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흑... 고딩이 된 두 사람의 이야기는 1,2권의 아련한 마법을 잃었다. 3권 나와서 반가웠는데 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깨달음의 혁명 이반 일리치 전집
이반 일리히 지음, 허택 옮김 / 사월의책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처럼 전 인구의 상상력이 학교교육에 붙들리거나 
학교에서만 공식 교육을 제공받을 수 있다는 믿음이 주입되면, 그때부터 문맹자들은 부잣집 자녀들이 다니는 고등학교와 대학교에 자기가 낸 세금을 써도 괜찮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저개발은 이처럼 독점 상품의 집중 판촉으로 인해 사람들의 열망이 필요 이상으로 높아질 때 
발생한다. 

이런 의미에서 지금 발생하는 저개발은 
교육의 원래 역할과는 정반대 일을 한다. 

교육이란 인간 잠재력의 새로운 차원을 일깨우고 삶을 가꾸는 일에 인간의 창조적 능력을 쓰도록 깨우치는 것이다. 그러나 저개발은 미리 패키지화한 해결책에 사회 전체의 의식을 굴복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깨달음의 혁명 이반 일리치 전집
이반 일리히 지음, 허택 옮김 / 사월의책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개발은 무엇보다 심리 상태이다. 심리 상태와 의식의 형태가 저개발의 심각성을 이해할 수 있다. 심리 상태로서의 저개발은 대중의 필요가 상품에 대한 수요로 바뀔 때 발생한다.

즉영원히 닿을 수 없는 곳에 놓인 상품 패키지만이 필요의 해결책이 될 때, 저개발의 심리가 생겨난다. 
이런 의미의 저개발은 교실, 식량, 자동차, 병원의 공급이 다 같이 늘고 있는 나라일수록 더 급속도로 번져간다. 그곳에서 지배 계층은 애초부터 부유층에 맞게 설계한 서비스들만을 구축한다. 그들이 이런 식으로 수요를 독점해버리면, 나머지 대다수가 필요를 충족할 가능성은 영영 사라지고 만다.

의식의 형태인 저개발은 마르크스와 프로이트의 이른바 ‘물화 (Verdinglichung, reification)가 극단으로 나타난 경우라 하겠다.
여기서 말하는 물화란 필요를 느끼는 인간의 실제 감각이 대량생산된 상품에 대한 수요로 딱딱하게 굳어진 것을 말한다. 

가령 갈증이라는 감각이 콜라를 마시고 싶다는 
욕구로 바뀌는 것이 그러하다. 
물화가 일어나는 이유는 거대 관료조직이 인간의 기본적인 필요를 조작하기 때문이다. 그들은 소비자가 될 사람들의 상상력을 가둠으로써 그렇게 한다.
다시 교육 분야로 돌아가 보자. 학교교육의 집중 판촉 때문에 사람들은 학교 가는 것을 교육과 동일시한 결과, 이제는 일상이에서조차 두 용어를 구별 없이 쓰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