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메리칸러스트>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
아메리칸 러스트
필립 마이어 지음, 최용준 옮김 / 올(사피엔스21) / 2010년 7월
구판절판
두둠한 분량을 자랑하는 책들을 만나게 되면 가장 먼저 드는 몇가지 생각들이 있다. "저 많은 양을 언제 다 읽어?"와 "저토록 많은 책장 속에 작가가 담고자 하는 것은 무엇이었을까?"가 바로 그것. 그래서 처음 500페이지에 달아하는 이 책을 만나게 되었을때에도 이 두가지 생각들을 함께 했던 것 같다. 그리고 이 두가지 의문 중 무게중심이 옮겨가는 쪽이 어느 쪽인가에 따라 때로는 그 책을 미루어 두기도 하고, 때로는 당장 첫장을 펼쳐들기도 하곤 했다.
아메리칸 러스트는 그 중 "저 많은 양의 책을 언제 다 읽어"라는 생각을 먼저 했던 책이었던 것 같다. 책을 받아들고 꽤 시간이 흘러서야 첫장을 펼쳐들었으니 말이다. 하지만 마지막 장을 읽고 덮었을때 이 책에 대한 느낌은 조금 바뀌어 있었다. 그리고 그만큼 오랜 시간 끝에 선택하고 오랜 시간을 들여 읽을만한 오래남는 여운이 있있는 책이었다
아메리칸 러스트.. 그 제목을 보여주듯 거대한, 그러나 녹슨 못 하나가 한 때는 자신의 일부였을지도 모를 잔해를 흩뿌리며 누워있는 모습의 표지는 이 책이 담고 있는 이제는 녹슬어버린 하지만 한때는 위풍당당하게 자신의 몫을 해냈던 아메리카 어딘가의 과거와 현재의 모습을 상징하고 있었다. 그리고 아메리칸 러스트는 한때 빛나는 위용을 자랑했던, 그러나 이제는 서서히 쇠락해져가는 철강도시 부엘을 배경으로 그 도시에서 이들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었다. 이제는 과거의 영광이 사라져 잊혀져가는 곳. 그래서 자신의 몫을 해내기보다 현실을 유지하는 것에도 전전긍긍하는 녹슬어버린 못같은 부엘의 일부인 청년들의 이야기. 아메리칸 드림이라는 꿈으로 빛나던 시절을 지나 이제는 더 이상 꿈을 꾸지 않게 되어버린 청년들의 녹슬어가는 현실에 대한 그런 이야기 말이다.
녹슬어가는 도시 부엘에 살고 있던 아이작과 포라는 이름의 두 청년, 친구라는 이름으로 얽힌 이 두 사람은 부엘이라는 자신들의 고향이 더 이상 움직이지 않는 것처럼 더 이상 움직일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지 못한채 그저 현실에 몸을 맡긴채 삶을 유지한다. 그리고 그러던 어느날 그들에게 일대 사건이라 할만한 일이 일어나는데, 우연히 아이작이 살인을 저지르게 되는 것. 희망이 없는 그곳에서 살인이라는 죄를 지은 아이작은 죄를 피하기 위해 도주를 하고, 아이작 대신 포는 그 죄를 뒤집어쓴채 수감생활을 하게 된다.
피할 수 없는 죄라는 사건 앞에서 각자가 다른 선택으로 방향을 정한 친구들. 아메리칸 러스트는 무기력하게 인생전체를 시대의 흐름이라는 힘 앞에 내던진채 정신없이 쓸려다니며 스스로의 의지를 잃어가는 젊은이들에게 거대한 사건을 제시함으로서 자신의 의지를 통해 무엇인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이 사건을 통해 움직이는 사람들의 마지막 남은 희망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이다
시대의 흐름이란 개인이란 누군가가 거스르기에는 분명 너무도 강력하고 거대한 것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때로는 그 시대의 흐름에 거역할 생각조차 하지 못하며 그저 그렇게 흘러가는 대로 인생을 방치하기도 한다. 그것이 자신들의 의지와 꿈을 내던진 무기력한 행위라는 것을 미처 생각지도 못한채 말이다. 한때 부강했던 부엘의 사람들 역시 그런 사람들이 아니었을까? 부와 안정을 맛보았던 시대를 지나 시대가 변해 철강산업이 쇠락해지고 따라서 마을도 쇠락하는 그 흐름, 그 흐름에 누구 하나 맞서지 않고 자신들의 운명을 맡겼던 것은, 그들이 무기력하고 의지박약인 인물들이었기 때문이 아니라, 그 자체가 우리 스스로의 모습이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에게는 언제나 의지와 선택이라는 마지막 탈출구가 존재한다. 때로는 더한 지옥으로 떨어질지라도, 현실을 바꾸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내야만 하는 것. 아메리칸 러스트는 녹슨 한개의 거대한 못도 모두 가루가 되어 흩어지기 전에는 마지막 역할을 해낼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 작품이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