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을 끓이며]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라면을 끓이며
김훈 지음 / 문학동네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번 다시 묶어 낸 김훈의 <라면을 끓이며>를 읽으며 가장 좋았던 부분은 2부 돈에 대한 산문들 특히 세월호로부터 시작되는 사회적인 문제들에 대한 언급이었다. 신년에 신문에서 읽고 따로 저장하여 두고두고 읽으리라 다짐하게 된 명문이었다. 이 책에서 다시 읽고는 어쩌면 이 글은 내게 김훈의 최고작이라고 불리게 되겠구나 싶었다. 

 

 

 

작가 김훈을 말할 때 가장 많이 하는 말은 그의 문체에 대한 이야기다. 소설이 나오면 내용의 주제면 보다는 문체에만 쏟아진 관심들이 늘 지나치다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워낙 개성이 뚜렷하니 그럴 수도 있겠다 싶고 나쁠 것도 없지만 이쯤이면 그를 관습적으로 소비하는 게 아닌가 싶다.

작가는 점점 말을 줄일 것이고 최소한의 단어만으로 전달하려는 문체를 위한 노력을 한다는데, 물론 이 점이 과소평가되어서도 안되겠지만 그렇다고 신간이 나올 때마다 이런 식이라면 영 아까운 일이란 생각을 떨칠 수가 없다.

그의 문장들은 간결함과 남성성이 돋보이는 면모를 자랑하지만, 그 못지 않은 소설 내부의 시대와 개별성에 덜 집중되는 사실들이 영 아깝고 안타깝다. 이왕 그의 문장에 대해 말하고자 한다면 그 배경과 과정에 대해 생각해보면 어떨까 싶다.

 



그의 말은 다만 그 세대의 보편적인 유행이나 흐름에서 빗겨간 이유로 오히려 그 개성을 드러내게 된 것은 아닐지. 또래 소설가들에게서 느껴지는 좀 더 깊은 내면의 소리에 치우친 문장이 아니라 보이는 그대로의 날 것의 느낌을 명료하게 전달할 뿐이라는 인상이다. 그동안 이 점을 전직 기자출신의 연장으로서 말체를 이해하곤 했다. 그런데 여기에 나온 몇몇 챕터를 읽으면서 좀 더 이전의 뿌리를 찾게 된 것 같았다.

지금으로서는 영 익숙치 않은 오래전의 서울말이 바로 그것이다. 그가 태어나 자란 사대문안의 말이 과연 이러했고, 마지막 세대인 김훈에게도 익혀졌을 것이다. 비록 못 먹을 가난의 안팎의 사정은 다르지 않았어도 자부심으로 버틴 기품의 안쪽의 말들은 겨우 이런 식으로 단정함과 간결함의 명을 다하고 있던 것 같다. 김훈은 부모로부터 일종의 강박처럼 익혔고, 이에 더해 기자생활로 얻게 된 객관적고도 날 선 면이 더해져 그의 펜이 가는 길을 소상히 열어 주었을 것이다.

그래 그의 문장은 보고 자라온 또는 삶으로 목도해온 수많은 인간과 현상들의 실재이며 궤적이다. 돈으로 얽힌 추잡한 사회의 면, 무고하게 희생당하는 한 쪽의 현실이 묘하게 얽히고 무참히 어그러지는 걸 무너지도록 그냥 두는데 그의 말체는 적확하다.

글에 제 감정은 거의 덜어내고, 어떤 시선의 눈으로만 전달하는데 그냥 그렇게 내버려진 현실의 누추함은 더욱 진하게 도드라진다. 그런데도 이걸 읽는 이의 마음의 허리는 그만큼 베어 나가는 기분이 들고 만다.

 

 

 

 

그가 굶주린 어린 시절을 보낼 때 아버지의 통곡은 가엾은 그와 그 세대의 동료들을 이해하게 만들었고 안아주고 싶을 불행이며 아픔이었다. 그러나 아버지가 부르짖던 광야는 실체 없이 떠도는 황무지라는 사실을 알아챈 김훈에게 그 땅은 어쩌면 다다르지 못할 나라였을 것이다.

아버지의 삶으로 말미암아 수많은 이해와 혐오들이 엉켜 그만의 다짐과 깨달음으로 삶의 가장 우선과 나머지들이 생겨났다. 그의 세계관은 그의 부모와 시대로부터 온 것이지만 분명히 내가 살아갈 미래로서 나의 이해는 단절과 화해로 정립되었다.

이 책의 처음은 이고 맨 나중이 이라는 것은 김훈이라는 사람의 세계관을 압축적으로 반영한다. 그는 이미 문학이 삶을 구원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말을 밝힌바 있다. 나는 김훈의 이러한 삶에서 오는 숭고한 인간의 땀과, 자연의 질서를 존중하는 면을 언제나 존중하고 싶었다.

 

 

 

 

그는 못 말리는 호기심 꾼이고 사물이든 역사든 그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 연원을 더듬는 집요한 눈과 손을 가졌다. 언제나 그의 여행길에는 필기도구, 사전이 함께할 뿐이라 다른 무언갈 할 게 없다. 그저 다른 사람들을 관찰하는 일이나 하염없이 자연을 바라보는 일이 다라는 것이다. 오로지 자신의 몸으로 통하는 길만 열어두고 거의 알 때가 올 때까지 보고 듣는 일만 반복한다.

 

 

 

 

 

언제나 김훈의 글이 재미있고, 놀랍다고 생각 드는 점은 어떤 주제를 쓴다 해도 그것이 그 어디에서라도 비슷하게 본 바가 없다는 점일 것이다. 그의 눈이 지독하게도 사물의 원대한 이해와 관찰로 이루어졌다는 사실만이 명백히 들린다. 설사 그것이 한낱 라면의 일이라 할지라도. 연구하고 끝내 자신만의 것으로 승화시키는데 그의 연필은 연장이 되어, 조각내고 분해해버리는 일을 한다. 여성의 입술에 발린 틴트나, 유방의 선에 대한 관찰을 할 때도 그의 집요함은 차라리 순수해서 귀여울 지경이다. 이러한 방향 모를 호기심과 관찰이 그를 이루는 삶의 태도였다고 생각하게 된다

 





김훈의 ''을 읽으면 그의 ''이 열리고 그 안에는 어김없이 ''으로 밀고 나가는 인간의 숭고함이 살아난다. 이것으로 잉태되는 ''과 한 덩이의 ''을 떠넘겨주는 순환의 일이 항상 되풀이 되곤 한다. 그는 기꺼이 가장 낮은 미물이거나 제 손으로 일구는 사람들의 손을 들여다보고 펜으로 그것들의 글길을 열 것이다. 그래 언제나 다음 책에서도 어김없이 우리가 놓친 인간의 한 면과 자연 이면의 숨은 그림자들을 지켜볼 수 있게 된다. '사랑'에 대한 이야기를 쓸 거라고 들었는데 문득 잘 되어가는지 궁금해진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