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영화를 좋아하냐고 질문 받는다면 말하기 힘들다. 세상에 좋은 영화는 너무 많기 때문이다. 그럼 좋은 영화는 왜 많은가. 지극히 내 취향 때문이데, 피상적으로 행복을 다루면서 강요하는 영화(주로 헐리우드 주류영화) 빼고는 모든 영화에는 미덕이 숨어있다. 자끄 오디아르 감독 영화를 격하게 애정하는데 미덕이 너무너무 많고 매혹적이다.

 

일단 오디아르 감독은 인물의 동요하는 심리를 영화 언어를 통해 관객한테 전달하는데 탁월하시다. 전작들 중 <내 심장을 건너 뛴 박동>에서 부동산 중개인이 피아노 연주에 대한 애착을 보이며 지역 오디션에 참가하기 위해 레슨을 받는 게 소재로 사용된다. 액션이나 그 어떤 흉기도 등장하지 않는다. 오히려 아름다움을 연상케 하는 피아노란 매체를 통해 주인공의 불안하고 초조한 심리를 담았다. 건반을 두드릴 때 레슨을 받을 때, 팽팽한 긴장감이 전해지고 영화를 보는 내내 주인공과 같이 긴장하게 된다. 아니 영화를 어떻게 이렇게 만들 수 있지 했었다.

 

<디판>도 상영시간 내내 심장이 쿵쿵 뛰게 긴장되는 영화다. 총격씬이 있긴 하지만 대부분은 무언가 일어날 거 같은 그 분위기다. 그렇다고 음악을 관습적으로 사용하지도 않는데 말이다. 가령, 디판이 살기 위해 함께 피난 온 가짜 아내가 샤워를 하는 소리를 듣는 장면이 있다. 카메라는 디판의 긴장된 눈동자 비춘 후 리판의 눈이 되어서 살짝 열린 욕실 문을 담는다. 그러니까 관객이 보는 건 여자가 샤워하는 장면이 아니라 살짝 열린 문과 물소리, 그리고 디판의 표정이다. 그런데 막 무슨 일이 일어나는 게 아닌가, 하고 조마조마하다. 물론 처음에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조마조마한 원인은 집 밖에서 찾을 수 있다. 디판이 관리하는 건물들에는 정체를 알 수 없지만 조폭 혹은 건달들이 하루 종일 진을 치고 떼지어 왔다가 갔다한다. 이런 장면을 본 뒤라서 그렇기도 하다. 그들이 정확히 뭘 하는지는 모르지만 뭔가 일어날 거라는 막연한 불안을 잉태한 후 그 느낌을 간직한 채 영화를 지켜보게 된다. 카메라를 사용하는 방식도 핸드핼드도 많이 쓰긴 하지만 정지된 중에도 앵글을 어찌나 현란하게 사용하시는지. 두 인 물의 뒤에서 카메라가 고정되어 있고 한 인물은 다른 한 인물을 바라보는 장면, 아래서 위로 비스듬히 잡아서 인물의 초조함을 시각적으로 전달하는데 극대화된 효과를 준다.  

 

영화 형식적으로만 좋은 게 아니라 오디아르 감독이 다루는 주제 역시 훌륭하다. 소외된 개인을 주로 다루는데 개인을 다루면서 직접적으로 다루진 않지만 기저에 사회 매커니즘의 문제점을 은밀하게 포석으로 깐다. <디판> 역시 스리랑카 내전으로 프랑스로 탈출한 세 사람을 다룬다. 가짜 가족을 이루며 유색이민자가 마주하게 되는 프랑스 사회의 어두운 면을 비춘다. 이들은 생계를 위해 우범지대에 놓여지고 범죄와 살인에 자연스럽게 노출된다. 자국에 겪은 내전의 공포에서 벗어나려고 다른 나라를 택했는데 총격전은 이주국에서도 여전히 일어난다. 아이와 여자는 절대적 희생자이다. 이주민의 삶을 말하고 있지만 역으로 객관적으로 패권을 주도하려는, 고도로 발전된 사회에서도 폭력과 살인의 정도는 내전과 마찬가지라고 역설하는 거 같다. 여자가 가정부로 일하는 집주인 역시 전자발찌를 차고 있는 전과자다. 여자는 전자발찌의 개념을 모르기에 그 사람과 잠시 교감도 나눈다. 두 사람 모두 사회적으로 소외된 인물이다. 두 사람 사이에서 언어소통 장애는 잠시 사람과 죄를 분리하는 힘이 있기도 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여자는 모르는 사이에 어떤 폭력적 세상에 쉽게 노출되는 함정도 있다.

 

오디아르 감독 영화는 과정은 몹시 어둡고 비관적인데 결말은 희한하게 긍정적적이다. 감독은 비관적 낙천주의자다. <디판>이 내전으로 진짜 가족을 잃고 이주해서 맞주한 어려움 속에서 새로운 사랑도 싹트고 적응해가는 과정을 아주 폭력적으로 묘사했다. 실제로 폭력은 많이 사용하지 않았는데도 영화가 끝나고 나면 폭력에 대한 잔상이 남는다. 그래도 엔딩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삶은 계속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