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 - Happiness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아녜스 바르다 특별전이 열리는 아이공에 가야지 했지만 내 발목을 붙잡는 게으름에 주저앉았다. 그리고는 받아 논 파일로.-.-; 

1. 64년 작품인데 지금봐도 전혀 촌스럽지 않는 프레임들로 가득하다. 아니 오히려 한 편의 아름다운 뮤직비디오 같기도 하다. 문득문득 정지하는 화면들은 멋진 스냅사진들이다. 풍경도 내러티브의 한 부분을 차지한다. 가령, 프랑스와가 일하는 목공소는 아름다운 영상덕분에 오히려 굉장히 비현실적이다. 나무를 자르거나 마감하는 과정에서 소음과 톱밥으로 가득 차 있어야할 작업장은 음악이 깔리면서 프랑스와가 자신이 하는 일을 즐기는 걸 알 수 있다. 화면에서 보여 준 작업장이라면 누구라도 나무를 재단하는 고된 일을 재밌게 여길 수 있을 것이다.  

프랑스와가 가족들과 함께 소풍을 나가는 장면 역시 후기 인상파의 그림처럼 빛이 넘친다. 아낌없이 베푸는 햇살을 받으며 두 어린 아기들이 낮잠을 자고 부부는 사랑을 나눈다. 친환경적 여가에 웰빙이란 말이 저절로 떠오른다.  

또 우체국 직원의 집은 갇힌 공간인데 감독은 역시나 환상적으로 만든다. 집은 조그맣지만 생활 공간 보다는 마치 한 폭의 정물화처럼 표현한다. 탁자는 식사를 위해 존재하기 보다는 꽃으로 그득한 꽃병을 돋보이기 위한 도구이다.  

2. 영화 중반부터 드러나는 독특한 세계관에 미소가 퍼지고 자세를 고쳐앉았다. 영화 전반부는 별 다른 사건 없이 프랑스와와 테레즈 부부의 행복한 삶을 묘사한다. 프랑스와는 더할나위 없이 자신의 삶에 만족하고 있다. 우체국 직원을 만나 바람을 피우면서도 죄책감 따위는 없다. 우체국 직원 역시 도덕적 의무감이나 죄책감 따위는 없다. 그들이 동의하고 알고 있는 건 서로를 사랑하는 것. 프랑스와는 아내인 테레즈에게 거짓말 하고 싶지 않다며 이렇게 말한다. "꽃이 가득한 아름다운 과수원 밖에 또 아름답게 핀 꽃이 있어."라고! 과수원 안에서도 행복하지만 밖에 있는 행복을 받아들이는 게 당연하다는 말씀되시겠다.  

명쾌한 논리지만 받아들이기에는 낯설다. 그렇다고 일부다처제를 주장하는 건 더더욱 아니다. 일부일처에 길들여진 사회에서 프랑스와와 그의 연인은 혁명가다. 그러나 프랑스와의 아내 떼레즈는 과수원 안의 사회에 익숙했고 결국 일부일처제를 혼자라도 따르기로 한다. 그녀가 가버린 후 남은 남자와 여자는 다시 과수원 안에서 행복을 이어간다. 극심한 주관적 행복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9-05-17 07:18   URL
비밀 댓글입니다.

넙치 2009-05-17 23:47   좋아요 0 | URL
반갑습니다. 현대인들님 서재명이 '행복'이더군요.^^
아이공에서 구할 수 없는 영화들을 하더군요.
군침을 꿀꺽 삼키고 있지만 홍대 앞까지는 너무 먼지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