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身邊雜記 160622

- 공포와 혐오

 

며칠 전 퀴어 축제가 있었다. 나의 흥미는 퀴어 축제도, 기독교인들의 반대도 아니었다. 일반인, 대중의 반응이었다. (결과는 무관심?)

 

* 여성의 피살에 대한 공포

 

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든다p 물론 모든 남자가 다 여성 혐오자나 강간범은 아니다. 그러나 요점은 그게 아니다. 요점은 모든 여자는 다 그런 남자를 두려워하면서 살아간다는 점이다.”

 

(위 문장에 대해 2가지 의견이 있을 수 있다. 대부분 여성( 혹은 여성 모두)는 남성으로 피살의 공포를 느끼고 산다. 아니다. 책이라고 항상 옳은 것은 아니다. 일반화의 오류이다. 첫 번째 주장이 맞다고 전제하고 시작하자.)

 

여성들의 왜 이런 공포를 가지게 되었는가에 대해 여러 진화심리학 책에서 언급하지만, 내가 최근에 읽은 책은 이웃집 살인마이다. 남자는 성적 상대자의 외도를 방지하기 위해 성적 상대자를 살해하는 방법을 진화론적으로 택했고, 여성은 이런 환경에 대한 생존 전략으로 남성들의 공포를 키워왔다. 이 상황이 유전적인 것이냐, 사회적인 것이냐 의미가 없다. 유전-문화 공진화에 의해 선험적으로 각인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 동성애자에 대한 혐오

 

이 심리에 대해서 여러 책에서 언급되었는데, 막상 책을 추천하려니 떠오르는 책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화심리학, 사회심리학에서 이미 설명된 것이다.

 

과거에 집단 외부로부터 어떤 것이 집단 내부로 들어오는 것이 금기 taboo였다. 그 이유는 전염병에 의한 집단의 절멸( 또는 그에 근전한 상황)을 경험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낯선 것에 대한 공포는 인간의 유전자에 유전-문화 공진화에 의해 각인되었다.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것만 문제되는 것이 아니라 외부로 들락날락하는 질병의 잠재적 제공자에 대해 백안시 되었다. 그 대상의 한 예가 동성애자다. 지금도 2가지 질병에 대해 동성애자의 유병율은 이성애자 heterosexual에 비해 월등하게 높다.

 

동성애자는 소수자이기 때문에 기존의 틀을 벗어나려 할 것이다. 이런 (추정된) 정황을 고려한다면, 다수자의 관점에서는 불결한 생활로 여겨질 수도 있고, 또한 집단 외부의 출입이 잦았을 수도 있고, 동성애자로 인한 질환을 가졌을 가능성이 높다. (책에 따라서는 높았다고 단정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상황은 질병을 집단 내로 끌어들일 확률을 높인다. 그리고 혐오의 대상으로 고착된다.

 

* ‘여성의 남성으로부터의 피살에 대한 공포동성애자에 대한 혐오는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데, 죽음에 대한 공포, 유전-문화 공진화에 의해서 형성되었다는 것이다.

 

어떤이A 주장 ; ‘여성의 남성으로부터 피살에 대한 공포는 선험적이고 실존적이다. 또한 사람다움이라는 것이, 공감능력과 감정에 기반하며 존중되어야 한다. 그리고 동성애자의 혐오또는 감정에 기반한 실존이다. 물론 두 가지 모두 개선의 여지가 있지만.

 

어떤이B 주장 ; ‘여성의 남성으로부터 피살에 대한 공포동성애에 대한 혐오는 선험적이고 실존적이나 사람다움이라는 것이 이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두 가지 모두 역사적 상황을 배경을 유전-문화 공진화에 의해 각인되었다고 해도 우리는 불합리한 본능이나 감정을 이성을 통해 극복해야 한다. 사회의 변화만큼 사람의 사고가 쫓아가지 못하는 것이 안타깝다.

