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날개님의 "하울의 움직이는 성을 보고 궁금한 점 몇가지.."
제 짧은 생각으로는... ^^ (영화를 이미 본 분이나 단기 기억상실증에 걸린 분만 읽으시기를... <(__)>
1. 원작을 읽지 않아 단정할 순 없겠지만, 제가 보기에 이 영화는 "미야자키판 미녀와 야수"입니다. 원작도 그러한지, 원작의 어떤 요소를 미야자키가 나름대로 해석했는지 모르지만요. 유치하게 표현해서, "소피의 진정한 사랑과 이해"가 하울에게 내린 저주를 풀었잖아요. 그리고 소피는 마찬가지 방법으로 스스로의 저주를 푼 거라고 봅니다. 소피는 황야의 마녀에게서 하울의 심장을 억지로 빼앗지 않습니다. 마녀는 하울에 대한 집착 때문에 소피에게 마법을 걸었는데, 소피는 마녀의 집착에 폭력적으로 대응하지 않고(디즈니 만화라면 아마 허수아비 등 주변의 도움을 받아 마녀를 호되게 혼냈을 텐데), 도리어 마녀를 껴안고 호소하여 마녀 스스로 심장을 건네주도록 합니다. 소피의 이해와 평화적인 호소 덕분에 마녀는 스스로 집착을 버리지요. 소피에게 내린 저주의 원인(집착)이 사라졌기 때문에 저주도 풀린 거라고 생각합니다.
2. 소피와 하울이 언제 그런 사이가 되었는지 저도 선뜻 감정 이입이 안 되었는데요. ^^ 저는 소피가 하울의 어머니인 척하고 왕궁의 마법사(하울의 스승)에게 가서, 당당히 하울을 변호한 것이 결정적인 계기가 되지 않았나 합니다. 괴물이 되어버린 하울 그 자체를 인정하고, 믿어주었으니까요.
3. 소피의 변화에 아무도 놀라지 않는 건, 하울 마르클 마녀가 다 마법사이고, 허수아비는 스스로 마법에 걸린 몸이라서가 아닐까요. ^^ 소피는 자신의 외모가 수시로 변하는 걸 알아차리지 못하는 것 같고. 그리고 제 생각에는 "늙음"이 벗어버려야 할 저주로, "젊음을 되찾는 것"이 구원으로 인식되는 걸 감독이 원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늙은이 속에 젊음이 있고, 젊음은 늙음을 그림자처럼 데리고 있다는 것... 그걸 말하고 싶은 게 아니었을까요?
4. 저도 영화 보면서 '다시 들어갈 걸 왜 나왔어?' 했어요. 두 가지로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요. 첫째는, 급한 마음에 나오고 보니 하울에게 빨리 갈 방법이 없었다. --; 둘째는, 처음의 성과 다시 들어가서 지은 성은 이미 같은 성이 아니다. 처음의 성은 하울이 캘시퍼에게 심장을 내주어, 그러니까 "악마에게 영혼을 팔아" 지은 성입니다. 소피가 캘시퍼를 데리고 나옴으로써 그 성은 무너졌지요. 그러고 나서 캘시퍼가 다시 일으킨 성은 소피의... (음... 뭐였지요? 윽, 치매... 반지였나요?) 아무튼 그걸로 지은 겁니다. 성을 다시 일으킨 캘시퍼를 소피가 칭찬했을 때, 캘시퍼는 "네 심장을 주면 더 잘할 수 있어!"라고 합니다. 그러나 소피는 심장을 주지 않잖아요. 소피는 캘시퍼를 성 밖으로 데리고 나감으로써 하울이 맺은 "악마적인 계약"의 고리를 끊고, 다시 캘시퍼와 "악마적이지 않은 계약"을 맺은 거예요.
5. 결론이 맺어지는 과정은 좀 갑작스럽고 허탈하지요. ^^ 기껏 마법사와 이웃나라 왕자의 한마디로 전쟁이 끝나다니... 장편소설을 두 시간가량 되는 영화로 압축하다 보니 나온 문제 같아요. 그런데 그 마법사의 힘이 크기는 큰가 봅니다. 국왕이 전쟁 수행을 위해 마법사들을 소집하게 하고, 또 국왕을 지키는 여러 가지 일을 다 마법으로 했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