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파레토의 법칙
 19세 기말 만들어진 ‘파레토의 법칙’은 요즘 유행하는 ‘80-20 법칙’과같은 말이다.
 즉, 상위 20% 사람들이 전체 부(富)의 80%를 가지고 있다거나, 상위 20% 고객이 매출의 80%를 창출한다든가 하는 의미로 쓰이지만,
 80과 20은 숫자 자체를 반드시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결국 파레토의 법칙은 전체 성과의 대부분(80)이 몇 가지 소수의 요소(20)에 의존한다는 의미이다.
마찬가지로, 어떤 사람의 직무상 성과를 결정짓는 요인들은 많겠지만, 결국은 한두 가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김언수, 교수, 고대)

파레토는 로잔학파에 속하는 이탈리아의 경제학자로 그가 발표한 소득분포의 불평등도(不平等度)에 관한 법칙.  
소득분포에 관한 실증분석면에서의 독창적인 업적을 담은 저서 《경제학강의:Le Cours d’conomie politique》(2권, 1896∼1897)를 통해 발표한 내용에 의하면,
소득이 y 이상인 인원수 N(y)와 y와의 사이에는 log N(y)=B-α log y 의 경험적 법칙이 존재한다.
이 경우 α(파레토 定數)의 수치가 클수록 소득의 불평등도는 높다.
그 후의 연구에서는 파레토의 법칙이 성립하는 것은 중 정도의 소득보다 높은 사람들에게 한정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따라서 이 법칙을 이용하여 α를 계측하는 데는 먼저 양대수(兩對數) 그래프에 y와 N을 기입한 다음 양자의 관계가 직선에 가까워지는 범위에 대해 최소자승법을 적용하면 된다.
이 법칙은 부의 분포 비교 등에도 사용된다.
소득분포의 불평등도를 계측하는 방법으로는 파레토의 법칙 이용 외에 로렌츠곡선에 의한 비교, 지브라의 법칙을 사용하는 방식 등이 있다.

핵심 20%가 나머지 80% 운명 좌우 .. '80/20법칙'
 "현명한 사람은 적게 일하고 많이 거둔다.  조직에서도 뛰어난 20%의 역량이 80%의 성과를 이뤄낸다"
 "80/20 법칙"(리처드 코치 지음,공병호 옮김,21세기북스)의 핵심 메시지다.
 80/20은 전체 투입의 20%에서 성취의 80%가 달성된다는 법칙.
 1872년 이탈리아 경제학자 빌프레도 파레토가 정립한 이론이다.
 전체 인구의 20%가 맥주의 80%를 소비하고 부(부)의 80%를 점유하는 것처럼 고객의 20%가 매출의 80%를 차지하는 게 현실이다.
 업무시간이 길다고 매출이 높아지는 것이 아니며 사업을 확장한다고 안정성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회사로서는 효과가 미미한 자원을 줄이고 실효성이 큰 자원을 최대한 사용함으로써 전체 자원의 최적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
 잉여가치가 커지면 서비스,시장점유율,우수인력 확보가 그만큼 유리해지기 때 문이다.
 저자는 생산성이 높은 분야에 집중 투자하는 것이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컨설팅 사례를 들어 설명한다.
 이 법칙을 활용해서 가장 큰 성공을 거둔 기업은 IBM이다.
 1963년 회사 경영진은 컴퓨터 사용시간의 80%를 전 운영코드 가운데 20%를 실행하는데 쓰고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
 그래서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20%의 운영코드를 쉽고 편하도록 소프트웨어를 다시 만들었고 경쟁사들보다 효율적이고 빠른 컴퓨터를 생산할 수 있었다.
 그러자 애플,로터스,마이크로소프트 등도 뒤따르기 시작했다.
 저자는 조직뿐만 아니라 개인의 삶에도 이 법칙이 적용된다며 "지금 하는 일의 20%가 당신의 인생과 비즈니스를 좌우한다"고 말한다.
 이 책을 읽는 방법 또한 그렇다. 1부에서 80/20의 원리를 이해한 뒤 2~4부의 "개인편""기업편""사회편"중 자신 에게 필요한 부분을 골라 집중적으로 소화하는 게 좋다.
 그런 다음 각각의 연관관계까지 체득한다면 금상첨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만약 당신이 얼룩말이고
다른 얼룩말들과 무리를 지어 산다면...
무리를 이루고 있는 다른 얼룩말들과의 관계에서
당신이 내려야 할
가장 중요한 결정은 
당신은 어디에 위치할 것인가가 된다.
외부환경이 안전하다고 본다면.....
싱싱한 풀을 먹을 수 있는
무리의 외곽이
최고의 위치가 될 것이다.

한편.....
무리 중앙에 있는 얼룩말들은.....
뜯다 남은 풀이나
발굽에 짓이겨진 풀만
먹게 될 것이다.

