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생물과 무생물 사이
후쿠오카 신이치 지음, 김소연 옮김 / 은행나무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는 생명이란 무엇인가?라는 근원적인 질문을 시작으로 생물과 무생물의 차이를 인식하려고 노력한다. 자기를 복제하는 시스템을 가졌다면 생명을 가진 것으로 구분할 수 있는 것인가? 물론 DNA와 함께 생명의 신비를 밝히려는 많은 노력과 업적이 유능한 과학자들에 의해 수행되어 왔지만 결론은 과학적 증명만으로는 결코 정의 내릴 수 없는 완벽한 시스템이다.

이 책이 유난히 매력적인 이유는 이렇게 분자생물학이라는 전문영역을 다루지만 백과사전의 유명인물에 대한 서술과 업적을 다루거나 딱딱한 학문을 집요하게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는 데 있다.
저자 자신이 과학도이기 때문에 가장 치열하게 고민했을 부분과 부끄러움들을 스스럼 없이 밝히면서 어두운 과학계의 모습을 가감없이 보여준다.

특히, 피어 리뷰어의 유혹에 있어서 과학도들이 가질 수 있는 위험한 유혹들이 인간적으로 이해가 되기 까지 했다. 나라면?이라는 공식을 대입하면 나 역시 작은 유혹 앞에 스르르 무너져 버리는 소심한 인간임을 부인하지 않을 수 없었다.
게다가 [이중나사]라는 책과 저자에 대해 몰랐던 진실을 접했을 땐 세상에 보여지는 것이 반드시 진실이 아니라는 평범하면서 어려운 진리에 다시 한번 무릎을 꿇었다.

이와 함께 저자는 큰 업적과 공적을 남기고 부와 명예를 쫒으며 본래의 목적을 잃은 과학자들에게 일침하는 것도 잊지 않는다

이를 빗대 그는 ‘죽은새 증후군’을 얘기하는데 순수한 과학도로서의 뜨거운 정열을 연구에 바치며 몇 날 며칠 밤샘도 마다 않던 연구원들이 점차 기술이나 업무에 능숙해지는데 문제는 여기서부터라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가장 노련해지는 부분이 “내가 얼마나 일을 정력적으로 해내고 있는지를 세상에 알리는 기술”이기 때문이다. 우아하게 날개를 펴고 창공을 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아무것도 없다는 것인데 바로 “죽은새 증후군”이란다. 이미 죽은 새가 되어 본래의 열정은 어디론가 사라지고 아무것도 남겨지지 않은 상태.

이렇게 본다면 죽은새가 되지 않고 누가 알아주지 않아도 묵묵히 자신의 연구를 위해 한 평생을 바치신 이름모를 많은 과학자들이 진정한 영웅임을 모르고 화려한 스포트라이트 속에서 보여진 것들에만 박수를 쳐댄 나의 무지함과 편견이 참으로 부끄럽다.

지금도 많은 과학자들이 수많은 가설과 실험을 통해 신의 영역에 도전하고 있다. 그러나 나는 단호하게 말할 수 있다. 우리는 결코 신의 영역에 침범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그리고 지금까지 밝혀낸 수많은 연구업적과 성과들의 위대함에도 불구하고, 이는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고 믿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생명체는 또 다른 방법으로 계속 진화해 갈 것이기 때문에.
이는, 작가가 실험쥐를 통해 밝히려던 실험결과가 보기 좋게 빗나갔음을 오히려 당연시 생각하는 겸손한 자세에서도 발견 할 수 있었다. 
 

신비스런 생명 시스템에서 인간의 오만함이 한 순간에 무너지는 것이 나 역시 매우 즐거웠다.
과학서라기 보다는 오히려 에세이 같은 느낌을 갖게 해준 책.
모든 과학서가 이렇게 재미있게 쓰여졌다면 내 책장에도 과학도서가 한 면을 차지할 수도 있었을텐데라는 아쉬움으로 책을 덮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