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 빈치 코드 - 전2권 세트
댄 브라운 지음, 양선아 옮김 / 북스캔(대교북스캔) / 2004년 6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보고 난 솔직한 심정은 여행사를 차리고 싶다는 것이다. 이 책의 주인공들의 발자취를 따르는 코스를 개발해서 여행을 해도 괜찮은 여행이 될 것 같다. 여행의 제목은 <다빈치가 남긴 코드를 찾아서>...
내가 가장 싫어하는 작품이 종교적 관점이 들어간 작품이다. 하지만 이 작품은 그런 관점에서 볼 만한 것은 아니므로 차라리 미술과 오래된 종교 건축물 여행을 했다 생각하기로 했다. 아이디어면에서 기발했다고 말할 수는 있을 지도 모르겠다. 물론 이런 소재를 작가가 처음 사용한 것은 아니지만.
꼭 장황한 설명이 들어가고 출판사가 대대적 홍보를 하는 작품은 나를 실망시킨다. 이 작품을 실망까지로 표현하고 싶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대단하다 말하기도 좀 뭐하다. 일종의 암호 해독과 쫓고 쫓기는 긴박한 스릴이 단 몇 일 사이에 일어나는데 그다지 스릴을 만끽할 수는 없다. 그보다는 암호 해독과 작가의 해박한 미술에 대한 지식에 염두를 두고 새로운 종교적 관점에 초점을 맞추면 좋을 듯 싶다.
그나저나 요즘은 영화뿐 아니라 책도 PPP인지 뭔지 광고를 삽입하는 모양이다. <인어 공주>에 <라이언 킹>까지 선전을 하다니 진짜 보고 싶게 만드니 작가의 의도가 좀 궁금해진다. 이 작품이 어떠냐고 묻는다면 움베르토 에코의 <장미의 이름>보다는 읽기 쉽고 <옥스퍼드 4증인>보다는 덜 재미있다고 말하고 싶다. 그래도 여행을 가고 싶은 사람들, 미술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 종교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 페미니즘을 지향하는 사람들이라면 읽어볼 만 하다는 생각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고백하는 건데 나는 작가에게 속았다. 으... 표지는 평이하다. 쪼개지는 하드커버보다는 낫다. 다만 번역 중 혹성이란 낱말이 눈에 거슬릴 뿐. 번역도 이 정도면 괜찮고 오타도 없다. 다만 마지막에 책을 끝내고 다음 작품을 선전용으로 실은 것이 심하게 눈에 거슬린다. 책을 좀 책답게 만들었으면 한다. 책이 홍보용 전단지도 아니고...
가끔 생각한다. 역시 미국인이랑 우리의 관점은 다르다는 것을... 그들이 베스트셀러라는 책을 한번도 베스트셀러답다는 생각을 못해 봤으니...
좋은 평을 쓰고 싶었지만 괜찮았다가 내가 쓸 수 있는 최대의 찬사임을 어쩌랴. 다만 읽고 돈 아깝다는 생각이 든다거나 시간 낭비라는 생각은 들지 않는 책이다. 역사 미스터리를 좋아한다면 읽어볼 만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