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람과 쥐

 

내가 알라디너 ‘곰곰생각하는발’ 님의 ‘착한 사람에게 이러면 안되는 거잖아요?!’ 글에 댓글을 남겼는데, 좀 뜬금없었다. 여기에 조악한 동화를 지었다.

 

시골에 농사를 짓는 가난한 아주머니가 살고 계셨다. 수확이 많지 않은 농사도 속상하지만 쥐가 창고의 곡식을 축내기 때문에 아주머니는 쥐를 아주 싫어한다.

아주머니의 큰 아들은 어머니의 고민을 덜어주기 위해 쥐만을 멸종시킬 수 있는 바이러스를 개발하고 있다. 거의 완성 단계이다.

둘째 아들은 형의 하는 일에 반대다. 사람이나 쥐는 같은 생명체이다. 생명으로서 존중받아야 하는데, 멸종이라니. 쥐는 쥐로서 먹고 살려고 했을 뿐이다.

셋째 아들은 둘째 형과 같이 큰 형이 하는 일에 반대이지만, 반대하는 이유가 조금 다르다. 쥐라는 한 종이 멸종하면 생태계가 교란되기 때문이다. 그 교란은 인간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

큰 형은 (둘째의 의견은 아예 무시하고,) 셋째에게 이렇게 말한다. 생태계의 교란이 있을지 모르겠지만, 새로운 균형을 찾을 것이다. 그 상황에서 인류의 피해는 미미하거나 감내할 만하다. (물론 약자가 우선적으로 피해를 받겠지만.)

 

둘째 아들의 입장은 양보다 질을, 현상보다 본질을 추구한다. 수학과도 통한다. 사과 1개 + 사과 1개 = 사과 2개. 사과에 꼭지가 있고 없고, 색깔이 조금 다른 것은 사과라는 본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본질의 공통점 외에는 무시하고 더하기가 가능하다. ‘착한 사람, 나쁜 사람에 관계없이 인간은 인간으로 존엄을 갖는다.’에 동의한다면, 이는 수학적 사고방식이다. 착하고 나쁜 사건/사람에 대한 맥락은 무시한다.

 

아주머니의 입장은 본질보다 현상(이를 실존이라고 해야 할까?)을 중요시 여긴다. 관심은 쥐가 (생명체인 것보다) 내가 농사지은 곡식을 빼앗아 가는 것이다. 그것이 현존하는 맥락이다. 아주머니가 농사를 짓지 않고, 글을 쓰는 작가였다면 쥐를 미워할 이유가 없다. 이는 이기적이며 기회주의적이며 진화론적 사고방식이다.

 

셋째 아들은 어머니와 같이 역시 맥락을 중요시하나 근시안적인 맥락이 아니라, 총괄적인 (원시안적?) 맥락에서 파악한다. 이는 영혼적, 무아적, 종교적 사고방식이다.

 

첫째 아들은 어머니와 같은 입장이다. 쥐를 막기 위해 고양이를 키우거나, 쥐덫을 놓는 것으로는 쥐가 곡식을 빼앗아가는 것을 막는데 한계가 있고 (즉 효과가 미미하고)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라고 보고 새로운 해결책을 시행할 능력이 있을 뿐이다.

 

그리고 한 가지 더 고려해야 할 점은 첫째 아들은 고생하는 어머니를 위해, 어머니가 쥐를 미워하는 이유는 세 아들 양육에 책임으로부터 생긴 것이다. 즉 가족주의를 바탕으로 깔고 있다.

 

이 네 사람의 세 가지 가치관에 옳고 그름이 있을까. 누구의 의견이 맞고 틀리는 것인가? 나는 이 세 부류의 가치관 모두 옳다고, 그러나 완벽하지 않다고 이야기한다. 하지만 어째든 쥐에 대해서 (방관을 하든, 쥐덫을 놓든, 바이러스를 퍼뜨리든) 어떤 행동을 취할 수 밖에 없고, 그 행동의 결과가 있게 마련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곰곰생각하는발 2014-03-04 11: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급조한 우화 정말 머리에 쏙쏙 들어오는 이야기군요. 순간 어제 말씀하신 것이 무엇인지 정확히 이해했습니다.
마립간 님이 자주 언급하셔서 그런가 이 글 읽다 보니 저는 정말 수학적 인간인 것 같습니다.
이런 지적은 마립간 님이 처음이어서 좀 당황스럽기도 했는데 ( 왜냐하면 수학은 거의 양, 미'에서 왔다갔다 했ㄱ든요..) 이젠 어느 정도 정리가 된 듯한 느낌입니다. 모든 입장에는 그 입장이 가지고 있는 정당성이 있죠. 그래서 정치가 필요한 것 아니겠습니까. 조율을 하는 차원에서 말이죠. 그래서 전 제 생각을 솔직하게 말하지만 제 주장에 맞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마립간 2014-03-04 15:20   좋아요 0 | URL
기본적으로 다수의 사람은 어머니와 같은 입장으로 행동을 하죠. (속내는 알 수 없지만.) 첫째는 대기업과 같은 이기적이면서도 힘을 행사할 수 있는 사람들이라고 할 수 있겠고요. 둘째와 셋째 성향을 가진 사람을 합쳐도 그 수가 얼마 안 되는 소수이고, 그래서 외롭죠.

소수에 해당하는 가치관을 가진 사람은 가치관에 동조하는 사람도 적을 뿐만 아니라, 사회에서 소수를 인정하지도 않으니 세상살이가 버겁죠. - 그에 대한 평가로 대개 변화하지 못하는 가치관의 경직성을 비난합니다.

제가 바라기는 둘째나 셋째 아들도 자신의 가치관을 유지하면서 살아갈 수 있으면 하는 것이죠. (굶어 죽지 않고.)

페크pek0501 2014-03-06 15: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이런 시각으로 읽었습니다.

니체가 한 말 - "모든 일은 어떻게든 해석이 가능하다. 좋은 일, 나쁜 일이 처음부터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다." - 가 생각나네요. 동양에서도 노자? 인지 장자? 인지 이와 비슷한 말을 한 걸 읽은 것 같은데, 누구인지 기억이 나질 않네요.
심지어 우리 애들이 다툴 때조차도 누가 더 옳다고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어요.
이런 면에서 보면 누가 옳고 저런 면에서 보면 누가 옳고 그렇죠.

마립간 님이 재밌는 이야기를 잘 풀어 놓으셨네요. 유익한 글이에요. ^^

마립간 2014-03-06 15:58   좋아요 0 | URL
저는 '모든 일이 어떻게든 해석이 가능하다.'에 동의하지만, (제 글 말미에 쓴 것처럼) 선택은 있게 마련입니다. 즉 저는 기본적으로 플라톤-노자주의자로 변하지 않는 (최소한 우리 우주에 항상 통용되는) 옳고 그름(저는 이것을 수직적 가치관이라고 부릅니다.)이 존재한다고 믿습니다.

그러니까 저의 위 이야기로 설명하면 둘째 가치관을 기본을 삼고, 세째 가치관으로 보충하는 형국이죠. ; 저의 이런 절대적 진리에 대한 집착은 (아마 아랫글에도 언급되어 있는) 일제 식민지와 관련있을 것입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반성도 없는 친일 집단이 잘 용서가 안 됩니다. (제가 용서 안 한다고 달라지는 것도 없지만.)

니체와 같은 말을 했던 동양 철학자는 아마 장자일 것입니다. 노자는 절대주의, 장자는 상대주의자였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