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이들이 너무 빨리 죽어요
폴 방키뭉 지음, 김미선 옮김, 남희섭 감수 / 서해문집 / 2003년 12월
평점 :
절판
어떤 분은 ‘아이들이 너무 빨리 죽어요.’라는 제목을 보고 ‘헉 저렇게 강렬한 제목은’이라고 이야기하셨지만 저는 강렬한 인상을 ‘이윤이냐 생명이냐?’라는 문구에서 받았습니다. 너무도 당연하지 않은가! (당연보다 더 당연을 뜻하는 용어가 있었으면 그 단어를 사용하고 싶다.) 그것은 이윤입니다.
돈을 벌고 싶다. 무슨 돈 벌이가 없을까? 아픈 사람들이 항상 있으니 약을 만들어 팔면 되겠다. 이왕이면 효과가 좋고 부작용이 적으면 많이 팔리겠지. 그리고 좋은 약이라면 약값이 비싸도 환자들은 기꺼이 돈을 낼 것이다. 아니야, 너무 비싸면 약이 덜 팔리지도 몰라. 조금 가격을 낮추어 경제적으로 넉넉하지 못한 환자도 구입할 만큼 조정을 한다면 더 많은 이윤을 남기게 될 꺼야.
이것이 자연스러운 생각의 흐름이 아닐까요. 같은 돈벌이라도 환자라는 즉 아픈 사람에게 도움이 된다면 부수적으로 더 좋은 일이지만, 좋은 의미와 돈벌이의 우선 순서를 바꾸지는 않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타적 유전자>에 나와 있는 글을 인용합니다. 1768년 루이앙투안 드 부갱빌Louis-Antoine de Bougainville은 타이티 섬을 발견했다. - 중략 - 섬을 에덴 동산에 비유했다. - 중략 - 섬 주민들은 풍요롭고 안락하며 불화 없는 생활에 대한 보고들을 가지고 돌아왔다. - 중략 - 반동은 예고된 것이었다. 타히티 섬 생활의 어두운 측면이 모습을 드러냈다. 사람을 제물로 받치는 관습, 사제의 손을 빌린 정기적인 영아살해, 살인적인 분쟁의 악순환, - 후략
같은 에피소드가 남양군도에서 반복되었다. 1925년 스물세 살의 마거릿 미드는 사모아를 방문했는데 - 중략 - 파라다이스에 관한 이야기를 갖고 돌아왔다. - 중략 - 미드의 신기루도 좀더 정밀한 조사를 통해 덧없이 증발해 버렸다.
사람들은 꿈을 꿉니다. 각박한 도시, 문명, 불의不義, 비도덕적인 것들... 이 모든 것을 떠나고 싶다. 마음씨 좋은 사람들이 모여 평화롭게 사는 작은 마을이 있는 어느 섬. 사람이 루소Jean Jacques Rousseau의 '고상한 야만인'이나 맹자의 성선설의 해당했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나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인간은 너무나 이기적입니다. 그리고 제약회사와 의료계도. 저는 법조계도 종교계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지향점까지 버리자고 하는 것은 아닙니다. 사람으로서 추구해야 하는 바는 분명하게 있으며, 이 책과 연관된 것을 이야기하자면 이윤보다 생명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그런 생각을 갖고 있는 분들 때문에 약소국이나 가난한 사람들이 그나마 삶을 지행하고 있습니다. 동정에 호소하는 것이 전부일까요. 저는 그것이 전부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동정에 호소하기 위해서는 사실을 정확하게 보여주는 자료들이 필요합니다. 이 책은 저에게 막연하게 알고 있던 것들에 대해 구체적인 정보를 주었습니다.
마지막으로 프레토리아 소송에 참여한 분들을 포함하여 이기적인 인간 본성에 대해 항거하여 자신을 희생하는 분들에게 경의를 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