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고양이로소이다 문학사상 세계문학 14
나쓰메 소세키 지음, 유유정 옮김 / 문학사상사 / 199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일본문학을 잘 모르면서, 또 모르기 때문에  편견을 갖고 있다. 현대 일본 작가들의 참을 수 없는 가벼운 글을 멀리하고 있다. 하루키, 에쿠니 가오리 작가 정도의 책을 각각 한 권씩 읽은 적이 있을 뿐이다. 조금 거슬러 올라가서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설국>을 다시 읽었지만 어린 날 내가 무엇 때문에 흥분했는지 까닭을 알 수 없었다. 노벨 문학상을 받은 오에 겐자부로 역시 문학이란 영역에서 볼 때, 그닥 흥미를 불러일으키지 못했다. 그리고는 하루키 유행에 동요하지 않는 걸 내심 기특해 하고 있었다.

그러나 1905년, 소세키의 데뷔작인 이 책을 읽는 동안 많이 즐거웠고, 또 우리나라에서 유행하는 일본 문학이란 것이 얼마나 빙산의 일각인지 확인했다. 한편으로는 내가 근대적 사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탈근대 시대에 근대적 취향을 갖고 있다면 퇴행성 인간일 수도 있다. 그러나 근대에는 매력적 요소가 있다. 계몽을 벗어나 사회를, 현상을 비판하는 날카로움에 나는 번번이 매료된다. 이런 매력적인 근대는 탈근대란 담론 속에서 비판을 받기 마련이다. 당시의 비판적 요소들 속에는 또 다른 권력이 형성되고, 탈근대는 근대성에 자란 권력을 붕괴하고 나아가 약자로 불리는 사회적 약자(여성, 성적 소수자, 장애우 등등)의 권리와 평등에 촛점을 둔다.

그런 면에서 이 책은 현재성을 갖고 있기는 하지만 살아있다기 보다는 근대적이다. 우선 주인공들, 구샤미, 메이테이, 간게쓰는 지식인 계층이다. 그들을 바라보고 비판하는 건 고양이. 이들 지식인이란 작자들이 어떤 사건을 벌이거나 하지 않는 탈서사구조다. 그런 점에서 이 소설은 상당히 현대적이다.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려주다 난데없이 고양이는 불쑥 친구 고양이들, 또는 운동 하는 이야기를 길게 늘어놓는다. 특히 운동하는 장면은 그림이 떠오를 정도로 경쾌하게 묘사되어있다. 이런 고양이라면 한 마리쯤 키우고 싶다는 실없는 생각도 불쑥 든다.

 주인공들이 하는 일이라곤 그저 말씨름일 뿐이다. 중학교 영어선생 구샤미가  지식인 행세를 하는 모습,  즉 서재에 들어가 책 두 페이지를 못넘기고 잠들고 마는 주인을 고양이는 노골적으로 경멸한다. 읽으면서 뜨끔하기도 한 장면이다.  간게쓰의 박사 학위를 둘러싼 외부의 시선을 사업가인 가네다네 부인의 태도를 통해 알수 있다.

매끄럽지 않은 줄거리지만 이 책은 줄거리에 집착한다면 형편없는 책으로 기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인과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과관계의 부재는 5백 페이지가 넘는 소설에서 결코 중요한 요소가 아니다. 게으른 지식인들이 쓴 가면 뒤에 숨겨진 본성, 나아가 스스로 사람답다고 여기는 인간의 이면을 날카롭고 유쾌하게 지적하고 있다. 마지막 고양이의 죽음에서 일종의 체념같은 것이 느껴진다. 물 항아리에 빠져서 올라가려고 바둥거리지만 올라갈 수 없다. 고양이는 마침내 마음을 편히 갖고 아등바등하지 않기로 결심하면서 죽어간다.

"나는 죽는다. 죽어서 태평을 얻는다. 죽지 않고선 태평을 얻을 수 없다. 나미아미타불, 나미아미타불, 고마운지고, 고마운지고. "라는 고양이의 마지막 말에서 고양이처럼 인식하는 인간은 살기 힘들다는 결론으로 받아들여진다.  씁쓸한 여운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