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정신 - 일본서기에서 신영성운동까지
이찬수 지음 / 모시는사람들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정신




일본은 과연 어떠한 나라일까? 우리 한국과는 가까우면서도 굉장히 먼 나라인 것만은 틀림이 없다. 여러모로 차이점이 많은데 그중에서도 국가적 차원의 사상과 개인적 차원의 사상까지도 많은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우리 한국은 임진왜란과 일제 강점기를 지나면서 일본에 대한 감정이 좋지만은 않다. 이러한 일본에 대해서 우리는 좀 더 면밀하게 연구하고 공부 할 필요가 있다. 그런 의미에서 그들이 가지고 있는 문화적 사상과 종교적 사상을 먼저 살펴보는 이유는, 그들이 가진 가치관과 그들이 가고자 하는 길이 무엇인지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모시는 사람들 출판 이찬수 지음의 일본정신은 그야 말로 간단명료함을 보이는 책이다. 일본인들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까지 그들이 추구해온 사상 즉 일본정신이 무엇인지 이야기 한다. 그리고 다른 이들이 가지고 있지 않은 그들만의 독특한 사상과 종교관이 무엇인지 우리에게 소개 한다. 한국과는 아주 상이한 모습을 가지고 살아온 일본인들. 그들이 가진 정신적 세계의 모습과 그들이 우리 한국에 끼치는 특이한 현상까지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이 책을 높게 평가 할 만하다.




일본정신은 한마디로 정치적 맥락에서는 제국주의적 사무라이 정신이 돋보이고, 종교적인 맥락에서는 신도사상이 두각을 드러낸다. 무인 정권이라 해도 무색할 에도시대와 메이지유신 시대를 지나면서 그들의 몸과 마음에는 자연스레 무사정신이 뿌리 내리게 되었다. 그리고 1300년을 지켜온 천황을 위시한 신도사상은 일본만이 가진 특유의 종교관이다.




일본의 종교는 개인적 성향을 드러내면서도 아주 보수적인 모습을 보이곤 한다. 그들이 믿는 종교는 신도사상이라 일컫는다. 일본인의 대부분이 종교가 없는 무교라 말하지만 실상은 그들의 삶속에 모두 숨겨져 있다. 일본인들은 무언가에 구속 되는 것을 싫어하는데, 겉으로는 잘 드러나지 않지만 생활의 모든 부분들 종교적 성향으로 꾸며져 있는 것이 일본이다. 이러한 것을 비종교적 종교성이라 저자는 이야기 한다.




일본하면 야스쿠니 신사가 떠오른다. 야스쿠니 신사는 일본의 전범들(세계대전 참전자)의 위패가 있는 곳이다. 일본은 이 유교적 분위기의 위패를 아주 소중하게 생각하는데 때때로 이 문제는 국제적 문제로 야기되어진다. 세계대전의 피해를 생각하는 아시아의 여러 나라들이 일본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에 민감하게 대응하는 것이다. 반성의 모습을 보이지 않고 오히려 전범들의 위패에 참배하는 일본인들에게 반색을 표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여한 일이 아닐까?




일본은 불교와 아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그리스도교가 일본에서 자리를 잡지 못한 이유도 자세하게 설명되어져 있지만 불교가 대중 속에 깊게 뿌리 내려진 이야기는 일본인들의 정신세계를 잘 보여주는 예라 생각 된다. 일본의 불교 계파중 묘법연화경을 위시한 일련교가 있다. 우리나라에선 흔히 남묘호렌계교 즉 SGI로 들어 와 있다. 이것은 낯설지 않은 일본종교로 일본을 대표하는 불교종파라 이야기 한다.




얼마 전 안중근 의사 의거 100주년 기념행사가 있었다. 그와 맞물려 일본인들의 정신세계를 이해하고자 이 책을 읽었다. 물론 이 얇은 책으로 일본을 다 이해 할 수는 없다. 하지만 우리의 참담해 던 과거의 역사를 되풀이 하지 않기 위해서는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잘 준비하여야만 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을 한번쯤 읽어 보는 것은 괜찮은 일이라 생각되어진다. 일본의 군국주의가 다시 살며시 고개를 들고 있는 요즘 잘 알지 못하면 우리는 다시 그들에게 당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행여 민족주의자라 말할지 몰라도 나는 대한민국 국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