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가족 밥상]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따뜻한 가족밥상 - 챙겨 먹을수록 건강해지는 집밥의 힘
김외순.김영빈 요리 / 반찬가게 / 2012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신토불이라고 했다. 몸과 태어난 땅은 하나라는 이 뜻은 제 땅에서 나는 제철의 재료들이 결국 내 몸을 건강하게 한다는 의미와 일맥상통하고 있다. 제 지역에서 나고 자라는 제철 재료들을 그때 그때 밥상에 올리는 것은 밥이 보약이란 말을 한결 와닿게 하는 일인 것이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408/pimg_773483154750795.jpg)
요즘은 제철 재료라는 것이 무색할 정도로 하우스 농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사계절 어느 순간이나 구애됨이 없이 먹고싶은 음식의 재료들을 찾을 수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제철에 먹는 것만큼의 영양가는 덜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제철의 음식 재료들을 이용한 건강하고 따뜻한 밥상을 차려내고 있는 책이다. 요즘은 사철 만나고싶은 음식 재료들을 어디에서나 구할 수 있어 젊은 주부들 사이에서는 제철 재료들이 어떤 것이 있는지 잘 모르는 상황까지 온 것 같다. 하지만 이 책을 보면서 1,2월 겨울의 제철 재료들은 어떤 것인지, 4,5월 봄 제철 재료들은 어떤 것들인지도 더불어 알 수 있게 된다.
책은 1,2월과 3,4월씩으로 두 달씩 묶어서 제철 밥상을 아침, 점심, 저녁, 도시락과 간식을 차린다. 제철식품 다이어리라고 해서 한눈으로 알아 볼 수 있도록 기록해 놓고 있어 두릅은 언제가 제철인지, 고들빼기는 언제가 제철인지를, 미더덕은 또 언제가 제철인지 등 채소류와 해산물의 제철 시기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되어 도움이 되고 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408/pimg_773483154750796.jpg)
밥상차림은 메인과 반찬거리에 더 올릴 수 있는 것들 해서 간단하게 차려져 있다. 만드법을 설명하는 도중 그때 그때 파란 줄을 그어 알아 두어야 할 사항들을 적어 놓았으며, 하단에도 추가로 알아야 할 사항들을 집어 주고 있다. 그리고 일주일 밥상 플랜이 있어 매 끼니의 식단을 어떻게 짜야하는지에대한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되어 한결 든든하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408/pimg_773483154750797.jpg)
제철 음식을 먹는 것만큼 건강 밥상은 없다. 봄이면 일부러 제철인 쭈꾸미나 쑥을 찾아 먹기도 하지 않던가. 이 책은 바로 그 제철 재료들로 가족들의 건강을 생각한 밥상을 차려내고 있다. 그래서 일부러 건강을 찾아 보양식을 해 먹지 않아도 다만 제철 음식을 차려내는 일만으로도 가능한 건강함의 채움을 가질 수 있게 해주어 감사한 시간이다. 봄 밥상, 여름 밥상, 가을 밥상, 겨울 밥상 그렇게 제철의 음식들을 차리는 것, 어려운 일이 아니다. 시장에 가서 상인들이 파는 그 제철의 재료들을 구입하면 되는 것이다. 이 책을 통해 제철 음식을 차려 가족의 건강을 챙기는 시간은 실속있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408/pimg_773483154750798.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408/pimg_773483154750799.g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