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월한 사유의 시선 - 우리가 꿈꾸는 시대를 위한 철학의 힘
최진석 지음 / 21세기북스 / 2017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해를 해로만 보거나 달을 달로만 보는 분열된 삶에서 벗어나 해와 달을 동시적 사건으로 장악하는 활동성[]을 통해 아직 이름 붙지 않은 곳[]으로 건너가는 도전을 감행하고자 세워진[] 인문-과학-예술 혁신 학교 건명원(建明苑)의 초대 원장이자, 서강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최진석 교수님의 이번 책 탁월한 사유의 시선은 교수님이 건명원에서 진행한 다섯 차례의 철학 강의를 묶은 책이다.

 

버리고, 이끌고, 홀로 서고, 참된 나를 찾고 문답을 공유하는 것으로 마무리되는 이 철학 강의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이야기는 1강에 나온다. 문화, 사상, 철학의 힘에 대해 이야기하는 ()’에 관한 부분이었다.

 

우리는 보통 일상생활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우리 한번 철학적으로 접근해보자” “넌 항상 문제를 철학적으로 이야기해” “이건 너무 철학적이야등등의 표현을 씁니다. 그런데 우리는 철학적이라는 말을 사용하면서 그 말뜻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을까요?

- 최진석 탁월한 사유의 시선p.94

 

교수님은, 자신이 철학을 전공했지만 이 말뜻을 제대로 이해한 것은 대학원 석사 과정을 마치고도 몇 년이 지났을 때인 것 같다며 이야기를 이어간다. 자신이 학습 능력이 떨어지는 사람이라 그런 것도 있지만, ‘철학적인 높이의 시선이 일반화되지 않은 문화권에서 이 말을 일상적으로 제대로 사용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고 덧붙인다.

 

여기서 익숙한 회사가 등장하는데, 그 이름은 레고(LEGO).

    

전통의 완구 회사 레고는 1990년대 들어 점차 빛을 잃어가고 있었다. 어린이 고객들은 레고보다 비디오게임기에 더 몰두하는 것처럼 보였다. 레고는 아이들은 이제 전원만 켜면 바로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장난감을 더 좋아한다고 분석하고, 비디오게임 시장에 뛰어들었다. 또 조립하지 않고도 바로 가지고 놀 수 있는 쉬운 장난감을 많이 만들었다. 그런데 결과는 참담했다. 2004년 레고는 사상 최대 규모 적자를 냈다.

 

 

레고는 이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서 덴마크의 한 컨설팅 회사를 찾아가서 해결책을 구하게 된다. 그 회사는 고객이 가져온 문제를 우선 철학적인 문제로 바꾸어서 접근하는 것으로 유명하다고 한다. 레고는 원래 아이들은 어떤 장난감을 좋아할까?’라는 질문을 붙들고 있었는데, 그 컨설팅 회사의 조언에 따라 기존 질문을 다음과 같은 철학적 질문으로 바꾼다. ‘아이들에게 놀이의 역할은 무엇인가?’ ‘아이들에게 놀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으로 말이다.

 

레고는 이 철학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아이들을 직접 관찰하고 인터뷰하고 따라다니면서 이전과는 전혀 다른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아이들은 직접적이고 즉각적으로 제공된 즐거움도 좋아하지만, 오랜 시간을 투자하여 어려운 기술을 익히고 이를 자랑하는 것에서도 큰 즐거움을 느낀다는 것을.

 

그래서 레고는 이때부터 힘도 더 들고 시간도 더 오래 걸리지만, 스스로의 성취감을 느끼게 해줄 수 있는 장난감인 블록 장난감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아이들이 세계에 대한 창의적 활동에 직접 참여하려 한다는 철학적 발견이 이룬 결과다.

 

탁월한 사유의 시선을 집중이 잘 되는 곳에서 읽겠다며 찾아 들어간 북카페에서 레고 : 어떻게 무너진 블록을 다시 쌓았나를 발견하고 꺼내 읽게 된 것은 인연이었다. 전엔 그저 레고의 경영에 관한 서적으로만 생각하고 지나쳤는데, 탁월한 사유의 시선을 읽고 나니 레고의 철학적인 높이의 시선이 어떠했기에 회사를 살렸고, 지금의 레고가 된 것인지 궁금해진 것이다.

