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을 따라 유럽의 변경을 걸었다]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그들을 따라 유럽의 변경을 걸었다 - 푸시킨에서 카잔차키스, 레핀에서 샤갈까지
서정 지음 / 모요사 / 2016년 2월
평점 :
잘 알지 못하는 이 책에 대해 처음부터 오해를 했다. 책의 두께감만큼 사진이 더 많을 것이라 예상을 했고, 그 사진은 분명 저자가 말하고 싶은 문화와 역사의 모습을 담고 있을지라도 나는 그저 보고싶은 만큼 그 풍경 자체만을 즐기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고 생각을 했다. 그리고 늘 그렇듯이 처음에는 가볍게 푸쉬킨의 시가 좋다며 이 시를 암송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며 한없이 가벼운 마음으로 점심 시간에 밥을 먹으며 읽어 볼 요량으로 책을 들고 주방으로 갔다. 이것저것 반찬을 집어먹기도 귀찮아 양은그릇에 밥과 반찬을 모두 쏟아부어 비빈 후 눈길은 책에 고정을 하고 밥을 먹기 시작했는데 어째 밥의 양은 줄어들고 있지만 책의 진도는 전혀 나가는 느낌이 없었다. 사실 밥을 씹어 먹는데 열중하면서 가볍게 술렁거리며 읽기에 도스토옙스키와 톨스토이는 전혀 어울리는 조화가 아니다.
하루 이틀이면 다 읽을 수 있을 것 같던 내 예상은 그때부터 빗나갔음을 깨달았고, 그 후 며칠동안 야금야금 책을 조금씩 읽어내려갔다. 솔직히 한꺼번에 소화시키기에는 내 소화능력이 역부족하다는 것을 스스로 알고 있다는 것 자체가 너무 다행이었다.
유럽의 변경이라고만 생각을 해서 온통 러시아와 그 주변의 독립국가들에 대한 이야기일 것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뒤로 가면서 저자의 이야기는 단순히 러시아의 대문호에 대한 이야기뿐만 아니라 러시아 출신 작가와 화가, 그리고 조금 더 멀리 돌아 '변방'의 화가였다고 생각하면 그럴수도 있겠다 싶은 고흐에 대한 이야기까지 하고 있다.
나는 아무 생각없이 그저 저자의 이야기를 들을수밖에 없었다. 내가 잘 알지도 못하는 이야기가 많기도 했지만 생각해보지 못했던 이야기도 많았고, 독일의 이야기는 한번쯤 더 생각해보고 싶은 이야기이기도 했고. 독일의 바이마르에 대해 한마디만 덧붙이자면 문화유산이라는 것 하나로 그곳을 여행해보고 싶다는 생각으로 이것저것 자료를 찾아본적이 있지만 결국 내가 반드시 가봐야할 곳일까, 라는 의문을 가지면서 완전히 잊혀진 곳이었는데 정말 얼마나 알고 느끼고 깨닫고 있느냐에 따라 한 지역의 문화 역사적 가치에 대한 판단기준이 달라지는 것인가를 여실히 느끼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 책에 대해, 저자의 이야기를 시시콜콜히 털어놓는 것은 그리 큰 의미가 없을 것 같다. 내가 잘 알지 못하는 이야기들이기에 그저 그녀의 이야기를 옮겨놓는 것 밖에는 의미가 없을테니까. 하지만 과거와 현재를 넘나들면서 저자의 시각에서 그 장소를 바라보며 잔잔하게 늘어놓는 이야기를 직접 들어보는 것은 분명 풍부한 감성을 느끼게 되고 역사의 현장을 새롭게 바라보는 시각을 갖게 해 줄 것이라 생각한다.
하아. 하지만 이렇게 말을 하면서도 역시 내가 가보지 못한 곳에 대한 막연함이 더 커서인지 내 기억에 남는 것은 그저 겉핥기 관광객으로 지나쳤던 베네치아의 풍경들과 몇년전부터 읽어봐야겠다는 결심은 앞섰지만 아직도 토마스 만의 작품은 읽어보지 못했구나, 라는 생각뿐이다. 그리고 언젠가 꼭 가보고 싶다는 생각을 한 카잔차키스의 무덤.
그런데 책의 마지막을 덮으며 생각해보니 이 책의 시작은 춥고 황량한 시베리아를 떠올리게 하지만 엄격한 도덕과 철학사상을 자신들의 작품에 담았던 위대한 문학가이자 사상가(그러고보니 러시아 문인들은 그들이 곧 철학적 사상가라는 저자의 이야기가 있었구나)의 이야기에서 시작하여 강렬한 색조를 보여주는 고흐를 거쳐 뜨거운 태양이 떠오르는 그리스의 자유로운 영혼인 조르바의 이야기로 끝을 맺고 있다. 어떤 의미에서는 아니, 어떤 의미로든 정말 유럽의 변경을 따라 걸었다는 말이 딱 그대로인 여정이었음을 깨닫는 순간 왠지 다시 이 책의 처음을 펼쳐들고 싶어진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