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워커 리더십

H그룹은 정주영의 '하면 된다'는 철학에 근거하여 가끔 군 출신 비전문가들을 중용하곤 했다. 신입사원 시절 팀장이 그룹사 예비군 동대장 출신이었다. 군 출신들은 그들의 비전문성을 감추기 위해 설명서 수준의 보고서를 요청하였고 달달 외운 지식을 그들의 주특기인 브리핑으로 포장하였다. 윗사람들에게는 종종 사람에 충성할 줄 아는 그들의 충성심과 폭력성으로 조직을 장악하는 능력이 특출나게 비쳤고 그것을 워커 리더십이라 칭송하곤 하였다. 원님 덕에 나팔 분다고 일단 죽이 맞은 그들은 워커 리더십에 물광,불광을 내기 시작했고 가끔 회의실에서는 정강이 조인트 까는 퍼포먼스도 펼쳐지곤 하였다. 승승장구한 워커는 중국 공장 총경리를 거쳐 퇴직후 중국에 공장을 차리게 되었는데 워커식 경영에 대한 소문은 심심찮게 들려왔다. 그가 퇴출된 결정적인 이유는 화장실 청소가 불만족스럽다는 이유로 중국 직원에게 화장실 변기를 혀로 핡게 한 만행이 폭로되고 나서이다.


2.마라톤 리더십 혹은 경영

그는 아들의 후계 구도를 정리하려는 MK의 전략적 선택에 의하여 그룹 부회장직에서 밀려난 인물이다. 그가 계열사 사장으로 밀려난 후 가장 먼저 손을 댄 부분은 인사평가였고 참 스포츠스럽게도 인사고과에 마라톤 기록을 포함시킨 것이다. 최소 10킬로 단축 마라톤에서 특정 시간을 넘기지 말아야 진급의 마지노선을 건널 수 있는 참 42.195킬로같은 평가기준이었다. 취임 초기 전사에 마라톤 붐이 분 것은 당연한 결과였다. 직장인의 목줄을 제대로 거머쥘 줄 아는 리더십이었다. 나도 그때의 분위기에 휩쓸려 퇴근후 3주 정도 매일 5킬로를 달리곤 하였다. 그의 이런 방식은 마라톤 경영 이라는 용어로 재계에서 꽤나 유명했는데 인터넷 기사를 찾던 중 충격적인 내용을 보게 되었다. 우리 회사로 오기 전 회사에서 먼저 시행한 이 평가로 진급을 준비하던 비슷한 연배의 직장인이 퇴근후 마라톤 연습중 심장마비로 사망한 사건이었다. 그날 퇴근후 어둠속을 달리다 문득 달리기를 그만두었다. 그 사망사건이 조명되면서 마라톤 평가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형성되었고 그도 한 발짝 물러나는 분위기였다. 그러나 방심하면 안된다. 그는 다시 등산 경영이라는 경영지침으로 전면에 나서기 시작했고 그 해 가을 주말마다 팀별로 참 많은 산을 기어올랐다. 진급전 퇴사를 결정하게 되어 그의 평가를 제대로 받아볼 기회는 없었다. 다만 마라톤과 등산으로 단련된 그의 이른 부고를 신문지 부고란을 통하여 접하게 되었다.


3.똥 리더십

설명이 필요없겠다. 똥파리를 불러 모을 필요도 없다. 그저 구리면 된다. 똥파리가 알아서 끼고 알아서 깐다. 작금의 대한민국 현실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감은빛 2023-09-19 16: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 매일 5킬로미터를 달리셨다니!
그런데 마라톤 연습 중에 심장마비로 사망하는 일도 있었군요.

사실 마라톤은 아무나 할 수 없는 운동이라고 생각해요.
우리가 살면서 10킬로미터 이상을 달릴 일이, 아니 달려야 할 일이 얼마나 있을까요?
달리기는 딱 3~5킬로미터 정도면 적당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저는 요즘은 장거리 말고 단거리 달리기를 연습하고 있어요.

잉크냄새 2023-09-20 09:33   좋아요 0 | URL
저 시기에 하나 알게 된 사실이 있어요.
우리나라 각 지역 축제에 단축마라톤이 무지하게 많다는 거죠. 전 잘 참가하지 않았는데도 몇몇 지역 단축 마라톤을 뛰었습니다.
 

우리는 무지개를 빨/주/노/초/파/남/보의 일곱 가지 색으로 봅니다. 그런데 미국 사람들은 빨/주/노/초/파/보의 여섯 가지 색으로 보고, 독일 사람들은 빨/노/파/검/회의 다섯 가지 색으로 봅니다. 언어마다 무지개색을 표현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똑같은 무지개에서 무지개색을 달리 봅니다. 우리는 이처럼 각자의 모국어가 그어놓은 선에 따라서 세계를 봅니다. -p182-









---------------------------------------------------------------------------------

언어가 생각을 제한한다는 '언어결정론'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를 든 문장인데, 당연하다고 생각한 무지개의 일곱 가지 색의 스펙트럼이 다르게 해석된다는 것이 이채롭다. 미국의 경우 남색과 보라색을 보라색으로 분류한 점은 쉽게 수긍이 가지만 독일의 경우 빨강과 주황을 빨강의 범주로 묶은 분류 외에는 상상이 가지 않는다. 언어에 따라 세상이 달리 보일 수 있다는 점이 놀랍다. 


