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녀귀신>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
처녀귀신 - 조선시대 여인의 한과 복수 ㅣ 키워드 한국문화 6
최기숙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5월
평점 :
때마침 나온 책이라고 할까.요즈음 읽기 좋은 책이다.귀신에 대한 이야기 더군다나 한국 아니 조선의 전통적인 귀신 산발을 하고 하얀 소복의 처녀귀신 이야기다.
부제도 "조선시대 여인의 한과 복수"이다.한 ...원한..그리고 귀신의 복수 .소름이 끼친다.이 책은 고전,특히 소설을 통해본 조선시대 귀신이야기에 대한 분석이다.귀신의 전통적인 패션 부터 전통적인 귀신 ..남자귀신은 귀신이 아니라 뭐...제사에 등장하는 정도 그리고 집안을 도와주고 죽어서도 가장으로서 책임을 지는 그런 정도..이야기의 주제는 단연 원한을 품고 죽은 여인..그것도 억울한 누명을 쓰고 죽은 처녀귀신이 주인공이다.
여기서 저자가 이야기하는 귀신의 출현이유는 단 한가지이다..그것은 현실에 전할 '말'이었다.억울함과 분노 , 슬픔과 절망으로 버무려진, 순도를 상실한 묵은 감정, 문법을 상실한 '한'이라는 단일한 언어로 명명되어 귀곡성의 형태로 우리에게 전달되는 것이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피흘리며 울부짖ㄴ느 여자귀신은 그 출현 자체만으로 긴장을 불러 일으켜,나타나는 순간 현실적 규범과 질서에 균열이 생기고 혼란에 빠지게 된다.그래서 아예 정작 현실에전하기도 전에 그 현실의 사람들은 기절하거나 죽고 만다.
저자는 조선시대 여자들의 불평등에 근거한 사회적 억압이 그러한 귀신들을 잉태 했으며, 그런 소수의 의견을 귀신들의 '말'을 통해서 시대상의 문화도 알수 있음을 말하고 있다.
사회의 모순이 존재하는한 귀신이야기는 불멸의 공포 장르이자 비극의 파토스로 살아 있을 것이다.
본문에 나오는 이야기들은 그냥 단순한 스토리이지만 아마 영화로 만들면 무시무시한 소재들임에 틀림없을것 같다,
지금 밤 11시 넘은 시간에 리뷰 스는 내 pc뒤로 하얀 소복을 입은 여자가 뒤에서 지켜보는 느낌이다.어깨에 소름이 끼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