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대학원생들도 총장님을 존경하고 싶다

 - <비전 2020>에 대한 국어국문학과 ․ 사학과 대학원 학생회의 2차 성명서

국어국문학과 대학원 학생회는 지난 5월 31일 발표한 성명서를 통해 <비전 2020>이 ‘비민주적’ 절차에 따라 입안된 ‘불균형 발전안’임을 지적한 바 있다. <비전 2020>이 말하는 “발전”이란 기초학문 분야의 명분없는 희생을 담보로 한 것으로, 사실상 인문사회과학 말살 프로젝트와 다름없다. 그간 발표된 문과대-사회대 교수들, 시간강사들 및 대학원생․학부생들의 성명서는 <비전 2020>이 초래할 여러 문제점들을 잘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엄연한 학교 구성원인 학생들을 소외시킨 채, 교수들만을 대상으로 발신된 “총장서한”은 이러한 반발이 단지 “소통부족”으로 인한 “오해”의 결과라고만 일축하며 구체적인 답변을 회피하고 있다. 과연 학교당국은 진정한 소통을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가? 우리는 총장서한이 보여준 비민주적 소통방식과 비인간적 경쟁주의에 경도된 인식구조가 <비전 2020>이 초래할 비극적 미래상을 예고한다고 판단하며, 다음의 질문을 제기한다.

1. 대학원생들에게도 총장님을 존경할 기회를 달라

학내 곳곳에서 졸속과 비상식으로 추진되고 있는 <비전 2020>에 대한 성토가 넘쳐난다. 이는 모두 성균관대의 더 나은 미래를 ‘함께’ ‘투명하고’ ‘진지하게’ 모색하자는 내용이다. 그러나 현재 <비전 2020>과 관련된 논의는 학교당국과 교수들 사이에서만 진행되고 있다. “존경하는 교수님”과 “존경하옵는 총장님”만이 <비전 2020>에 대해 말할 수 있는 유일한 주체인가? 이러한 폐쇄적인 소통구조는 성균관대 발전안이 작동하기 위해 직접적으로 필요로 하는 인적․금전적 자원을 제공할 학부생과 대학원생, 비정규직 강사들을 소외시킨다. 교수들의 질문에만 답하면 된다는 식의 태도에서 보이는 학교당국의 권위주의적 발상을 당장 폐기하라.

2. <비전 2020>에는 ‘인문학 발전안’이 있는가

총장의 말대로 <비전 2020>이 인문학을 사실상 '방기‘ 혹은 ’폐기'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면, 학교 측에서 가지고 있는 ‘인문학 발전안’이란 도대체 무엇인가? 학교당국의 판단처럼 인문학이 우리 학교의 “특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분야가 아니라면, 그럴수록 인문학 분야에 대한 지원과 대책은 더더욱 필요하다. 이는 인문학을 소외시킨 채 강행된 <비전 2010+>의 실패와 무관하지 않다. 그러나 <비전 2020>은 이에 대한 반성없이 또 다시 인문학을 단지 “통합”과 “융복합”의 대상으로 삼는다. 모든 학문 분야에 일괄적으로 적용되는 ‘논문 편수’, ‘연구 용역 수주금’, ‘입학 성적 1% 이하 학생 수’ 등과 같은 지표가 ‘인문학 발전’을 보장할 수 있다고 믿는가? 진정 그렇게 생각한다면 그것은 인문학에 대한 완전한 몰이해의 소치다. 인문학이 지니는 학문적 보편성과 특수성을 균형있게 고려한 <비전 2020>만의 ‘인문학 발전안’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답변하라.

3. “세계 수준”의 “열린 연구”를 수행하는 주체는 누구인가

<비전 2020>에는 대학원과 관련한 구체적인 비전과 계획이 전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원 중심의 연구 대학으로 성장하기 위해 대학원 입학률만 높이겠다는 학교당국의 안이한 발상은 가소롭다. 대학원생은 2010학년도 등록금 문제와 관련해서도 ‘학부 동결―대학원 인상’이라는 사상 초유의 비상식적 정책의 희생양이 되었다. 대학원 수업 개설 과목 부족 및 연구 공간 부재에 따른 대학원생들의 어려움은 일일이 거론하기조차 어려운 수준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비전 2020>은 기초 연구 인력인 대학원생에 대한 학교당국의 문제의식이 전혀 없다는 사실을 재확인시켜 주었다. 과연 대학원생을 외면한 채로, <비전 2020>이 목표로 삼고 있는 “세계 수준”의 “열린 연구”는 가능한가? 학교당국은 현재 산재한 대학원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보여야 함은 물론, 대학원생들을 진정한 학문적 성장의 파트너로서 존중하라.

  학교와 학문 발전을 위한 대학원생들의 진정어린 목소리를 더 이상 외면하지 말라. 학교당국은 교직원들 및 교수들만 열람할 수 있는 내부 전산망을 통한 ‘서신왕래’로서 자신의 의무를 다했다고 착각하지 말라. 학교당국은 전 구성원을 대상으로 하는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 학문 간의 균형 발전을 통해 가능한 우리 학교의 진정한 발전방안에 대해 성실하게 검토하라.

2010. 6. 14.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사학과 대학원 학생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누구의 ‘비전’이며, 무엇을 위한 계획인가?

