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그림 보면 옛 생각난다] 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옛 그림 보면 옛 생각 난다 - 하루 한 장만 보아도, 하루 한 장만 읽어도, 온종일 행복한 그림 이야기
손철주 지음 / 현암사 / 2011년 5월
평점 :
저자 손철주의 책은 이번에 처음이다. 그러나 상당히 유명한 저자였다. 미술 칼럼리스트라 이미『그림 아는 만큼 보인다』라는 유명한 책도 있었고 게다가 그림과 붓글씨에도 일가견이 있다고 한다. 사실 제목도 마음에 들었지만, 저자의 소갯글을 읽으며 더욱 기대되는 책이었다. '한잔 술이 있으면 썩 잘 노는 사람'이라더니 술 없이도 그림과 한시 등만 보고 읽어도 술술 말이 매끄럽게 흘러넘칠 것만 같은 이였다.
사계절로 나눠 그림을 실고 그에 따른 저자의 농익은 글결을 따라가자니 정말이지 재미있었다. 왜 이제야 저자를 알았을까. 그의 다른 책도 꼭 읽어야겠다고 생각했다. 일단 박학다식함과 그림에 따라 읽어내는 감성과 의미가 남달랐다. 그의 글은 정갈한 녹차보다는 구수한 탁주를 닮았다. 그런데도 시종일관 재미있는 이유는 때로는 살뜰히 그림을 살피고 또 때로는 호되게 호통치기 때문이다. 유와 무를 동시에 휘두르니 과연 읽을 맛이 난다. 사실 옛 그림만 있었어도 그저 하루에 한 개씩만 보아도 마음이 편안해질 거 같았는데 저자의 글이 어우러져 더욱 깊은 맛이 난다.
그림은 대부분 미술관이나 박물관에 가면 만날 수 있는 작품이었지만 개인소장 작품 등은 직접 볼 수 없어 아쉽기만 하다. 언제고 시간을 내서 직접 만나면 저자의 글이 떠오를지도 모르겠다. 무엇보다 나만의 그림보기가 가장 중요하지만 아직 저자를 따라가려면 멀었다. 정녕 부러운 점이다.
봄 편 그림은 윤두서의 <쑥캐기>가 정겨웠다. 선비화가 윤두서는 아랫사람들의 남루한 일상을 자주 그렸다 한다. 다산 정약용이 그의 외증손이라니 어쩐지 더 기억해두고 싶은 사람이다. 그런데 아쉽게도 이 그림은 개인소장이다. 직접 보기는 어렵겠지만 봄이면 생각날 거 같다. 또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지란도>와 임희지의 <난초> 또한 멋졌다. 특히 임희지의 난은 촉이 살아 있는 듯하고 독특하다. 난을 많이 친 옛사람들의 난 그림에는 개인의 성품이 담겨서 모두 비슷해 보여도 확실히 다르다. 마지막으로 청화백자 잔받침에 숨은 가르침과 마음도 새롭다. 저자의 말이 또한 일품이다. '청탁은 너절하지 않게, 듣는 이를 웃음 짓게 하라.' (57쪽.)
여름 편에서는 이한철의 <물 구경>에서 깨달음이 전해진다. 굳이 공자, 노자, 주자를 이야기하지 않아도 물이 흐르는 것만 보아도 마음이 편해지던 경험을 떠올리며 물에 씻어버릴 것들을 기억해본다. 정선의 <수박 파먹는 쥐>는 풍자화인데 쥐는 간신배와 탐관오리라 하니 예나 지금이나 쥐떼는 끊이질 않는듯하다. 그리고 박제가의 그림 <어락도>도 만날 수 있어서 색다르며 지두화인 윤제홍의 <돌아가는 어부>의 보이지 않는 빗줄기가 시원하다. 옛 그림은 간소한데 가만 들여다보면 참으로 많은 뜻이 들어있어 지루할 틈이 없다.
가을 편은 주로 달이 소재인데 그 시절에도 달을 보며 느끼는 것은 지금과 다를 바가 없었다. 다만, 휘영청한 달과 나무가 아닌 도심 속에서 만나는 달이라는 차이가 있다. 그때만큼의 외로움과 고요함, 따뜻함은 비슷하겠지만 낭만은 어쩐지 실종된 거 같아 아쉽다. 달본지 며칠인지 모르겠다.
마지막으로 겨울 편에서는 단원 김홍도의 <표피도>가 단연 압권이었다. 어찌 그렸을까 싶을 정도로 수없이 붓질했을 모습이 상상이 가지 않는다. 사실 <송하맹호도>의 호랑이 눈빛도 인상적이었는데 이 그림 또한 놀랍다. 현대 화가들의 작품과 나란히 두어도 전혀 이질감이 느껴지지 않을 정도이다. 그런데도 또한 예스럽다니. 아, 그런데 이 그림 역시 직접 볼 기회조차 없다. 평양 조선미술박물관에 있기때문이다. 아쉽고 또 아쉽다.
다정한 우리 옛 그림을 보며 옛 생각도 해보고 다양한 마음이 오고 갔다. 실로 오랜만에 좋은 미술책을 만난 기쁨이 크다. 함께 실린 한시 그리고 저자의 말까지 버릴 게 없었다. 추천할만한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