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故鄕)

 

나는 북관(北關)에 혼자 앓아 누워서

어느 아침 의원(醫員)을 뵈이었다.

의원은 여래(如來) 같은 상을 하고

관공(關公)의 수염을 드리워서

먼 옛적 어느 나라 신선 같은데

 

새끼손톱 길게 돋은 손을 내어

묵묵하니 한참 맥을 짚더니

문득 물어 고향(故鄕)이 어데냐 한다

 

평안도 정주라는 곳이라 한즉

그러면 아무개 씨 고향이란다.

그러면 아무개 씨 아느냐 한즉

 

의원은 빙긋이 웃음을 띠고

막역지간(莫逆之間)이라며 수염을 쓴다.

나는 아버지로 섬기는 이라 한즉

 

의원(醫員)은 또다시 넌지시 웃고

말없이 팔을 잡아 맥을 보는데

손길이 따스하고 부드러워

고향도 아버지도 아버지의 친구도 다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대추 한알

저게 저절로 

붉어질 리는 없다
저 안에 태풍 몇 개
저 안에 천둥 몇 개
저 안에 벼락 몇 개

 

저게 저 혼자 

둥글어질리는 없다
저 안에 무서리 내리는 몇 밤
저 안에 땡볕 두어 달
저 안에 초승달 몇 날


저 안에 천둥 몇 개
저 안에 무서리 내리는 몇 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詩21 2015-04-04 07: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안에 무서리 내리는 몇 밤
 
[eBook] 세시에서 다섯시 사이 창비시선 333
도종환 지음 / 창비 / 2020년 2월
평점 :
판매중지


햇빛이 너무 맑아 눈물납니다

살아 있구나 느끼니 눈물납니다

기러기떼 열지어 북으로 가고
길섶에 풀들도 돌아오는데

당신은 가고 그리움만 남아서가 아닙니다
이렇게 살아 있구나 생각하니 눈물납니다



- 도종환의 시〈다시 오는 봄〉중에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옛날의 그 집 - 박경리 


                                 빗자루병에 걸린 대추나무 수십그루가

                                 어느 날 일시에 죽어 자빠진 그 집

                                 십오 년을 살았다

 

                                 빈 창고같이 휭덩그레한 큰 집에

                                 밤이 오면 소쩍새와 쑥국새가 울었고

                                 연못의 맹꽁이는 목이 터져라 소리 지르던

                                 이른 봄

                                 그 집에서 나는 혼자 살았다

 

                                 다행이 뜰은 넓어서

                                 배추 심고 고추 심고 상추 심고 파 심고

                                 고양이들과 함께

                                 정붙이고 살았다

 

                                 달빛이 스며드는 차가운 밤에는

                                 이세상 끝의 끝으로 온 것같이

                                 무섭기도 했지만

                                 책상 하나 원고지, 펜 하나가

                                 나를 지탱해 주었고

                                 사마천을 생각하며 살았다

 

                                 그 세월, 옛날의 그 집

                                 나를 지켜 주는 것은

                                 오로지 적막뿐이었다

                                 그랬지 그랬었지

                                 대문 밖에서는

                                 늘

                                 짐승들이 으르렁거렸다

                                 늑대도 있었고 여우도 있었고

                                 까치독사 하이에나도 있었지

                                 모진 세월 가고

                                 아아 편안하다 늙어서 이리 편안한 것을

                                 버리고 갈 것만 남아서 참 홀가분하다



아아 편안하다 늙어서 이리 편안한 것을
버리고 갈 것만 남아서 참 홀가분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큰댁 마님은 쇠돌 아범하고 불렀다

쇠돌 아범은 마님 도련님 하며 

평생 네네를 입에 달고 살았다

큰댁 마님 시집 오기 전 머슴이었단다


그래도 서울로 유학가서 공부한 동네 아이는 

쇠돌 아범 막내 아들 수근이 뿐이었다


큰댁 큰형도 쇠돌 아범이라 불렀다

큰댁 큰형은 어느 날 마을 한 가운데 

동네 지키던 천살 되는 느티나무 베어 

목재 만들어 팔았단다

얼마 후 자기도 저승 따라 갔다더라


큰댁 막내 딸 혜원이는 날 무척 따랐다

느티나무 가지 사이로 보름달 깃들면 

달덩이처럼 오빠 오빠 하며 날 보러 왔다

사랑을 알듯 말듯 둘이는 무척이나 그냥 마냥 좋아했다

시집 장가 안되는 동성동본 8촌 사이였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cyrus 2015-04-02 18:42   좋아요 0 | URL
이 시는 백석의 시를 보는 것 같습니다. 제가 과거를 회상하는 느낌의 시를 좋아합니다.

詩21 2015-04-02 20:08   좋아요 0 | URL
아유 읽어 주시고 댓글도 남겨 주시고.......가끔 고향 생각이 납니다. 여기는 뉴욕 지금은 아침 7시7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