 

마립간의 의견은 어떤이A와 어떤이B 주장 모두 (내가 비판하는 주류 페미니즘이 아닌 내가 지지하는 비주류) 페미니즘에 해당한다고 생각한다. (머리로 이해하는 사람과 가슴으로 이해하는 사람은 대립되면서도 상보적이다.)

 

어떤이C 주장 ; ‘여성의 남성으로부터 피살에 대한 공포는 불합리하고 억지다. 모든 남성을 잠재적 범죄자로 간주하는 악덕이다. 그리고 동성애에 대한 혐오에 관해서는 죄악으로 판단되서 나의 감정은 말 그대로 혐오스럽다.

 

나는 어떤이C와 같은 의견을 가진 지인과 동성애에 관해서 이야기한 적이 있다. 상대가 먼저 내게 의견을 물어왔다. 이야기를 하다 보니 동성애의 유래와 성격에 이야기하면서 결과적으로 동성애자를 옹호하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상대는 이런 의미로 결언을 한다. ‘(마립간)가 아무리 동성애자를 옹호한다고 해도 내가 동성애자를 싫어(혐오)하는 감정은 변함이 없어.’ 나는 평상시 기독교인이라고 하는데, 아마 상대는 내게 동성애를 반대하는 의견-지지를 기대했던 모양이다.

 

어떤이D 주장 ; ‘여성의 남성으로부터 피살에 대한 공포는 당연히 긍정 받아야 되는데, 남자들이 공감 능력이 떨어져 이런 감정을 공감하지 못하는 것이 문제다. 그리고 동성애에 대한 혐오는 불합리한 본능-감정이다. 사람들이 본능, 본능하면서 본능과 감정을 핑계 삼아 옳은 것을 인정하지 않는 것이 문제다.

 

내 주의에는 어떤이B와 같은 생각을 가진 남자가 다수 있고, 어떤이C와 같은 생각을 가진 남자가 어느 정도 있다. 나는 여성과 잘 말을 섞지 않나 여성의 의견 분포를 알 수 없으나 어떤이D의 주장도 상당수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렇게 정리하면 동성애 혐오여성 혐오는 혐오라는 현상에서 같지만, 그 원인과 과정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댓글(14)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6-06-22 20:4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6-22 21:5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6-22 22:19   URL
비밀 댓글입니다.

루쉰P 2016-06-24 16: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흠 그렇군요. 잘 지내시죠? 오랜만에 놀러왔어요 ㅋ

동성애와 여성 혐오는 혐오란 것은 같지만 원인과 과정이 다르군요. 전 동성애를 반대하지 않아요. 물론 그렇다고 제가 동성애는 아니지만 ㅎ 그들도 그들의 삶을 살게는 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억압만이 답은 아니거든요.

여성 혐오는 너무 심각하다고 생각해요. 어떻게 그럴수가 있지 그런 생각도 하구요.

마립간님은 글 쓰시는 거보면 논리학 학자 같으세요 ㅎ 부럽습니다. ㅎ

마립간 2016-06-27 08:04   좋아요 0 | URL
루쉰P 님 그간 잘 지내셨죠.^^

논리학 학자 같다는 말씀은 칭찬으로 감사히 받아들이겠습니다.

저는 제가 다른 사람들 평균보다는 논리적이라고 생각하지만, 논리보다는 오히려 그 배경에 호기심이 더 크게 작용한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면 일베 회원 남자들이 여성을 혐오한다면, 왜 여성 혐오를 하게되었을까? 여성들이 양성 평등을 주장한다면, 남녀 불평등은 왜 발생하게 되었을까?

그런 궁금증을 제가 논리로 풀어냈기 보다 많은 부분을 책이 답을 주었습니다. (일부 제가 재구성한 것도 있기만요. - 아마 이 부분이 논리적이라는 인상을 주는가 봅니다.)