적극적인 얼룩말들은(전자의 경우)
외곽에서
더 많은 싱싱한 풀을 먹게 되는 것이다.

한편......
사자가 달려들 때에는 문제가 달라진다.

외곽에 있는 얼룩말들은
사자의 점심식사로
끝장을 보게 되지만.........

무리의 중앙에 있던
야윈 얼룩말들은
덜 먹더라도
살아남을 수 있는 것이다.

이번에는...
얼룩말들이 계곡에 있고
계곡 저편에는
사자가 잠들어 있는 상황을 보자.

모든 얼룩말들은
사자의 코앞까지 다가가서
풀을 뜯어먹다가
사자가 달려들기 직전에
오솔길로 뛰쳐나와 달아나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그러나
불행스럽게도.... 길이 좁기 때문에
얼룩말들은
좁은 길목 입구에
무더기로 몰리게 되고
얼룩말들은 꼼짝달싹할 수 없게 되어
사자의 밥이 되어버린다.......

--------------(랄프윈저의 글 중에서)


    ♬~ * ♬♡~
어떤 트레이더가 되고 싶으십니까?
살아남느냐 죽느냐의 문제는
과욕을 부리느냐......
자신만의 길을 가느냐....
의 문제로 귀착되는 것 아닐런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틀리에]투자 잘하려면 운동을! 권성희 기자   | 11/05 
 
[머니투데이]건망증이 심각한 수준이다. 옷을 바꾸러 백화점에 가겠다며 옷을 챙겨 놓은 뒤 정작 백화점에는 빈 손으로 간다. 백화점에 도착해서 "어, 내가 여기 왜 왔지?"하는 생각이 든 다음에야 목적을 두고 왔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집 문을 잠그고 외출해야 할 때는 입고 있는 바지 주머니 속에 있는 열쇠를 한 참이나 찾아 헤매곤 한다. "아, 심각해"하고 생각하면서도 마음 한 편으로는 무슨 대단한 일에 집중하기 때문인 양(어렸을 때 읽은 위인전기에서 뉴턴이나 아인슈타인, 혹은 베토벤 등은 위대한 업적에 열중하느라 일상의 사사로운 일은 자주 깜박 잊어버리곤 했다) 대수롭지 않게 넘어가버린다.

그러다 나의 이 안일함에 경종을 울리는 기사를 접하게 됐다. 나이가 들면서 나타나는 건망증은 대뇌 피질 축소라는 노화 과정의 결과라는 것이다. 아시안 월스트리트 저널(AWSJ) 주말 섹션인 '퍼스널 저널'에 따르면 30세부터 90세까지 대뇌 피질은 평균 15% 감소한다. 결국 30을 넘어서부터 나타나는 건망증은 대단한 일에 골몰한 결과가 아니라 단순한 노화 증상의 뚜렷한 징조인 뿐인 것이다.

결국 세계적인 투자자인 워런 버핏이나 존 템플턴처럼 늙어서도 '노망 들었다'는 소리 듣지 않고 샤프한 판단력을 자랑하고 싶다면 운동을 시작해야 한다는 결정에 도달했다.

AWSJ에 따르면 대뇌 피질 축소를 막는 최선의 방법은 두뇌에 신선한 산소를 많이 공급하는 것이며 두뇌에 가장 효과적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방법은 에어로빅이나 달리기, 혹은 걷기 등 유산소 운동을 하는 것이다.

일리노이 대학의 아트 크레이머 박사가 55~79세까지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유산소 운동은 두뇌 세포의 자연 감소를 크게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러닝 머신에서 잘 달리는 사람들의 두뇌에는 그렇지 못한 사람들에 비해 세포가 더 조밀하게 분포하고 있었다. 이는 유산소 운동을 꾸준히 해온 사람들은 두뇌 세포의 감소가 지연돼 왔음을 의미하는 것이란 주장이다.

크레이머 박사가 3년전에 실시한 연구 결과도 흥미롭다. 그는 55~79세의 무직자들을 두 그룹으로 나눠 한 그룹은 6개월간 일주일에 세번, 하루에 한시간씩 걷게 하고 다른 한 그룹은 일주일에 세번, 하루에 한시간씩 웨이트 트레이닝 등 무산소 운동을 하게 했다. 이 결과 걷는 그룹은 기억력이나 의사 결정력 등이 25%가량 개선됐으나 무산소 운동을 한 그룹은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그러고 보면 최고경영자(CEO)나 유명한 투자자들이 선호하는 운동이 많이 걷는 골프나 뛰어다녀야 하는 테니스 등 유산소 운동이라는 사실은 시사점이 있다. 버핏은 골프광은 아니나 '오거스타'란 친목 골프 그룹에 참여하고 있고 GE의 전 CEO였던 잭 웰치는 9살 때부터 골프를 시작한 골프 마니아다.

