가 있다면 적극적으로 개선을 요구할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