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읽기 과몰입이 이렇게나 위험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산호 일러스트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발머리 2025-10-08 11:3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첫번째가 제일 맘에 드네요 🤣

2025-10-17 18:04   URL
비밀 댓글입니다.
 

“어떤 문명의 붕괴 혹은 승리는 6대 물질 중 어느 하나가 없거나 있었기 때문에 일어났다.” (30)


댓글(1)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발머리 2025-09-11 17:1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하….. 여전히 석기시대…
철기시대, 구리시대….
재밌어 보이지만 많이 두껍겠죠?
 

토울스 책이 우리 집에 두 권이나 있는데! 옛날 부터 있는 그 검정색 표지의 두꺼운 소설책 부터 왠지 손이 안 갔다. 작가 토울스도 옛날 사람인줄 알고 있었는데 아직 살아계심;;; 


억지로 라도, 누가 떠밀어준다면 다들 좋다고 하는 그 소설을 나도 읽게 되지 않겠나 싶어서 이번 신간 (이라지만 토울스의 초기작이라고 한다) 이벤트에 응모 프리뷰 책을 받았다. 프리뷰니까, 단편 수록 한 편만 담긴 작은 소책자가 왔다. (온전한 책 안 와서 실망한 거 안 비밀) 


그리고 마감일까지 또 미루면서 다른 책들을 읽었다. 그리고 마감일인 오늘, 비오는데 굳이 카페에 가서 선물 받은 기프티콘으로 커피를 마시면서 읽었다. 그리고 .... 아, 너무 좋잖아. 이런 감성, 이런 날카로움, 이런 신랄함. 은근 뺨이나 등짝 맞는 기분까지 들지만 짜릿하게 내 안의 마조히즘까지 건드리는 이 소설.


월스트리트에서 금융 전문가로 일하는 30대 남자 토마스, 화자인 부인과 아이도 둘 뒀고 이제 베이비시터에게 아이를 맡기고 문화생활을, 인생의 성공 단계를 하나씩 클리어 해나가는 중이다. 카네기 홀에서 후원금을 내고 지정 좌석을 갖게된 그는 옆 자리의 노인이 영 신경 쓰인다. 그가 시민의식을 발휘해서 나서는데! 


실은 그는 주인공이라기엔 부인과 독자의 시선 아래에 하나씩 그 행동이, 위선이라기엔 너무나 말갛게 들여다보이는 스놉스러움이 밉살스럽다가 안쓰러울 지경이다. 자신의 성공적 인생에 필수적인 주변인의 인정과 박수를 집착적으로 강요하는, 가련한 이 남자. 화자인 부인의 시선과 그 마음을 헤아려 본다. 부처님 손바닥 이야기도 떠오르고 바락바락 잘났다고 고개 쳐들고 다니는 선거철의 정치인들도 떠오르고, 다 괜찮다 해주는 Mr. Fine도 이렇게 저렇게 생각한다. 무엇보다 관객이 경험한 그 연주는 어떤 것일까, 그 빛나는 순간들. 어쩌면 그것이 진짜 인생. 


그러니까 그냥 좋았어요. 네, 제가 졌어요. 

나머지 단편들이랑, 집에 있는 두 권을 읽을 때가 된거에요.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건수하 2025-06-25 19:5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전 두꺼운 검은색 책 좋아합니다!! 세 번 읽었어요 ^^
초기작이라니 궁금하네요.

유부만두 2025-06-25 21:35   좋아요 1 | URL
알고보니 그 책이 파랑새였어요. 옆에 두고 몰랐어요.

단발머리 2025-06-25 21:1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 에이모 토울스 책 한 권도 안 읽었는데... 우아~~~ 안 읽을래야 안 읽을 수 없는...
비 오는 날 집을 떠나 커피 마시면서 읽으셨다는 부분이 좋아요, 저는.
일단 집을 떠나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유부만두 2025-06-25 21:35   좋아요 3 | URL
일단 집을 떠나야 함. 그게 포인트에요.

딸기홀릭 2025-06-25 21:37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발휘해서 나가는데....
아 궁금하잖아요!^^
두꺼운 검은색책이 모스크바의 신사 맞죠?
드라마 나왔는데 아직 못봤어요
모스크바의 신사로 흠뻑 빠졌다가 링컨하이웨이 좀 고통스러웠는데
유부만두님이 졌다시니 다시 도전해보렵니다~

유부만두 2025-06-25 21:38   좋아요 1 | URL
도전하시고!!! 이기… 아니, 지실겁니다. 이 토마스의 찌질한 일등 시민의식에 공감하지만 또 비판하게도 되거등요. 아 근데 당하면서 좋아요?!
아주 예리하고도 아름다운 소설이에요.

blanca 2025-06-26 13:0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헉, 저 지금 시작했어요. 완전 좋아요. 지금 두 번째 단편 시작했습니다. 같이 읽으시죠.