올 3월에 76세를 맞은 앨런 그린스펀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은 아직도 테니스를 일주일에 수차례씩 즐기는 체력의 소유자며 '효율적 시장 이론'으로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유진 파머 시카고대 경제학 교수도 테니스 실력이 수준급이다.

따라서 경영을 잘 하고, 투자를 잘 하려면 서류뭉치나 컴퓨터 모니터만 들여다보지 말고 일주일에 두어번씩은 필드에 나가거나 산에 오르거나 수영을 하거나 아니면 뛰기라도 할 일이다. 진부하긴 하지만 "건강한 육체에 건강한 정신이 깃든다"는 만고불변의 진리인 듯 싶다. < 저작권자 ⓒ머니투데이(경제신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틀리에]장기 보유 VS 타이밍 매매   권성희 기자   | 10/22 11:44   |   조회 2180       
 
[머니투데이]고등학교 때 수학 선생님이 우연히 주식에 대해 말씀하셨다. 주가란 떨어지는 듯 해도 장기적으로는 상승 곡선을 그린다는 설명이었다. 주식 투자가 지금처럼 대중화되지 않았던 십수년전 그 때, 수학 선생님은 벌써 '매수 후 장기 보유(Buy and hold)' 전략을 생각하고 계셨던 듯 하다.

그러나 이를 어쩌랴. 십수년 전인 그 때, 막 500 고지를 탈환했던 종합주가지수가 현재도 650을 왔다 갔다 하고 있으니 말이다. 십수년간 총 수익률은 대략 32%. 연평균을 따지자면 2.3%에 불과하니 은행 예금 이자보다도 훨씬 낮다.

미국 주식시장에 대해 기사를 쓰기 시작한게 꼭 2년. 우연히도 침체장만을 집중적으로 경험한 셈이다. 그래서인지 '매수 후 장기 보유' 전략은 항상 의문이다. 미국 뉴욕 증시가 5년전 수준으로 회귀해버린 지금, 5년간 주식을 보유하고 있던 사람들에게 "너무 실망하지 말고 더 먼 미래를 바라보아요"라고 말하는게 무슨 소용일까.

주식 투자에서 추세 전환점의 타이밍을 노려 매매하는 것은 실패의 지름길로 치부되고 한 번 주식을 사서 꾸준히 보유하는 것은 언젠가는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성공적인 전략으로 여겨진다. 아무도 타이밍을 꼭 집어 맞출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수학 선생님이 십수년전 그 때 주식을 사서 지금까지 팔지 않고 쭉 보유했다면 어떨까. 차라리 은행에 넣어두거나 부동산에 투자할걸 하고 땅을 치지 않았을까. 아니면 900을 넘어서면 팔고 500 밑으로 떨어지면 살걸 그랬다고 후회하지 않았을까.

장기적으로 주식의 수익률이 가장 좋다고 공표한 사람은 펜실베니아 와튼 경영대학원의 제레미 시걸 교수였다. 그는 '주식투자 바이블'(원제: Stocks for the long run)'이란 책에서 1802년 이후 195년간 주식이 채권 등 다른 투자 대상보다 수익률이 높았다고 밝혔다. 책 원제대로 장기적으로는 주식이 최고란 주장이다.

그러나 195년동안 주식 투자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 월스트리트 저널(WSJ)에 따르면 미국에서 국채는 주식의 수익률을 지난 5년간은 물론 10년간, 15년간 쭉 앞서왔다. 1987년 9월부터 올해 9월까지 S&P500 지수의 수익률은 264%로 연평균 9%. 반면 국채 수익률은 382%로 연평균 11%였다.

물론 S&P500 지수는 1987년 9월에 고점이었고 10월에 블랙먼데이를 거치면서 급락했다. 따라서 주가 급락 후인 1987년 10월부터 올해 3분기말까지 계산하면 주식의 연평균 수익률은 10.83%로 국채의 10.67%를 소폭 앞선다.

결국 시기를 어떻게 자르느냐에 따라 주식의 수익률이 국채를 앞서기도 하고 반대로 국채가 주식을 앞서기도 한다. 따라서 타이밍이 중요하지 않다고 말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문제는 타이밍을 꼭 잡기가 어렵다는 점일 뿐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존 템플턴이나 워런 버핏, 존 네프와 같은 유명한 투자자들로부터 한 수 배우자면 이들은 타이밍을 잡지 않았다. 싼 주식을 찾았다. 템플턴의 경우 싸다고 생각할 때는 국가를 가리지 않았고 주식이나 채권을 구분하지도 않았다. 때로는 공매(주식을 빌려 매도하는 전략)까지 적극 활용했다.

주식을 사서 오래 가지고 있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고 타이밍을 맞추려고 눈치를 보는 것도 현명하지 않다. 중요한 것은 좋은 주식을 싸게 사는 것뿐이다. 이것은 물건을 살 때도 적용되는 만고의 진리인데 주식 투자할 때는 다른 용한 수법이 있는 양 이를 자주 잊어버리는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