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이 순간
기욤 뮈소 지음, 양영란 옮김 / 밝은세상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 네가 알고 싶어 하던 진실을 다 말했단다. 금단의 문을 열고 안으로 들어서는 바람에 넌 지옥 같은 미로 속에 빠져든 거야. 24일 동안 네 인생의 24년을 살게 될 거야.”

132p

    

 

time slip이야기이다.

물론 요즘은 자주 등장하는 소재?라고나 할까?

게다가 애틋한 로맨스까지 곁들여지는

'벤자민 버튼이 시간은 거꾸로 간다'거나 '시간 여행자의 아내'도 조금은 같은 듯 다른 느낌이라 새삼스럽지는 않다.

 

그래서인지 귀욤 뮈소는 이번엔 아서가 과거의 시간으로 돌아가 24시간을 보내고 나면, 현재의 시간이 12개월이나 아니면 그보다 조금은 더 짧거나, 긴 시간이 흘러간다.

 

 

“24방위 바람이 지나가고 나면 아무것도 남지 않으리라.”

할아버지가 나지막하게 글귀를 암송했다.

그 말에 숨은 뜻이 있나요?”

등대의 진정한 저주라 할 수 있지. 말 그대로 24년이란 세월이 네 머릿속에서만 존재했던 것처럼 아루먼 실체도 남지 않게 된다는 뜻이니까. 네가 24년 동안 만난 사람들 가운데 어느 누구도 널 기억하지 못하게 되고, 그 기간 동안 이룬 일들이 모두 없었던 게 되어버린다는 뜻이야.”

157p

    

설리반 할아버지와 아서와의 대화에서 나오는 내용과

      

난 당신에게 자살을 해서는 안 된다는 설교를 할 생각은 없습니다. 우리는 모두 마음 한구석에 수류탄을 품고 살아가고 있습니다. 누군가는 죽을 때까지 수류탄의 안전핀을 뽑지 못하지만 어느 누군가는 기어이 목숨을 앗아갈 수도 있는 위험을 자초합니다. 삶을 송두리째 파괴할 수류탄의 안전핀을 두 눈 딱 감고 뽑아버리는 것이죠.

148p

 

리자에게 보내는 아서의 편지 중에서의 글귀가 가장 기억에 남는다.

 

 

그의 여느 책들과는 조금 다르다 싶으면서도 [센트럴 파크]에 이어 요즘 그가 가고자 하는 스타일인가? 싶었는데

너무 긴박하게 읽고 가다가 끝부부을 읽고나니 이건 뭐...

많이 당황스러웠다.

 

 

덧붙이는 글 하나.   

오역誤譯일까? 재즈 연주자들을 언급하면서 존 콜트란(122p)이 나온다. 존 콜트레인John Coltrane 이 아닌가 싶다.

 

 

약간의 분별력을 갖춘 사람이라면 시간이 흐르는 동안 사랑도 변화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사람들은 사랑에 쏟아 부은 에너지가 얼마나 말고 적은지에 따라 사랑을 간직하기도 하고, 집착하기도 하고, 때론 잃어버리기도 한다. -칼럼 맥칸

206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센트럴파크
기욤 뮈소 지음, 양영란 옮김 / 밝은세상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쩔 수 없이 나름 좋아하는 작가나 출판사가 있고 나름의 내가 가지고 있는 생각들은 어느 정도 고정되어 있는 점이 있다.

물론 고정관념이라는 것이 긍정적 의미보다는 부정적 느낌의 어감이 더 많이 사용되지만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다는 걸 미리 밝혀둔다.

 

말하자면, 귀욤 뮈소 하면 나름의 나의 고정관념의 데이터를 가지고 열게 되는 그런(?^^) 부분이 있다.

결국은 사랑에 관한 이야기일 것이라는....또 해피 엔드로 끝날 것이라 좋다는.....

 

 

센트럴 파크라는 제목으로도 표지를 보면서도(영문판이나, 프렌치 에디션 표지가 좀 더 낫다^^)

요근래 한참을 가도록 감질나게 하는 책을 연이어 몇 권 읽었는데 이건 뭐 펼치자마자 사건이 긴박하게 돌아간다.

 

 

아무튼

벤치에서 낯선 남자와 수갑이 묶인 채 깨어난 알리스

그녀가 깨어난 곳은 미국 맨해튼의 센트럴파크.

프랑스의 강력계 형사가 하룻밤 사이에? 그것도 아일랜드의 재즈 피아니스트와?

    

숨 가쁘게 그녀의 기억을 따라 사건을 해결해보려 한다.

 

그녀의 기억을 함께 하며

이 불행한 알리스 쉐페르에게 더 불행한 일은 없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러면서 알리스와 함께 문제도 해결해야하고

재즈 피아니스트, 형사, 범죄자였다가 의사이기도 한 남자.

당신 누구지?‘

옆에 함께 다니는 남자 가브리엘도 누구인지 알아내야하고

 

너무나 흥미진진하게 진행이 됐다.

요즘 책이 진도가 안 나갔었는데, 드물게 빠르게 읽은..

.ㅠ

 

 

나의 고정관념과는 다른 책이었다는 것이다.  