- <비전 2020>에 대한 국어국문학과 대학원 학생회의 입장

 

2010년 5월 27일, 학교 당국은 졸속으로 진행된 ‘학생 설명회’를 통해 <비전 2020>이라고 이름붙인 성균관대학교 중장기 발전 계획안을 발표했다. ‘삼성경제연구소’가 작성한 이 계획안의 핵심은 ‘대학 구성원간의 무한경쟁’을 기반으로 한 사실상의 ‘학제간 통폐합’이다. “혁신”과 “파워”, “TOP”과 “GLOBAL” 등의 과잉된 수사로 덧칠된 <비전 2020>은 결국 ‘잘 팔리는 것’만을 남기고 그렇지 않은 것은 모두 ‘없애거나 줄여버리자’라고 말한다. 이는 전형적인 ‘후진’ 콤플렉스가 반영된 발전 이데올로기의 산물이다. <비전 2010>의 실패는, 충분한 비판과 반성을 허용하지 않은 채 맹목적으로 추진한 허울 좋은 계획이 얼마나 공허한 것이었는지를 잘 보여준다. 이같은 <비전 2020>의 절차상․내용상의 문제점은 앞서 발표된 문과대 및 사회대 교수들의 성명서에도 명확하게 지적되어 있는 바, 우리는 이를 적극 지지한다. 우리는 비민주적인 방식으로 관철되고 있는 학교 당국의 ‘불균형 발전 계획안’인 <비전 2020>에 강력하게 반대하며, 학교 당국에 다음과 같이 요구한다.

 

1. <비전 2010>의 평가 및 <비전 2020> 계획 수립 근거를 학내 구성원들에게 전면 공개하라.

학교당국은 <비전 2020>의 비민주적 추진을 중단하고 지난 <비전 2010>부터 평가받아야 한다. <비전 2010>의 성과와 과오에 대한 충분한 평가와 반성이 이루어진 후에야 비로소 <비전 2020>의 계획 수립은 가능하다. <비전 2010>에서 제시된 “세계 100대 대학 진입”이라는 휘황찬란한 목표는 충분한 비판과 성찰 없이 <비전 2020>에 그대로 도용되고 있다. 이것이 바로 “자기 자신보다는 남들이 인정해주는 대학”을 향한 “기러기떼의 안향형 비행”을 계속 추구하겠다는 학교당국의 방식인가? 구체적인 기준과 자료 제시 없이 ‘장밋빛 환상’만을 조장하는 계획안은 헛된 공약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2. <비전 2020> 계획 입안 과정에 있어 절차적 민주주의의 원칙을 지켜라.

지난 5월 27일 열린 <비전 2020>에 대한 ‘외부 비공개’ 설명회는 ‘졸속’과 ‘파행’으로 진행되었다. 처장과 교수가 학생을 ‘계몽’하는 방식으로 진행된 설명회는 합리적인 소통을 외면한 채, 학교당국이 발표한 계획의 일방적인 홍보에 집중했다. 우리 학교의 발전 계획은 학교의 주체인 학생-교수-직원 간의 충분한 합의와 토론의 과정을 통해 마련되어야 한다. ‘삼성경제연구소’라는 외부업체로 하여금 우리 대학의 미래를 구상하게 한다는 것은 대학 당국의 능력 부재를 자인하는 꼴이다. 학교 운영의 주체를 소외시킨 채 만들어진 계획안은 당장 폐기되어야 한다. 학교 당국은 학교 구성원들과의 민주적인 소통을 통해 성균관대학교의 ‘비전’에 대해 근본적으로 재검토하라.

 

3. 인문·사회과학에 대한 몰상식한 이해와 차별을 중단하라.

우리는 ‘미래지향적 비전’이라는 명목 하에 학교 당국이 자행하고 있는 인문·사회과학의 매장과 학살을 즉각 중단할 것을 요구한다. <비전 2020>은 의대, 경영대, 법대 및 소수 이공계 학과를 제외한 다른 기초 학문 학과들의 중요성을 부차적인 것으로 취급하고 있다. 그것은 이제 본격적으로 ‘상업 대학’을 추구하겠다고 대놓고 선언하는 일이다. 인문학과 사회과학은 모든 가치에 우선할 만큼 고상하지도 않지만, 학교의 판단처럼 전적으로 무능하지도 않다. 대학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은 인문학을 통해 상상되며 사회과학을 통해 증명된다. 특정 학과에 대한 배타적인 육성 전략은 삼성 재단과 성균관대학교 간의 불투명한 공모 관계를 연상시킨다. 타 학과의 일방적인 희생과 소멸, 통폐합을 담보로 하는 <비전 2020>의 불균형한 발전 전략은 당장 중지되어야 한다.

 

<비전 2020>이 지금과 같은 내용과 방식으로 진행된다면, ‘대학의 기업화’와 ‘인문사회과학 말살 행태’는 훨씬 더 폭력적으로 확산될 것이다. 학교 당국의 굳건한 목표인 “세계 100대 대학” 그 어느 곳에서 이러한 비민주적 의사 진행과 인문사회과학 경시 풍토가 횡행한단 말인가. 이에 대한 대학 당국의 조속하고 성실한 답변을 요구한다.



2010. 5. 31.

성균관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대학원 학생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