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저녁 R네 집에서 송년 파티. 시가를 나눠 피웠다. 쿠바산과 마닐라산, 그 밖에 또 내가 알지도 못하는 나라들의 담배들을 비교하는 토론. 나보고도 의견을 말하라고 했다. 그러나 이 전문가들이 무게를 있는 대로 잡으며 큼지막한 시가를 칼로 자르는 모습을 보고 있자니, 항문이 똥을 자르는 것과 똑같지 않은가 하는 생각이 드는 걸 어쩔 수 없었다. 두 경우 모두, 열중해 있는 얼굴 표정은 똑같다.(189p.)

두 아이의 이 보드라운 살갗 아래 감춰진 단단한 살 속엔 에너지가 축적되어 있다. 자연 상태의 그 에너지를 내가 조종하고 있는 것 같은 뿌듯함. 앞으론 그들의 몸이 그토록 튼실할 순 없을 것이다. 또 그들 얼굴의 표정도 그토록 선명할 순 없겠지. 눈의 흰자도 그토록 하얄 순 없을 테고. 귀의 모양도 그처럼 그린 듯이 완벽할 수 없을 것이고, 피부의 세포도 그렇게 촘촘히 짜여 있지 못할 것이다. 인간은 극사실주의 속에서 태어나 점점 더 느슨해져서 아주 대략적인 점묘법으로 끝나 결국엔 추상의 먼지로 날아가버린다.(215p.)

열다섯 살 때 나도 해변에서 내 또래 남재애들을 상대로 이두박근과 복근 시합을 벌였었다. 열여덟 살인가 스무살 때는 수영복 아래쪽이 얼마나 불룩한지를 자랑했다. 서른 살, 마흔 살이 되면 남자들은 머리카락을 비교한다(대머리에겐 불행이다). 쉰 살 때는 배(배가 안나와야 한다), 예순 살 땐 치아(빠진 게 없어야 한다). 이제 소위 원로라 불리는 늙은 악어들의 모임에선 등, 걸음걸이, 입을 닦는 방식, 일어나는 방식, 외투를 걸치는 방식을 비교한다. 한마디로 나이, 나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아무개가 나보다 훨씬 늙어 보이지, 안 그래? (217p.)

방금 전 바에서 커피 한잔을 마시다가, 파스티스를 몇 잔째 마시고 있던 옆의 남자에게서 들은 농담이다. 여자는 안 됩니다. 여자도, 커피도, 담배도, 술도 안 됩니다. 그렇게 하면 좀 더 오래 살 수 있을까요? 의사의 대답. 그건 모르겠습니다만, 아무튼 시간이 좀더 길게 느껴지긴 하겠죠. (309p.)

긁는 즐거움. 짜릿한 쾌감이 점점 커지다가 결국 시원함으로 끝나는 것 뿐 아니라, 특히 가려운 지점을 1밀리미터 오차도 없이 정확히 찾아냈을 때의 희열이란. 그거야말로 ‘자신을 잘 이해하는‘것 아닐까. 긁어야 할 지점을 옆 사람에게 정확히 가리켜준다는 건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다른 사람은 날 만족시킬 수 없다. 누가하든 목표 지점을 살짝 비껴가기 일쑤다. (319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그냥 합니다.
‘내가 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을 품지 않습니다.
실수하지 않으려고 조바심 내지 않습니다.
그냥 합니다. (16p.)

사람이 바뀌는 데에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특별한 시간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생활 속에서 시간이 필요합니다.

사람은 분명히 바뀝닏.
아무리 업이 두텁고 오래되어도
시간이 얼마나 걸리느냐가 관건이지,
바뀌지 않는 사람은 없습니다.

사람이 바뀌는 데 시간이 필요할 뿐입니다.
특별한 시간이 아니라, 생활 속에서 시간이 필요합니다.

시간은 정성이며 집중입니다.
정성 들이고 집중한 시간은 역사가 됩니다.

시간을 장악한다는 것은 스스로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이며
시간을 쓴다는 것은 지혜를 쓰는 것과 같습니다.(86p.)

습관을 바꾸고 싶다면
나쁜 습관을 바꾸려 하기보다는 좋은 습관을 하나 더 만들어 보세요.
좋은 습관이 하나 늘어나면 나쁜 습관이 하나 자동 소멸됩니다.(147p.)

직업은 꿈이 아니다. 직업은 꿈이 아니라면 무엇인가! 직업은 자신의 꿈을 이룰 수 있는 중요한 징검다리다. 직업이 꿈이 될 수 없는 이유는 직업은 꿈을 위해 취하는 도구일 뿐이기 때문이다. 그 도구를 취한 다음에는 이를 잘 활용해서 꿈을 이루는 것이다.

원하는 직업을 가졌다는 건 마치 원하던 자동차를 산 것과 같다. 자동차는 자랑하거나 모셔 놓으려고 산 것이 아니다. 사람이나 짐을 싣고 달리기 위해 산 것이다. (152-153p.)

문제 해결의 순서.
첫째, 문제를 피하지 않습니다.
둘째, 문제를 만든 사람을 원망하지 않습니다.
셋째, 문제 해결에 대해서 주인의식을 가집니다.
넷째, 문제 해결에 대한 아이디어를 찾아냅니다.
다섯째, 아이디어를 실천합니다.
여섯째, 실천한 것에 대해서 점검하고 점검받습니다.
일곱째, 문제가 해결된 것에 감사해합니다. (156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운동장이 쓸쓸했다. 두 아이를 제외하고는 아무도 없었다. 운동장은 그 학교에서 가장 표정이 풍부하고 가장 인간적인 존재였다. 살아있는 학생들보다 더. 학생들은 학교에 있을 때에는 인간이라기보다는 개미나 벌을 더 닮았다. 교사들은 지친 로봇 같았다. 운동장은 재래시장의 늙은 상인처럼 무덤덤한 얼굴로 대낮을 견디다 하교시간 즈음해서 제 혈색을 되찾았다. 운동장의 성별은 아마 남성인 것 같았다. 수업을 마친 남자아이들이 축구를 할 때 즐거워했으니까. 운동장은 신화적인 존재이기도 헸다. 해질 무렵부터 슬슬 마력을 뿜어내기 시작해 밤이 되면 귀기를 몸에 둘렀다. 그러다 아침이 되면 다시 사소하고 조잡한 일상으로 돌아갔다.

 

- 30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대화란 가능한 적고 얕을수록 좋다고 은기는 생각했다. 그게 인간관계를 오래 온전하게 유지하는 최고의 방법이라고. 얕은 대화는 얕은 갈등을 만들지만 깊은 대화는 깊은 갈등을 만든다. 대화가 뭔가를 해결해준다는 생각은 환상이다.

-70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내 고국은 자기 자신을 사랑했지. 대한민국이라는 나라 그 자체를. 그래서 자기의 영광을 드러내 줄 구성원을 아꼈지. 김연아라든가, 삼성전자라든가. 그리고 못난 사람들한테는 주로 ‘나라 망신‘이라는 딱지를 붙여 줬어. 내가 형편이 어려워서 사람 도리를 못하게 되면 나라가 나를 도와주는 게 아니라 내가 국가의 명예를 걱정해야 한다는 식이지. 내가 외국인을 밀치고 허둥지둥 지하철 빈자리로 달려가면, 내가 왜 지하철에서 그렇게 절박하게 빈자리를 찾는지 그 이유를 이 나라가 궁금해할까? 아닐걸? 그냥 국격이 어쩌고 하는 얘기나 하겠지.

- chapter7. 남십자성 中 (170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