유부만두 2025-06-26 20:08   좋아요 0 | URL
딱 한 편 읽었는데 좋아요! 세련되게 맥이는 맛! (이렇게 저렴한 감상이라 민망해요ㅠ ㅠ )하지만 뻔하지 않네요. 같이 읽어요!!!!

바람돌이 2025-06-27 09:1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전 에이모 토울스 책 링컨 하이웨이 한권 읽었는데 좋았어요. 다른 책도 읽고 싶었는데 분량이 장난 아니라서 살짝 미루게 되긴 하지만요. 신간이 나왔으니 또 달려보렵니다하는데 최신작이 아니고 초기작인가 봐요. 이분은 단편은 우리나라에서 처음 나온것 같은데 기대되네요. ^^

유부만두 2025-08-15 12:59   좋아요 1 | URL
네. 저도 두꺼운 책이라 쉽게 시작할 맘이 안 들었어요. 이렇게 새결심을 써놓고도 한참지났는데 아직 입니다. 새로운 책들에게 계속 맘을 뺏겨요.
 

타이완의 식재료, 조리법, 명칭을 역사 속에서 분석해 보는 책. 일제 강점기나 분식장려, 외국 음식의 유행 등은 우리와 공통점이 많다. 음식에 대한 속담이 많이 나오는데 매우 인상적.

“부리가 비뚤어진 닭이 쌀을 잘 쪼아 먹는다˝
”걸귀 들린 개가 돼지 간에서 뼈를 찾는다˝
“일찍 죽은 고양이가 바다 생선을 먹으려 한다˝ (모두 말도 안 되는 상황을 가리킨다)

“먹는 일은 황제처럼 존중받아야 한다.”

“닭똥과 두장 차이” (차이가 크다)

“의사보다 얼음 장수” (일제시대 빙수 장수가 돈을 잘 벌었음)

“어포 한 접시, 머리만 한가득” (머리와 눈이 큰 치어 어포를 접시에 담으면 머리만 눈에 띤다. 조직에서 모두가 대표하려는 상황 비유)

“잘 낳으면 닭, 못 낳으면 관” (출산 후 보양식 닭(마유지)를 먹지만 문제가 생기면 죽을 수도 있다)

“매운 것을 먹는 건 불효”

“소와 개를 먹지 않으면 공명을 떨칠 수 있다. 소와 개를 먹으면 지옥을 피할 수 없다.”

“부부란 절인 무를 함께 먹는 것”
“부부랑 서로를 지키며 절인 무뿌리를 함께 씹는 것”
(부부라면 하루 세끼를 멀건 죽에 무말랭이를 먹더라고 행복할 수 있다)

*유럽에서 빵은 포르투갈어로 pao, 스페인어로 pan, 프랑스어로 pain, 이탈리아어로 pane표기하며 발음은 비슷하다.
타이완어 phang은 새로 만들어진 중국어 단어다. 2010년 타이완 제빵사 우바오春은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빵 월드컵Coupe du Monde de la Boulangerie‘에서 우승하고 가오슝에 ‘우바오춘 마이팡‘ 제과점을 열었다. 마이팡은 과 方을 합친 조어로, 중국어를 조합하여 만든 최초의 타이완어 단어다.
2013년, 영화감독 린정성은 우바오춘의 성장과 분투를 영화화한 「세계 제일 마이팡世界第ㅡ을 감독했다.
타이완 교육부는 타이완민난어상용어사전」에 타이완어 ‘phang‘을 의미하는 글자를 ‘‘로 수록했지만 널리 사용되지는 않는다. - P44

백간장 브랜드 중 ‘귀신‘은 전후 초기 타이완에서 가장 유명했던 간장 제품으로 많은 가정에서 인기를 얻었다. 나중에 다소 명성을 잃었지만, 많은 샤오츠 점포와 타이완 음식 전문점에서는 여전히 특유의 맛을내는 비법소스로 애용하고 있다. - P59

"출초"는 타이완에만 있는 단어로 17세기 원주민들이 사슴사냥을 일컫는 말에서 기원했다. 출초와 용법이 비슷한 사례로는 출범, 출항, 출해, 또는 출장, 출근 등이 있다. 초草는 무엇을뜻할까? 사슴은 초원에서 풀을 먹으므로 초원으로 사슴사냥을 떠난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19세기 이후 사슴의 개체 수가 빠르게 줄어들었고, 또한 중국인들이 침입하여 원주민이 살던 산지를 개간하면서 두 집단 사이에 무력 충돌이 빈번하게 발생했다. 출초 또한 원주민의 구역에서사람을 죽인다는 의미로 점점 변했다.
청나라의 타이완 관련 문헌에도 ‘출초‘가 등장하는데, 초기에는 사슴 사냥을 뜻했지만 후기에는사람을 잡는 것으로 의미가 달라졌다. - P1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