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보리였구나 달팽이 과학동화 1
심조원 글, 차정인 그림 / 보리 / 200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알을 낳은 엄마 무당벌레가 자고 일어나 보니 이상하게 생긴 알이 하나 더 생겼다. 아빠 무당벌레는 자신들의 알이라고 보기에 크기가 큰 그 이상한 물체를 의심하지만 엄마 무당벌레는 알이 갑자기 커진거라 생각하고 열심히 돌본다. 이 이야기에서 자식에 대한 엄마의 사랑이 더 크다는 생각을 하는 것은 너무 단정적일까? 가시고기등과 같이 부성애가 더 강한 생물도 있긴 하지만 대체로 인간이나 동물이나 모성애가 훨신 더 강한 것 같다.

다른 알들에서 다 무당벌레의 애벌레들이 깨어 나왔는데 오히려 하얗고 작은 것이 돋아나는 그 이상한 알을 엄마는 내다 버리지 않고 열심히 돌봐준다. 시간이 흘러 하얀 애벌레들이 번데기로 변한 동안에도 깨어나지 않는 알. 여전히 걱정스러운 마음으로 나뭇잎을 덮여주고 겨울잠을 자러 들어 간 엄마의 마음은 어떠했을까..

봄이 되어서야 무당벌레 부부는 알이라고 여겼던 것이 보리라는 것을 깨닿는다. 하지만 그 존재를 알았다고 본척만척하지 않고 오히려 온가족이 그 보리를 돌보는 것을 보면서 문득 자신의 자식이 있으면서도 아이를 입양한 가정의 이야기가 생각났다. 따지고 보면 생긴 것은 달라도 보리씨앗이 이 무당벌레의 양아이나 마찬가지니까.. 그리고 보리에 이삭이 영글자 아기무당벌레가 '보리가 알을 낳았어요~'라고 말하는데 이 책의 가장 하이라이트라는 생각이 든다.

이 책에서는 보리의 한살이와 함께 무당벌레의 일생도 함께 알 수 있습니다. 뒷 부분의 보충설명부분에서는 언급되지 않았지만 본문내용을 통해 무당벌레가 알에서 깨어나고 탈태(?)와 변태를 한다는 것, 겨울잠을 잔다는 것을 알 수 있잖아요. 그리고 저에게는 낳은 정도 중요하지만 기른 정도 중요하다는 느낌을 주는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돕고 살아 달팽이 과학동화 1
심조원 글, 정승각 그림 / 보리 / 2000년 2월
평점 :
절판


태어나서 버둥거리는 것과 젖을 빠는 것, 배설하는 것 이외에는 할 줄아는 것이 없는 포유류(사람을 포함해서) 새끼들에 비해 태어나는 그 순간에 헤엄을 치고, 걸을 줄 아는 새끼들도 있다. 고래나 물고기들이 그 전자의 예이고 파충류의 새끼가 후자의 예가 될 것 같다.

거북의 새끼들도 태어나서 바로 걸을 수가 있다. 알을 깨고 세상에 나오자 마자 본능이 명하는데로 물을 향해 끊임없이 기어가는 것이다. 새끼거북을 잡아먹는 새나 동물들을 피해서 물을 향해 필사적으로 달아나는 것이다.물론 물 속에도 위험은 도사리고 있지만 물 속에 들어가는 순간 그들은 엄마 품 속에 들어간듯한 편안함을 느끼리라..

이 책에서는 오직 두 마리의 새끼 거북만이 바다에 도착하여 바닷 속에서 서로 도와가며 살아가는 생물들을 만나게 된다. 망둥어와 새우, 말미잘과 흰동가리, 고래 상어와 가다랭이 등이 서로를 도와 살아가는(공생 관계) 것을 보면서 서로 도와가며 사는 것의 잇점을 알게 되는 것이다. 두 거북 형제는 사이좋게 지내자고 다짐을 하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 아이가 동생과 사이좋게 지내야 하는 이유와 잇점을 알게 되었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기 곰 비디 비룡소의 그림동화 66
돈 프리먼 글 그림, 이상희 옮김 / 비룡소 / 2001년 8월
평점 :
절판


비디는 테엽을 감아주면 움직이는 곰 인형이다. 그의 주인이자 친구인 테일러는 아주 인정이 많아보이는 남자아이다. 대부분의 남자아이들이 인형보다는 로보트를 좋아하고 장난감을 함부로 다루는데 비해 테일러는 아주 다정다감한 것 같다. 테엽 인형은 일정시간이 지나면 테엽을 감아주어야만 한다. 때맞춰 태엽을 감아주지 않으면 그 자리에 멈춰버리기 때문이다.

어느 날 테일러네 가족이 여행을 떠나고 혼자 집에 남게 된 비디는 책에서 '곰은 동굴에서 사는 용감한 동물이다'라는 글을 읽게 된다. 자신도 진짜 곰처럼 살고 싶어진 비디는 테일러의 망원경을 통해 동굴을 발견한다.

