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제의 책: 정신분석대사전 번역 출간
“정신분석 지식 체계 총망라…인접학문에 미친 영향·각 학파이론 등 다채로워
2005년 11월 09일 신정민 기자
무의식, 콤플렉스, 히스테리, 열등감, 욕망 등 정신분석학 용어가 일상 언어 속으로 깊이 파고들 정도로 정신분석이 뿌리내리고 있는 가운데, 정신분석에 관한 모든 것이 담긴 루디네스코와 플롱의 ‘정신분석대사전’(백의출판사 刊)이 번역 출간됐다.
정혜숙 전남대 교수, 강응섭 예일신학대학원 교수, 권희영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여인석 연세대 교수, 이유섭 명지전문대학 교수와 공동으로 루디네스코와 미셸 플롱의 ‘정신분석대사전’ 2002년 개정판을 공동 번역, 출간했다.
정신분석대사전은 무려 1천5백50쪽이 넘는 방대한 서적으로, 인간의 마음과 무의식을 이해하는 예술이라 할 수 있는 정신분석의 묘미를 맛볼 수 있기 때문에 분량이 많음에도 프랑스에서 대중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이 책에는 정신분석과 관련된 용어와 개념뿐만 아니라 정신분석 지식체계, 병리적 실체와 치료기법, 정신분석 학파의 이론, 사회적 담론에 이르기까지 지난 20세기동안 이어져온 정신분석 사상 체계의 모든 요소가 총망라돼 있다.
또한 인접 학문과의 영향 관계, 전세계 정신분석가들과 정신분석학파의 소개, 주요 국가에서의 정신분석 운동 전개 양상까지 두루 섭렵할 수 있도록 분류돼 있다. 라캉 정신분석에 대한 명징한 해설이랄지 프로이트의 작품들에 대한 명쾌한 요약, 정신분석 계보와 연보는 이 대사전만이 줄 수 있는 특별한 선물이다.
루디네스코와 플롱은 서문을 통해 “이 사전은 단순한 용어사전이나 용어 해설이 아니며, 프로이트의 재발견을 탐구하는 도구도 아니다”면서 “지난 20세기동안 이어져온 정신분석 개념의 독특한 지식 체계와 끊임없이 재해석돼온 프로이트 작품의 역사 및 근본적인 독트린, 프로이트와 제자들의 계보, 그들의 방향성, 인접학문 분야에 미친 영향, 각각의 학파가 어떻게 변모했는지에 대한 담론까지 제시하고자 했다”고 소개했다.
번역자들은 “욕망은 인간에게만 존재하는 현상인데, 이 책은 여느 사전류와 달리 정신분석적 욕망을 피부로 느끼게 하는 감동이 있다”면서 “사전의 행간에서 그 욕망의 힘, 욕망의 존재를 발견하고 그 속에서 사고의 힘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소개했다. 신정민 기자 jms@kyosu.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