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애와 루이, 318일간의 버스여행 1
최미애 지음, 장 루이 볼프 사진 / 자인 / 2002년 11월
평점 :
품절


이 세상의 어떤 여행기를 막론하고 그 안에는 수많은 생각과 수많은 사람과 너무나 많은 기쁨과 너무나 큰 아픔의 기억이 있는 것 같다. 글쓴이가 여행 전문 작가이건, 이 책의 미애처럼 그렇지 않건 간에 말이다. 그리고 여행지에서 만난 지구촌 곳곳 사는 사람들의 모습은 삶의 방식에 있어, 조금 다를 수 있어도 본질은 같다. 빈부의 차이만을 뺀다면.....

그렇다. 빈부의 차이, 미애와 루이 부부는 버스로 서울-파리, 파리-서울 구간을 파리행에서는 중앙아시아를, 서울행에서는 인도와 티벳을 거치는 경로로 잡았기 때문에, 가난한 사람들의 힘들게 살아가는 모습을 많이 보게 된다. 그들의 모습을 보는 건 유쾌한 일이 결코 아닐 것이다. 저들은 왜 저렇게 가난하게 살아야 하는가. 내가 해 줄 수 있는 일은 없을까, 그런 마음이 앞설 것이고. 미애도 그런 사람들의 모습을 안타깝게 바라보며, ‘이런 열악한 환경에서 어떻게 살 수 있을까, 힘들지 않을까, 너무나 불쌍하다’라고 느낀다.

하지만, 정작 당사자인 그 사람들은 그런 생각을 한번도 하지 않으며 삶을 살아갈 것이다. 스스로를 ‘불행하다’, ‘불쌍하다’라고 여기지 않을 것이다(혹, ‘불쌍하다’라고 스스로를 생각한다면, 그 순간부터 인간은 한낱 물질의 노예가 되어버리고, 한없는 슬픔에 허우적거려야 할지도). 인생에서 정작 중요한 것은 ‘물질’과는 다른 것일 수 있는데, 여행자인 제 3자가 섣불리 그들을 ‘불쌍하다’고 판단을 하는 것도 일종의 ‘오만’이 되어버릴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여행기 책들과 달리, 남편인 루이와의 심리적인 갈등(이들이 버스 여행을 도중하차 했더라면 아마도 이혼 도장 찍었을 법한 부부 싸움이야기)도 읽히고, 모자라는 여행 자금 때문에 전전긍긍해하는 마음도 곳곳에서 읽힌다. 이 책은 낭만과 여유를 만끽하는 신나는 여행의 맥락으로 읽혀지지가 않았다. 이 버스 여행은 고행 아닌 고행처럼 보였다. 하지만 루이와 미애는 318일의 긴 여정을 마치고 돌아오는 길목에서 또 다른 여행을 꿈을 꾼다. 보이지 않고 설명되지 않는 마력에 이끌려 또다른 여행을 준비하며 마음을 설래한다. 떠나본 자가 또 떠나는 이치....그것이 바로 여행인가보다. 


댓글(11) 먼댓글(0) 좋아요(5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4-05-07 15: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님의 여행기 관련 리뷰...역시나 이번에도 길 위에서 길을 찾는, 눈을 보여 주시네요.
미애와 루이의 버스 여행, 전 책이 아닌, 케이블 채널에선가요...몇 번 본 적이 있어요.
조금은 무모해 보이는, 그렇지만 서로 다른 문화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온몸으로 부딪히는 루이와 미애의 여행 이야기가 참으로 묘한 매력으로 와닿더군요.
루이와 미애가 여행길에서 스치고 만난 사람들...그렇죠. 우리가 무슨 기준에서, 무슨 자격으로 감히 그들에게 싸구려 동정의 시선을 던질 수 있겠습니까?
낭만과 멋이 아닌, 좀더 너른 세상과 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그 속에서 진정 나를 찾고, 그러기에 또다른 떠남의 길을 기약하는 것이 여행,,,여행의 참맛임을 다시 한 번 깨닫게 하는 리뷰네요.

icaru 2004-05-07 16: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냉열사 님 케이블 채널로 보셨군요^^ 전 못 봤는데... 어떻게 방영되었을지 정말 궁금해요...여행기 읽는 거 하고 많이 달랐으리라...

잉크냄새 2004-05-07 17: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사랑하고 있는 그대로의 삶속으로 들어가고...
한비야의 기행이 가슴에 와 닿는 것도 그런 동정이나 연민의 시선이 아닌 있는 그대로의 시선을 간직했기에 그러한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waho 2004-05-07 17: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두 방송에서 이 가족이 여행하는 걸 봤는데 애들이 어찌나 귀엽던지...
이 가족 특이하고 용감한 사람들인 듯...매력있는 가족 같아요.

icaru 2004-05-07 20: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맞아요....한비야와 다른 점이라면 그런 거였던 거 같아요...그들의 삶의 모습을 미애가..불쌍하고 측은하게 여긴 데 반해...한비야는.. 자신이 대하는 모든 것에서...긍정적인 무언가를 끄집어내는 능력이 있는거 같아요....