눈이 내리는 추운 겨울날 따듯한 집을 떠나 동굴로 향한 곰인형 비디는 동굴에 도착해서 뿌듯함을 느끼지만 무엇인가 불편하고 빠진 것 같은 느낌이 든다. 그래서 다시 집으로 돌아가 신문도 가져오고 베개도 가져온다. 하지만 여전히 허전함을 느끼는 비디는 무엇이 부족한지를 잘 모른다.

갑자기 들려온 소리를 알아보려는데 그만 테엽이 멈추어 움직일 수 없게 된 비디는 테엽을 가져온 테일러와 만나게 되고.. 서로가 필요함을 알게 된다. . 아이와 장난감간의 감정교류를 잘 표현한 책이다. 건전지로 작동하는 인형들과는 또다른 느낌을 주는 태엽인형, 아이는 테엽을 감으면서 장난감에 더 많은 애착을 가지게 되는 것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더 깊이 가보자 달팽이 과학동화 1
김용란 글, 신가영 그림 / 보리 / 2000년 2월
평점 :
절판


깊은 산 속에 있는 도깨비 마을에 살고 있는 아기 도깨비 똘똘이는 어느 날 골짜기 물을 거슬러서 올라오는 연어 떼를 만납니다.- 이 부분에서 자신이 태어난 곳으로 돌아오는 연어의 회귀현상을 잠깐 언급할 수 있겠죠? 아주 먼 바다에서 왔다는 연어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똘똘이는 바다가 보고 싶었졌지요. 바다에 살고 있다는 날아다니는 물고기, 색깔이 바뀌는 물고기 등의 신기한 이야기를 들었으니 당연히 바다에 대한 동경이 생기게 되겠지요.

멀고 먼 바닷로 어떻게 가나, 도깨비인 똘똘이는 구름을 타고 바다로 날아가네요.^^ 그 곳에서 날치를 쫓다가 놓치고 애석해 하는 돌고래를 만나 바닷속으로 들어가서 산호, 불가사리, 게, 성게 등 물고기와는 또 다른 바닷속 생물들을 발견합니다. 또한 연어로부터 전해 들은 색깔이 바뀌는 물고기, 가자미를 보게 됩니다. 깊은 바다밑의 어둠속에서 기나긴 세월을 살아 온 탓에 눈이 멀어버린 장님 물고기(용불용설인가?)도 만지요. 그리고 입이 엄청난게 큰 아귀에게 쫓겨 올라옴으로서 똘똘이의 바닷속 탐험은 끝이 나지요.

요즘은 바다나 강으로 나가지 않아도 수족관을 통해서 바닷속 생물을 접할 수 있지요. 그리고 텔레비젼에소도 볼 수 있구요.. 이 책은 아직 접해 보지 못한 바닷속의 세계의 경이로움을 느끼게 해 주는 책입니다. 얕은 바다와 깊은 바닷속에는 무엇이 사는지도 이야기를 나누어보면 좋겠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기 물방울의 여행 달팽이 과학동화 1
윤구병 글, 최호철 그림 / 보리 / 2000년 2월
평점 :
절판


물이 없다면? 우리는 당장 그 현실을 직시하지 못하고 있지만, 아프리카같이 물이 부족한 나라에서는 정말 물이 없어서 목말라 죽는 사람이나 동물들이 있다. 그리고 오염되는 물이 많아져 식용할 수 있는 물이 점점 줄어 들고 있는 실정이고...몇년 전만해도 상상도 못했지만 이제는 물을 사먹는 가정이 많아졌다.

물을 물쓰듯이 하고 있는 우리나라도 물부족 국가로 지명된 상태이다. 앞으로도 점점 물은 귀해질 것이고, 이상고온현상으로 시달리는 지구상에 물이 사라지는 날이 올지도 모른다. 다시 한번, 과연 물이 없다면? 당연히 생명체는 생명체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우리 인간들도 마친가지인 것이다.

이 책에서 아기풀물치는 가뭄으로 인해 마실 물을 얻지 못하고 (탈수 증상으로) 숨을 거둔다. 목이 바짝말라가는 고통이 사무쳤기에 죽어서 물이 되겠다고 소원을 빌었을 것이다. 그리고 소원대로 아기풀무치는 아기물방울이 되어 다른 물방울들과 섞여 옹달샘을 통해 땅으로 올라온다.

물의 특성,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흘러가서.. 물에 사는 송사리가 숨을 쉴 수 있게 해 주고, 전기를 만든다. 그리고 수박에게 들어가 수분을 공급해 준 아기 물방울은 순이의 몸 속으로 들어간다. 혈관을 타고 흘러 땀방울로 승화되어 하늘로 올라간 아기물방울은 친구들과 뭉쳐 구름를 만들고 비가 되어 바다로 내려 온다. 넓은 바다로 온 아기 물방울 다시 어디로 흘러갈게 될까하는 것은 엄마와 아이들과 이야기를 나누어 볼 수 있을 것이다.

아이와 아기 풀무치의 죽음을 이야기하면서 사람도 물이 없으면 죽는다는 것을 말해 주어 물의 소중함을 깨닫게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하늘과 땅, 바다 등, 돌고 도는 물의 순환과 물이 할 수 있는 일들을 잘 나타내 주는 동화책이다. 그리고 연하게 번져나가는 수채화의 밝고 화사한 그림이 특히 마음에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