연장선상에서 작가는 조지 오웰의 소설 <1984>에서 나온 특정 단어를 없앰으로써 생각을 제한할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려준다. '자유'라는 단어를 없애버리면 사람들이 자유를 갈망하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요즘 일련의 사태와 묘한 기시감이 느껴진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미 2023-09-05 15:4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발언자가 누구인지 어떤 의도인지에 따라 자유를 너무 강조하는 것도 본래 의미를 왜곡시킬 수 있는것 같아요.

잉크냄새 2023-09-05 20:41   좋아요 1 | URL
자유란 단어만큼 중의적인 의미로 해석되는 단어는 없을것 같네요.

감은빛 2023-09-19 16: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끔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회의를 하다보면 같은 단어를 서로 다른 의미로 사용하고 이해한다는 걸 깨닫곤 해요. 서로 기본 전제가 되는 개념에 대한 이해가 다르니 합의에 이르기는 쉽지 않죠.
이럴 때에 논의가 계속 공회전하는 모습을 보면 정말 답답하기만 한데, 딱히 해답을 찾기가 어렵더라구요.

잉크냄새 2023-09-20 09:31   좋아요 0 | URL
배가 산으로 가는 경우도 많이 보게 되죠.
 

이 전략(펀치 업 punching up)이 성공하려면 비판하는 자와 비판받는 자가 동일한 규범을 받아들이고 관련 사실에 동의해야 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근본 가치에 대한 합의가 이뤄졌을 때, 권력자의 무분별한 행동이 부인하기 힘들 만큼 명확하고 근거가 확실할 때, 수치심 자극은 결실을 맺는다. -p236-









------------------------------------------------------------------------------------

저자는 비만, 가난, 중독 등 다방면에 걸친 왜곡된 수치심이 알고리즘을 통해 구조화되고 상업적으로 활용되는 수치심 머신을 고발한다. 또한 수치심 머신을 역으로 이용하여 유익한 결과를 이끌어내는 길을 제시하기도 하는데 여기서 말하는 펀치업 전략은 간략히 말하면 권력자의 수치심을 건들어 유익한 결과를 끌어내는 전략이다. 그 성공 사례로 소개되는 간디의 국민 저항 운동은 영국의 문명국으로서의 자존심을 역으로 이용하였고 미투의 경우 남성의 성적 수치심을 폭로하여 결과를 이끌어내었다.


펀치업 전략의 전제 조건으로 기술되는 '비판하는 자와 비판받는 자가 동일한 규범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사실'에 특히 주목하게 되는데, 펀치업 전략의 필요충분조건은 최소한 수치심을 느끼는 인간을 대상으로 한다는 것이다. 제국주의 영국이든, 미친 수컷 하비 와인스타인이든 최소한 수치심의 범주 안에는 분류할 수 있는 대상이었다는 것이다. 펀치업 전략의 대상을 국내로 돌려보면 절망하게 되는데, 조선 총독 윤가과 영혼의 단짝 김가에게는 절대 적용할 수 없는 전략이라는 것은 불을 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수치심은 개나 줘버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치적 언어는 사실에 바탕하지도 않았고 의견에 바탕하지도 않았다. 그것은 흔히 욕망이나 이득에 바탕하고 있었다. 욕망과 이득에 바탕한 말들은 사실을 지운다. -p66-










--------------------------------------------------------------------------------------

후쿠시마 오염수 문제가 한참인 요즘, 살신성인(?)의 자세로 수산 시장의 바닷물을 몸소 퍼마신 (도대체 왜? ) 국회의원의 행위도 나름의 고도화된 정치적 언어로 볼 수 있을까? 멍게가 아닌 사람이 행한 행위라는 것이 영 마뜩치 않지만, 무엇보다도 그 멍게가 5선이라는 사실에 절망하게 된다. 정치도 좀 세련되게 하자!!!


댓글(5)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3-08-29 10:2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3-08-29 10:2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3-08-29 12:5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3-09-01 00:3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3-09-01 14:54   URL
비밀 댓글입니다.
 

빈 의자의 깊이 

                    -심재휘-


지난 여름 

뒷마당의 측백나무 울타리 가에 

깊이를 가진 의자 두 개를 두었더니 

그대가 즐겨 앉고 떠난 한 자리에 

오늘은 가을 저녁 빛이 앉았습니다 

당신 모습만큼만 앉았다 저녁연기처럼 

흩어집니다


아직도 당신이 앉아 있는 저 의자는 

밤낮 빈 의자입니다 

우리가 한 생애 동안 가질 수 있는 것이라고는 

저렇듯 만질 수 없는 의자의 깊이뿐입니다


터질 듯 매달린 가을 열매들 곁에서 

비록 아무도 모르게 식어가는 저 의자이지만 

그 충만한 허공까지도 내 흔쾌히 사랑할 수만 있다면 

서늘한 의자에 그대처럼 앉아보는 나의 오늘이 

이렇게 외롭지는 않을 것입니다만


손으로 더듬어도 잘 만져지지 않는 것들도 있고, 의자에 내려 앉은 가을 저녁빛처럼 충만한 허공처럼 만져지는 것들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