강릉댁 님도 보셨군요... 정말 용감하죠...정규학교에 다녀야할 아이들을 데리고 버스에서 숙식을 해결하며....여행할 생각을 다하다니...말이죠...보통 엄마 같으면...애들은 학교에서 배워야 한다고 생각했서 안 데리고 다녔을 거예요...

비로그인 2004-05-07 20: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본에 익숙한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면 그것은 끝없이 많은 오해와 편견을 불러 일으키는 것 같습니다. 만화가 박재동의 중앙 아시아 탐혐을 작년에 텔레비전에서 본 적이 있었는데 문명화된 사람들의 눈으로 보면 그들의 세계가 몹시 가난할 뿐더러 매우 열악한 환경에 살고 있는 것처럼 보이죠. 그렇지만 이방인들에게 자신들이 먹으려던 빵을 나누어주던 카자흐스탄의 할머니. 그 할머님이야말로 문명이나 체제따윈 없어도 가장 인간다운 본성을 삶 속에서 잘 실현하시는 분이 아니신가, 라는 생각이 들어요. 문명이 오히려 더 인간을 극악하게 만드는 것도 같고요..

icaru 2004-05-10 13: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맞습니다.... 박재동의 중앙 아시아 탐험..저도 텔러비전으로 얼핏 보았었는데...
님의 말씀을 들으니..그 책 있죠....박재동의 실크로드 여행기라는 책도 보고 싶고 하네요...

문명이 인간을 극악하게 만든다...음...

투명인간 2004-06-06 10: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난 별로던데... 이 별로란 건 네 서평을 읽고 했던 기대가 컸던 탓일까? 이 책을 읽던 도중 김훈의 <칼의 노래>를 읽었던 탓도 있겠지만 말야. 반쪽 짜리 여행기 이지 않았나 싶어. 이들 여행에서 빼 놓을 수 없는 건 뷰티 프로젝트 일터인데 어디 어디를 가서 어떤 어떤 사람을 섭외하여 사진을 찍었다는 글은 있으나 사진을 없고,,, 심지어 아무리 가족의 여행이었다고는 하나 꼬꼿의 사진은 있으나 여행의 긴 여정동안 함께 했던 민정이라는 사람의 사진 한 장 없고 ,,, 물론 여행기에 꼭 그 여행지의 풍경이나 사람의 사진이 있어야 하는 건 아니지만, 만약 그러한 사진을 통해 보여줄 수 없다면 글을 통해 충분히 표현이 되어야 할텐데 그러지도 못했던 것 같다.
꼭 풍경이 아니라 여행지에서의 삶의 모습이나 문화를 말하고 싶었다면 이 역시 부족했다고 생각된다. 적어도 서울을 출발하여 러시아에 이르는 동안 그들을 통해 내가 볼 수 있었던 건 가난과 그로 인해 겪었던 숱한 역경 뿐이었으니 말이다. 물론 간간히 가슴 따뜻한 이야기도 있었지만.
하지만, 참으로 희안한 건 중앙아시아, 러시아를 거쳐 터키로 입성할 적엔 마치 내가 흑해를 건넌 듯한 착각에 빠지는 듯 했다. 어느새 나 역시 그들과 함께 여행을 하고 있었던 듯...
떠나고 싶다. 따뜻한 지중해로~

icaru 2004-06-06 15: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그렇게 볼 수도 있겠구낭...개 사진은 있으나...프로젝트를 함께 한 사람은 없다는 것!! 음...

혹시 그 민정이란 사람..너랑 아는 사람 아니지???
ㅋㅋ

내가없는 이 안 2004-08-05 20: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을 쓴 미애의 글솜씨가 조금 아쉬웠지만 그래도 평범한 사람의 시선을 따라 내내 함께 여행하는 느낌이라 저는 오히려 좋았던 듯해요. 루이의 예술적인 사진도 한몫을 했지요. 전 그들의 둘째아이와 비슷한 월령의 아이가 있어서 계속 제 마음가짐과 비교하면서 읽어내려갔었어요. 교육이란 건 늘 안정된 가정과 훌륭한 유치원에서만 다져지는 게 아닌데, 하고 아직도 생각만 하고 있습지요... ^^

icaru 2004-08-06 15: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하...사진 봤어요... 따님이 이안인가요? 어떤 분이 쓴 코멘트에 이안이...라고 되어 있어서...
아주 침착하고 참한 생긴 아이던데...! 이안이가 님을 많이 닮았나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