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분야 주목할만한 신간 도서를 보내 주세요.

 2010년 12월에는 관심을 가질만한 책이 많이 나온 것 같다. 12월에 출판된 인문/사회/자연과학 서적 중 관심있는 책을 전부 골라보니 총 25권이었다. 이 중에 5권을 고르라니…. 1/5 확률이니 5지선다 문제를 푸는 기분이다. 하지만 이렇게 읽을 만한 책을 고를 때마다 느끼는 것은 직접 서점에 가서 책을 살펴볼 여유가 없어 인터넷 상의 소개만 보고 골라야 한다는 점인데 되도록 꼼꼼히 글쓴이+옮긴이+출판사 등의 책 정보를 살피고 고르려고 노력하였다. 그리고 한 가지 더…. 되도록 다른 신간 평가단 분들이 선정한 책과 겹치지 않도록 노력했다는 점을 언급하고 싶다.

   

  

  오늘날 사학 재단 문제는 하루 이틀 계속된 문제가 아닐 것이다. 교육 기관인 대학을 사유재산으로 여기고 전횡을 일쌈는 일이 비일 비재하고 특히 대학 민주화를 가로막는 사학 재단의 문제는 매우 심각한 일임에도 이슈화 되지 않는 점이 신기할 따름이다. 특히 2MB 정부 들어 교과부 산하 사학분쟁조정위원회(사분위)가 상지대에서 비리 재단의 복귀를 허용하고 조선대, 세종대, 덕성여대, 대구대, 동덕여대, 광운대 등 수많은 비리 재단의 복귀를 허용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마당에 이에 대한 관심을 촉구할 필요가 있다. 이 책은 덕성여대 교수 재직시 대학 민주화에 참여했다가 부당 해직당한 글쓴이의 5년간의 복직 투쟁기이다. 이 책을 통해 사학 문제에 대한 관심을 공유하기를 소망한다.

  

  

  사실 나는 <라틴 아메리카>에 대해 잘 모른다. 과거 몇 번 라틴 아메리카에 대해 알고 싶어 책을 찾아 보았으나 국내에서 라틴 아메리카에 대한 책을 찾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런만큼 한 번은 라틴 아메리카에 대한 책을 읽어 보고 싶다. 특히 사람이 이미 살고 있던 신대륙을 '발견'했다고 주장한 유럽인들의 문명 파괴사 및 학살사에 대해 한 번은 알고 지나가야 하지 않을까? 그리고 되도록 [신대륙 발견]이라는 단어를 쓰지 않았으면 좋겠다. 무의식적으로 그런 단어를 사용하지만 [신대륙 발견]이라 함은 유럽인 기준에서 사람이 살지 않는(즉, 원주민을 사람으로 취급하지 않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대륙을 발견했다는 뜻이므로 오늘날 반드시 바뀌어야 하는 단어라고 생각한다. 

 

  이 책도 앞서 소개한 책과 맥락을 같이 하는 책이다. 이른바 [신대륙 발견] 이후 그대로 ‘절멸’에 이르는 아메리카 인디언의 지난 500년 역사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사실 책 내용이 한쪽에 편향된 듯한 느낌도 받지만 서로 다른 편의 주장을 곰곰히 살피다보면 '진실'을 발견할 수 있듯 지금까지 [미국인] 입장에서의 인디언 역사만 소개된 것을 감안하면 한 번은 철저하게 토착민 입장에서의 인디언 역사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기타 좀 애매한 책들

 

   

이 책의 출판사인 [나남출판]은 좋은 인문서적을 많이 내는 출판사이고 이미 평화적 방법으로 통일을 성취한 독일의 예를 면밀하게 검토해 벤치마크하는 것은 우리로서는 중요한 일이므로 한번쯤 읽어 보고 싶은 책이긴 하였으나 옮긴이가 16~18대 한나라당 국회의원인 것을 보고 마음을 접었다. 누군가가 나의 사상과 다른 사람이 옮긴 책이라고 무조건 안 읽는다고 비판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검사 출신의 한나라당 최고위원, 사무총장을 역임한 3선 의원이 [번역] 작업을 하고 있겠는가? 보나마나 제 3자가 번역하고 이름만 올린 것으로 보여 단호히 선호 리스트에서 제외하겠다. 

 

   

 

이 책을 애매한 책으로 선정한 이유는 이미 천병희 선생님의 번역본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라틴어 고전 번역에 있어 첫 손가락에 꼽히는 천병희 선생님의 번역본이 있는데 과연 이 책이 천병희 선생님의 번역을 뛰어 넘을 수 있을까? 펭귄클래식 100권 출판 기념으로 많이 노력한 흔적이 보이는데 내가 직접 두 권의 책을 비교해보지 못해서 뭐라 평가하기도 애매하다. 하지만 만약 천병희 선생님의 번역본을 뛰어 넘는 번역이라면 추천 리스트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책임엔 분명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1-01-13 21: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과학 도서 중에는 읽어볼만한 신간이 생각보다 많이 없던거 같아요.
그리고 이번에 펭귄클래식에 나온 <시학> 같은 경우에는
이전에 국내에서 소개된 <시학>의 번역에 대한 관점과는 차이가 있다고 하네요.
천 교수의 번역을 뛰어넘을지 모르겠지만, 이 책을 감수하신 분이
정암학당 연구원이라서 천 교수의 번역본과 같이 비교해서 읽어보는 것도
괜찮을거 같습니다. 댓글에 길게 설명하기에는 그렇고,
저도 <시학>에 대해서 부족한 편이라서,,
괜찮으시다면 제 서재에 <시학> 강연 후기를 올렸는데 참고하시면 좋을거 같아요.

암향부동 2011-01-14 11:18   좋아요 0 | URL
아 감사합니다. 몇몇 분들 소개글을 보니 주석 양이 꽤나 된다고 하던데 펭귄클래식에서 노력을 많이 한 것 같네요. 어쨌든 감사합니다. 강연 후기는 읽어 보고 댓글 남겨 놓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