읽어가면서 그 전에 읽으며  전에 읽으면서 '! 이런 책도 쓰는 구나' 느꼈던 그의 여느 책과는 다른 느낌이 들어서 좋은 기억이었던 [스키다마링크]가 떠올랐던 책이라 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야생초 편지 - 출간10주년 개정판 야생초 편지 1
황대권 글.그림 / 도솔 / 2012년 9월
평점 :
절판


설날을 맞아 복조리를 제작하는 할머님들의 이야기가 나오는 tv 프로그램을 보며 아이가 그런다.
`저 장식품을 왜 설날에 파는 거야?`
제철 과일을 모르는 아이이니 대나무를 엮어 만든 조리가 주방용품이었다는 걸 설명해야 하는 시절이 되었다.



이 책도 복조리를 설명하는 나와 별반 다르지 않다

언젠가 그런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많은 식물들이 심지어 길거리의 들꽃조차 이름을 가지고 있는데
관심도 없고 잘 만나는 일이 없는 이들이 `이름 모를 ~~` 이라고 한다고.....



대도시에서 성장하고 자라온 나도 마찬가지
모두 이름 모를 풀꽃~~ㅠㅠ


그런 나에게
글쓴이가 수감 중에서 쓴 글이라고는 느껴지지 않게
많은 풀과 만나는 이야기들은 따뜻함을 느끼게 하는 것 같다.


너무나 예쁜 풀꽃들을 스케치 해주시고 했는데
물론 다시 그 아이들을 길 가에서 만나도
난 또 이름을 제대로 불러 줄 수가 없겠지만
나름의 이름을 가진 끈질긴 생명력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하는 이야기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빈치 코드 2 - 개정판 로버트 랭던 시리즈
댄 브라운 지음, 안종설 옮김 / 문학수첩 / 201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이 그의 대표작이지만 내겐 댄 브라운의 책 중 가장 강렬하게 남은 건 [천사와 악마]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시작으로 [천사와 악마]와 최근의 [인페르노]까지 댄 브라운을 처음 만나게 한 책이라......
다시금 오역을 고쳐 재출간되었다.


세계 3대 미술관 중 하나라는 파리 루브르 박물관에서
박물관장의 살해 사건으로 시작된 랭던과 관장의 손녀 소피가 다빈치 그림에 숨겨진 암호를 풀어나가는 흥미진진한 이야기

책만한 영화가 없지만 상상했던 로버트 랭던과 탐 행크스의 그 거리감이라니.....

암튼 팩션은 내가 좋아하는 장르...오랫만에 처음 번역본부터 다시 찾아 읽으며 번역이 다른 책 맛을 비교해 보고 싶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커져버린 사소한 거짓말
리안 모리아티 지음, 김소정 옮김 / 마시멜로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허즈번드 시크릿]을 읽고 인상 깊어서 재바르게 입수한 리안 모리아티의 책이다.

처음 만나는 작가의 경우 아무래도 망설여진다.

그래서 한 편을 더 읽고 나서야 계속 작가에게 관심을 가질까 말까?를 결정하는 경우가 많은데, 얼마 전 그런 작가가 있었다. 반갑게 두 번째 책을 만났는데.....이건 원 .

일단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이 책을 모두 읽고 나서 모리아티의 작품은 더 찾아보기로 했다. 일단 그의 작품 중 국내에 번안된 건 한 편 더 남았네...^^

 

그런데, 이 작가의 스타일인가 보다.

뭔가 일은 터졌는데, 빨리 밝혀주지 않고 실컷 애를 태운다.

부피는 내가 바로 앞에 읽은 책보다 더 두꺼워졌고,

학부형 사고사건에 연관된 마을 사람들에 관한 더 많은 이야기가 시간을 흐르며 진행되는데

이건 원....! 누구냐구? 언제나 나오느냐구?

 

아름답고 조용한 해변 피리위 초등학교의 예비학교 모임에서 시작되는 세 가족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이야기이다.

첫 페이지 들어가지 전에 나온 피리위 초등학교에 관한 경고문!을 생각해봤어야 해.

절대로~’ ‘절대로~’라고 강조하는 건 틀린 답일 경우가 많다는 것....

처음엔 아주 작은 예쁜 아이 아마벨라의 이야기로 제인의 아들 지기를 따돌려지게 되고 퇴학을 시키기 위해 탄원서를 받게 되는 일들 때문에 작은 바닷가 마을이 시끄러워지는 이야기인 줄로만 알았다. 이야기가 계속되면서 이거 뭐지? 이런 속사정들이?하면서 가족의 속내를 들여다보니 편치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왠지 불행한 매들린과 셀레스트 그 중에서도 가장 어린 나이로 힘들게 살고 있는 제인에게 더 불행한 일이 일어나지 않았으면 하고 마음을 졸였다.

 

 

 

매들린은 세상엔 여러 단계의 악이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매들린처럼 악담을 하는 건 작은 악이다. 한 아이만 파티에 초대하지 않는 것도 사소한 악이다. 갓 낳은 아이를 아내에게 맡기고 떠나버리는 건 큰 악이다. 내 아이의 보모와 자는 것도 큰 악이다. 그리고 세상인 매들린이 전혀 경험해보지 못한 악이 있다. 호텔 방에서 폭력을 휘두르는 거, 가정집에서 폭력을 휘두르는 거, 작은 여자아이들에게 성매매를 시키는 거, 순박한 마음을 산산조각 내는 거.(600p)

    

 

 

그런데도 셀레스트는 이야기한다.

 

이건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해요”(631p)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니....

 

 

나는 이렇게 마무리하고 싶다.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16-02-03 19: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kalliope님 , 좋은 저녁시간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