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학 이야기 - 인어공주는 왜 왕자를 죽였을까 책세상 루트 9
민가영 지음 / 책세상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난 여름방학동안 내가 가고 싶은 대학으로 경찰대라는 목표를 설정했다. 공부하는 환경이 우수하고 대학을 졸업한 후 가능한 취직업종이 내 적성과 잘 맞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너무나도 화가 나는 것은 경찰대에서 선발하는 전체 학생 중 불과 10%만이 여학생이라는 점이다. 경찰대에 진학하면 실제로 현장에서 뛰는 경우보다는 경찰의 지도층으로서 행정직을 맡게 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학생의 비율을 한정시킨 것은 남녀차별의 단적인 예이다.

이 책은 남자들이 사회에서 자신들의 위치를 확고히 하기 위하여 여자가 생물학적으로 열등하다는 사실을 증명하기 위해 힘써온 흔적들을 제시한다. 그러나 여자들이 열등하단 것을 증명하려는 남자들의 노력은 역설적으로 여자가 남자와 대등하다는 사실을 반증한다. 실제로 여자가 남자보다 월등히 못한 존재라면 그들의 열등성을 증명하기 위한 수많은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언젠가 성매매가 여성들을 보호해 줄 수 있는 수단이라는 발언을 들은 적이 있다. 돈을 지불하면 언제든 몸을 살 수 있는 여자들이 있기 때문에 다른 여자들이 남자들의 성욕으로부터 안전하다는 것이다. 이 책을 읽고 나니 그처럼 남녀차별적인 사고방식에 사람들이 물들어 있다는 것이 놀라웠다. 남자들은 성욕을 절제할 수 없다는 전제를 두었기 때문이다. 오히려 성매매가 다른 여성들을 보호해주기 위한 방편이라기보다는 힘이 없는 여성들이 돈을 벌기 위한 수단이라는 관점이 더 남녀평등적일 것이다. 국가가 복지제도를 통해 여성들이 경제난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도와주지 못한다면, 국가적으로 여성들이 안전한 근무 조건을 보장받을 수 있고 인권이 침해받지 않도록 제도적으로 뒷받침해주는 것이 그들이 최소한 해야 할 역할이라 생각한다.

‘여성학 이야기’라는 이 책을 통하여 여자들이 알게 모르게 사회로부터 받고 있던 부당한 대우에 대하여 깨우치고, 새로운 관점을 얻게 된 기분이었다. 그러나 이 책을 읽고 우리 사회에 만연한 여러형태의 남녀차별을 깨달았음에도 불구하고 나도 사회의 시류에 편승하여 여자는 마르고 남자는 듬직해야 한다는 식의 사고방식을 확고히 지니고 있다는 사실이 당혹스럽다. 머릿속에 뿌리박힌 생각을 바꾸는 일은 쉽지 않겠지만, 남녀차별에 있어 피해자이자 이러한 세태에 반발해야 할 나조차도 그러한 생각을 지니고 있으면 이 사회는 평등한 모습을 띄기 어려울 것이다. 항상 남녀평등의식을 지니고, 여성이 부당한 대우를 받는 경우가 있다면 적극적으로 개선을 요구할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