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의 좋은 어린이 책 <논다는 건 뭘까?>의 전문가 추천사입니다.

 

글 : 안광복(중동고 철학교사 철학박사, <서툰 영혼을 위한 인생론> 저자)

 

우리 아이들은 ‘자유시간’을 어떻게 보낼까요? 스마트 폰이나 컴퓨터에만 매달려 있지 않나요? 뭐든지 할 수 있는 시간을 하릴 없이 보내는 모습이 안타깝습니다. 답답한 마음에 부모님 입에서는 “공부해라.”, “운동해라.”, “정리 좀 해라.” 등등의 잔소리가 끊임없이 흘러나오곤 합니다.
하지만 놀아본 아이만이 제대로 놀 수 있는 법입니다. 자유인답게 사는 방법을 알지 못할 때, 우리는 노예처럼 일에만 매달리게 되지요. 일터에서 풀려난 어른들 가운데도 무엇을 해야 할지 몰라 전전긍긍하는 이들이 적지 않습니다. 이 점에서 <논다는 건 뭘까?>는 깊은 울림을 줍니다.

“공부가 즐겁고 재미있는 사람도 있는데, 그 친구는 공부하는 걸까, 노는 걸까?”

“좋아하는 친구하고 더 많이 놀고 싶듯이 좋아하는 것을 찾으면 더 재미있게 놀 수 있어.”

“자꾸 마음이 가는 것, 자꾸 해보고 싶은 것이 네가 좋아하는 거야. 좋아하면 열심히 하고 열심히 하면 잘 할 수 있을 거야.”

“놀다보면 힘이 쌓일 거야. 그 힘이 네가 어려움을 만났을 때 새로운 길을 만들어 줄 거야.”

‘섬진강 시인’ 김용택 선생님이 들려주는 아름다운 충고들입니다. <논다는 건 뭘까?>에는 깊은 혜안이 담긴 구절과 따뜻한 그림들로 가득합니다. 행복은 사라지고 무한 경쟁만 부추기는 우리 교육 현실, 갈수록 우리 아이가 무기력해지고 부모님 또한 앞날에 자신이 없어진다면 이 책을 읽어보길 권합니다. 이 땅의 아이들과 부모님들에게 <논다는 건 뭘까?>를 적극 추천합니다. 

안광복_중동고 철학교사 철학박사, <노예는 일만 합니다. 하루 종일 일에만 매달려 있다면 자유인도 노예와 다를 바 없습니다. 누군가의 진짜 모습을 알고 싶다면, 일에서 놓여났을 때 그가 어떻게 지내는지 보아야 합니다. 진정 자기다운 면모는 자유롭게 자신이 원하는 것을 할 때 드러나기 마련이니까요.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입니다.
우리 아이들은 ‘자유시간’을 어떻게 보낼까요? 스마트 폰이나 컴퓨터에만 매달려 있지 않나요? 뭐든지 할 수 있는 시간을 하릴 없이 보내는 모습이 안타깝습니다. 답답한 마음에 부모님 입에서는 “공부해라.”, “운동해라.”, “정리 좀 해라.” 등등의 잔소리가 끊임없이 흘러나오곤 합니다.
하지만 놀아본 아이만이 제대로 놀 수 있는 법입니다. 자유인답게 사는 방법을 알지 못할 때, 우리는 노예처럼 일에만 매달리게 되지요. 일터에서 풀려난 어른들 가운데도 무엇을 해야 할지 몰라 전전긍긍하는 이들이 적지 않습니다. 이 점에서 <논다는 건 뭘까?>는 깊은 울림을 줍니다.

“공부가 즐겁고 재미있는 사람도 있는데, 그 친구는 공부하는 걸까, 노는 걸까?”

“좋아하는 친구하고 더 많이 놀고 싶듯이 좋아하는 것을 찾으면 더 재미있게 놀 수 있어.”

“자꾸 마음이 가는 것, 자꾸 해보고 싶은 것이 네가 좋아하는 거야. 좋아하면 열심히 하고 열심히 하면 잘 할 수 있을 거야.”

“놀다보면 힘이 쌓일 거야. 그 힘이 네가 어려움을 만났을 때 새로운 길을 만들어 줄 거야.”

‘섬진강 시인’ 김용택 선생님이 들려주는 아름다운 충고들입니다. <논다는 건 뭘까?>에는 깊은 혜안이 담긴 구절과 따뜻한 그림들로 가득합니다. 행복은 사라지고 무한 경쟁만 부추기는 우리 교육 현실, 갈수록 우리 아이가 무기력해지고 부모님 또한 앞날에 자신이 없어진다면 이 책을 읽어보길 권합니다. 이 땅의 아이들과 부모님들에게 <논다는 건 뭘까?>를 적극 추천합니다. 


       

전문가가 선택한 3월의 좋은 어린이 책 이벤트 보러 가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