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올해는 네시간이 일정정도의 성장을 기대하는 해입니다.
그럴 때가 된 듯 하다라는 판단도 있고,
마눌님의 성화도 있죠.ㅋㅋ
그럴 때가 된 듯 하다...!...ㅎ
근거나 증명된 수치, 뭐 그런 건 없습니다.
다만, 올해는 목숨을 좀 걸어볼까 하는 것이죠.
매 책 마다 마지막 책을 내듯이...
매 책 마다 베스트셀러인 듯이...
열심히 해야 겠다는 생각입니다.(그동안에도 놀명쉴명 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래서인지 올해의 첫 책 <북유럽처럼>의 성적은
여러모로 잘 맞아서 괜찮은 편입니다. 출발이 감사한 것이죠.
또 얼마전에 <차 마시는 여자> 3쇄가 나왔습니다.
기간은 좀 걸렸지만, 역시 감사한 현상입니다.
올해들어서 갑자기, 당혹스럽게 뚝 끊어졌던,
<교사, 가르고 치다>, <도서관 여행>이 조금씩 살아나고 있습니다.
출간 당시 나름 화제의 도서였던 <디테일, 서울>
채널예스의 도움으로 조금씩 움직이고 있습니다. 역시나 감사한 도움이죠^^
5월달에 신간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ㅎㅎ항상 제 입장이라고 말씀드리지만,
역시 괜찮은 책이라는 근거없는 자신감이...ㅋㅋ
끊임없이 생각해하시고, 도움 주시는 어떤 분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_._(꾸벅)
돈만 어떻게..좀..네?..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다들 아시겠지만,

책에도 생명주기가 있습니다.

모든 출판사들은 자기 자식(책)에 대한 애정이 각별하지요.

저도 그렇습니다.

좀 오래오래 살아남아주길 바라는...

 

네시간의 <북유럽처럼>이 좋은 반응을 계속 이어가고 있네요^^

초반보다 좀 떨어지긴 했지만 말이죠.

이 때가 조심스럽고 더 고민되는 시기입니다. 뭔가를 선택해야만 하거든요.

벽을 깨고 치고 올라가게 하는냐, 이 선을 유지하게 하느냐,

또는 하강하더라도 완만하게 조절하느냐.

모두 실행하기에 만만치 않습니다. 오히려 어렵죠;;;

 

이렇게저렇게 고민 중에 있는데,

<책아빠><교사, 가르고 치다>가 쌓인 피로를 약간 풀어주네요.

대부분은 이렇게 출판합니다.

고민에 지쳐가다가 약간의 힘을 얻고,

행복해 하며,

감사해 하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개인적으로 서평문화의 발달은 출판계에 단비같은 '희망'이라고 생각됩니다.

물론 서평을 자발적으로 쓰는 분들도 있고,

타의에 의해 쓰시는 분들도 있죠.

그럼에도 책을 읽고 개인의 감상을 어디에 올리거나,

기록해 두는 습관은 좋은 듯 합니다.

더 활성화되서 책의 정보 공유 문화가 정착발전되길 바라게됩니다.

 

그런의미에서!

<책인시공>은 참으로 좋습니다.

책 이야기도 있지만 개인적으로 더 인상적이었던 것은

책 읽는 때와 공간에 관한 이야기들입니다.

<도서관 여행>이라는 탁월한 책을 냈기때문에 더 다가왔는지도 모르겠습니다.(죄송ㅋ)

사실 책을 읽는데 때와 장소는 큰 의미가 없겠죠.

다만 안 읽는 또는 못 읽는 풍토가 만연하다보니 지정하게 되는 거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이왕에 책이 상품화가 되었으니

책 읽는 행위가 숨을 쉬는 것과 같은, 밥을 먹는 것과 같은

'일상'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왜냐고요?

남들이 좋다잖아요~^^

 

언젠가부터 '내책이야기'와 '남의책이야기' 구분이 사라지고 있다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저자 이름이 아는 사람과 같네요 ㅋㅋ

불만은 한 권으로 이루어진 장편인 줄 알았는데...

단편 모음집이네요.

전철이나 버스에서 읽기는 좋은 듯^^

 

개인적으로 근래의 소설의 글쓰기 방식을 별로 좋아하지 않습니다.

좀 천편일률적인 밑 안딱은 결말이 싫거든요.

근데 좀 보니,

외서든 국내서든 그냥 찝찝하더라구요.(추세가 그런갑다..생각합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나쁘지 않았습니다.

대부분의 소설이 그렇듯이,

이 각 소설의 주인공들이

어드러한 해결책을 명쾌하게 내놓지 않습니다.

독자님들이

알아서 느낀 바를 그냥 미루어 짐작하거나

정리하거나, 잊어버리거나...

 

하여튼

사람이 나오고 관계가 나오고

나름에 철학도 나오고... 나오는 것이 많습니다.

그 중 무엇이 나에게 맞는가는 스스로 알아내기..(소설의 편리함이며 장점이라고 생각됩니다.)

 

꿈밤들되시길ㅋㅋ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스테리 추리물은 제 취향이 아닙니다.

모르고 봤습니다. 집에 있길래..^^;;

그런데 생각보다 극적이거나 비비꼬이지

않았네요.

오히려 그 점이 매력적이었습니다, 저에게는.

 

스페인의 격동기를 보면서 우리의 6.25를 생각합니다.

어느 민족이나 가지고있는 그 민족들의 아픔 말이죠.

등장인물들의 절절한 삶을 보면서 요즘 우리들의 삶을 생각해 봅니다.

특히 가족들 말이죠. 그들이 얼마나 소중한가를...

여담이지만 묘사된 스페인의 풍경을 보면서 갑자기 네시간의 신간 <북유럽처럼>이 떠오르네요.

그 갈매기들 말이죠^^

 

아쉽기도 하고 그렇기때문에 기대되는 카를로스 루이스 샤폰의 다음책을 찾아봐야겠네요.

그들의 미래가 궁금해집니다. 몹시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