마녀고양이 2016-06-27 13:5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현재 알라딘에서 벌어지는 동성애나 여성 혐오, 남자는 잠재적 가해자라는 논란에 있어,
제가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일반화가 지나친 것이 아니냐는 점입니다. 개인 대 개인이 아닌 집단 대 집단의 이분법적인 느낌인지라, 수많은 예외 상황이 존재하고, 수많은 변인이 존재하는 현실에서 정리가 힘들어요. ㅠㅠ

이렇게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니, 레베카 솔닛의 책을 읽어봐야겠다고 마음을 먹으면서도
좀체로 손이 가지 않는 것 역시 제 어떤 거부감이겠지요. 읽어봐야겠습니다.

마녀고양이 2016-06-27 14:01   좋아요 0 | URL
방금 주문했네요. ^^

마립간 2016-06-27 14:02   좋아요 0 | URL
1) 동성애나 여성 혐오, 남자는 잠재적 가해자라는 일반화가 지나친 것이 아니라는 것에 동감하는 만큼,

2) `누가 힘이 있는 자가 되든 사회는 똑같을 거라는 잠재 의식이 은연 중에 노출되었고, 이런 생각의 확장은 힘을 지닌 자가 힘을 놓지 못하게 하고 힘을 못 가진 자가 힘을 쟁취하기 위해 노력하는 경쟁 사회의 가속화로 연결된다.` 이 문장 역시 일반화가 지나친 것이 아니라는 점에 남자와 사회가 서 있다는 점이죠.

반면, 페미니스트라고 주장하는 분들은 1)만 문제라고 인정하고, 2)는 남자들 내부의 문제로 외면하고 있는 것, 역시 지나친 일반화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마녀고양이 2016-06-27 14:14   좋아요 1 | URL
제가 마립간님의 문장을 잘 이해하지 못하여,

1)의 문장 의미는
동성애나 여성 형오, 남자는 잠재적인 가해자라는 일반화가 타당성이 있다는 말씀이신가요?

마립간 2016-06-27 15:21   좋아요 0 | URL
1) 문장의 의미는
1-1) 동성애 혐오와 여성 혐오 ; 일반화할 만큼 통계적 수치가 높다는 것에 동의합니다.
1-2) 남자가 잠재적 가해자라는 판단 ; 저는 자신을 포함한 모든 남자가 잠재적 가해자로 판단합니다.

제가 (주류) 페미니스트에 동의하지 않는 것에 이런 판단에 대한 반응이죠.

마립간 2016-06-27 19:00   좋아요 0 | URL
아마 주문을 하셨다는 것이 ≪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든다≫일 것 같아서, 이 책을 읽으셨다면 그 다음으로 저는 ≪행복한 페미니즘≫, ≪소모되는 남자≫, ≪이웃집 살인마≫를 추천합니다.

위 댓글만으로는 설명이 부족한 것 같네요. 제가 따로 글을 작성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마녀고양이 2016-06-27 20:19   좋아요 0 | URL
실은 레베카 솔닛의 책을 주문하고 후회 중입니다.
그래도 읽어보려구요. 하지만 페미니즘이나 동성애의 사회적 갈등에 관련된 책보다는 현재 시급한 관심을 지닌 책들이 있어서 그 쪽이 제게 더 중요합니다. 동성애, 또는 다른 성별이 되고자 하는 분들을 상담에서 간혹 만나는데, 기질적인 부분이나 타고난 신체 문제들이 있는 분들도 있지만 성장 과정과 엮인 문제들도 한 몫하기 때문에 굉장히 복잡한 문제입니다. 저는 그저 개인으로써 선택에 따른 어려움을 이해합니다. 소외받는다는 것, 참 가슴 아픈 일이라서... 그로 인한 건전한 토론은 좋지만 서로의 상처는 원하지 않습니다. 안 그래도 워낙 상처가 많은 사회입니다.

마녀고양이 2016-06-27 20:20   좋아요 0 | URL
하지만 마립간님의 사유는 궁금합니다. ^^

마립간 2016-06-28 07:50   좋아요 0 | URL
저도 서로의 상처를 원하지 않지만, 옳고 그름을 다투는 상황에서 상처를 받거나 주는 두려움은 극복해야 한다는 것이 저의 생각입니다. 이미 중복게제 논쟁에서 저를 경험하셨기 때문에 알고 계시지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