 

당연하게도 레고는 이와 같은 철학적 접근만으로 무너진 블록을 다시 쌓은 것은 아니었다. 허나 분명한 건, 무너진 블록을 다시 쌓은 첫 블록은 철학적 발견에 있었다. 여기에, 장난감이라는 나무에서 놀이라는 큰 숲으로 시선을 돌려 아이들의 창의적 활동에 집중했던 레고의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레고가 이룬 결과를 실감하게 된 건 지난 1월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브릭 라이브 인 코리아에서 레고를 맞추는 아이들을 보면서다. 전시 공간은 크게, 며칠에 걸쳐 만들었을 큰 레고 작품들을 전시해둔 공간과 빨간색이면 빨간색, 하얀색이면 하얀색 색깔별로 블록을 모아두고 원없이 맞출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었다. 아이들은 전시를 잠깐 둘러보고, 이내 후자의 공간에 옹기종기 앉아있었다. 보라색 블록으로 가득한 곳에서는 보라색 집을 지었고, 초록색 블록으로 가득한 곳에선 성을 높이 쌓아올렸다.

크기가 맞는 블록을 찾기 위해 내내 고개를 숙이느라 힘도 들고, 오랜 시간이 드는 놀이이지만 블록으로 만든 자신의 작품을 완성했을 때의 그 뿌듯함, 그 성취감은 그 어떤 게임이 줄 수 없는 것임을 아이들을 보면서 다시금 깨달았다. 일상에서 철학적인 높이의 시선을 느낀 순간이었다.

 

이 경험이 내게는 너무 인상 깊었던 나머지 레고 이야기만 하고 말았는데, 정말 재미있는 책이었다. 일단 잘 읽혔다. 강의를 묶은 책이라 그런지 철학이 여전히 낯선 내게는 책장을 술술 넘기게 만드는 가독성이 좋은 책이었다.

1강에서 철학이 우리의 삶에서 어떤 역할을 맡아왔는지에 대해 이야기할 때 산업혁명으로 시작해서 동아시아의 역사 발전에 관한 이야기가 언급되는데, 새삼 세계사가 이렇게 재밌었나 싶었다. 세계사에서 철학의 역할이라는 주제를 덧붙이니 이렇게 재밌을 수가 없는 거다. , 책 곳곳에 언급된 공자, 장자, 순자 등 동양 철학 역시 굉장히 흥미로웠다. 내게 동양 철학이라 하면 중-고등학생 시절 배웠던 윤리 교과서 속 화석 같은 철학이었는데, 철학 강의 중간 중간에 장자의 한 구절, 순자의 한 구절을 읽으면서 고여 있지 않고 계속해서 흐르는 물과 같은 철학임을 느꼈다. 무엇보다 이 책을 통해 내가 얻은 것은, 철학에 대한 전반적인 내 생각이 트였고 공부해보고 싶다는 욕심을 가지게 된 일이 아닐까.

 

가치의 결탁물로 되어 있는 자기를 장자는 로 표현하고, 이 가치의 결탁을 끊고, 즉 기존의 자기를 살해하고 새로 태어나는 자기를 로 새겼습니다. 가치관으로 결탁되어 있는 자기를 살해하지 않으면 진정한 자기 자신으로 드러날 수 없다고 본 것입니다.

자기살해를 거친 다음에야 참된 인간으로서의 자신이 등장합니다. 이 참된 인간을 장자는 진인眞人이라고 합니다. 흔히 말하는 무아無我라는 표현도 글자 그대로 자신이 없다는 뜻이 아니라 참된 자기로 등장하는 절차를 말하는 것이지요. 그래서 무아라는 말은 진아眞我라는 말과 같아집니다. 진인으로 새롭게 등장한달지 진아로 우뚝 서는 일을 다양하게 표현하는데, 그것을 반성이라고도 하고, 각성이라고도 하며, 깨달음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자기살해 이후 등장하는 새로운 ’, 이런 참된 자아를 우리는 비로소 독립적 주체라고 하는 것이지요.

- 최진석 탁월한 사유의 시선p.244

 

자기를 살해하고 진정한 자기 자신으로 드러나는 일은 어쩌면 멀리 있는 일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와 같은 강의를 듣고, 책을 읽는 것 역시 자기 살해이며, 진정한 자기 자신으로 드러나기 위한 과정일지도 모른다. 아주 쉬운 방법이라 할지라도 말이다.

 

분명한 건, 이 책을 읽기 전의 나는 가치의 결탁물로 되어 있는 였으나 이 책을 완독한 뒤에 새로 태어나는 자기인 는 아니라는 것.

 

진아珍我인 내가, 위에서 말하는 진아眞我가 되기 까지는 얼마나 오랜 시간이 걸릴까. 앞으로 걸어갈 길이 퍽 아득하지만 기분이 좋다. 나는 이제 한 걸음 뗐고, 모르긴 몰라도 시작이 반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