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새로 쓰는 연개소문전
김용만 지음 / 바다출판사 / 2003년 10월
평점 :
품절
[연개소문이 파헤치는 동북공정 프로젝트의 진실]
연개소문 하면 국사 시간을 통하여 익히 그 이름을 모르는 이가 없을 것이다. 하지만 그에 대한 평가는 양극단을 달리고 있음도 사실이다. 그는 구국의 영웅이었는가 아니면 나라를 멸망의 구렁텅이로 몰아넣은 독재자에 불과한가. 저자는 그래서 연개소문전을 다시 쓸 필요성을 느꼈을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기존의 연개소문을 둘러싼 이야기는 너무나 뜬구름 잡는 말..말들이 무성하다.
제목만 보고는 전기물이라고 오해하기 딱 좋지만, 내가 보기에는 전혀 전기물이 아니다. 오히려 연개소문을 중심으로 한 고-당전쟁사 내지 고구려 멸망사에 가깝다. 사실 연개소문에 관한 사료가 매우 적은 탓에 전기를 쓴다면 차라리 소설이라고 해야 할 정도니까.
여기서 기존에는 생각지 못한 몇가지 사실 내지 주장을 접할 수 있다. 먼저, 연개소문은 평양 천도 이후 등장하는 신흥 세력이라는 점을 이해하고 영류왕 살해사건을 대하면서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되었다. 권력의 끈을 놓지 않으려고 외세, 즉 당에 굴복하려는 집권층에 대한 자주파의 강력한 도전.
또한, 흔히 고-당 전쟁은 당태종의 원정과 고구려 멸망시의 전쟁으로 2번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여기서 저자는 사료 속에 은폐된 2차 전쟁을 온전히 복구하고 있다. 당태종은 1차 친정 실패에도 불구하고 미련을 떨치지 못하고, 2차 전쟁을 일으켰으나 또다시 쓰라린 실패를 겪고 정복의 야욕을 거두게 된다.
만약에 연개소문의 자식간에 권력다툼이 벌어지지 않았다면, 당고종이 감히 고구려 정벌을 꿈꾸지는 못했을 것이다. 역시 집권기반이 미약한 쿠데타 독재자로서는 능력이 검증되지 못한 아들들에게 권력을 배분하였던 것이 치명타였던 것이다.
새삼 연개소문의 공과를 탓해서는 무엇하겠는가마는, 고조선이나 고구려의 멸망을 보건대, 국가의 멸망에는 국론의 분열과 권력층의 내분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가까이 조선 왕조의 최후도 마찬가지다.
여기서 당과 신라의 관계를 잠깐 생각해보면, 신라는 당을 이용하려고 했지만 오히려 당에게 이용을 당하였음을 깨닫게 된다. 능력에 미치지 못하면서 과도한 욕심을 부렸다고 하겠다. 다행히 당은 고구려 멸망에 만족하였다. 더 이상 자신에게 도전하는 사이(四夷)가 사라졌기 때문이다. 결국 신라의 삼국통일은 미약한 당의 한반도 지배야욕 덕택이었다. 외세의존의 역사는 이렇게 시작되었던 것이다.
오늘날 우리는 고구려를 그리워한다. 고구려 이후 만주는 우리에게서 멀어져 갔다. 아울러 웅혼한 대륙적 기상도 사라졌다. 오늘날 중국의 동북공정 프로젝트 보도를 바라보면서 고구려를 빼앗긴다면, 우리의 역사는 얼마나 빈약할까 자문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