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의 사물
조경란 지음 / 마음산책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 쓰는 일을 사명이자 오락으로 생각하는 이에게 다른 사람의 글을 보고 가만히 있으라는 것은 큰 모욕이다. 절대 저자와 같은 생각을 품을 수 없지만, 그는 어쩔 수 없이 뭐라도 적어야 한다. 소설가가 자신의 삶을 녹여내며 "글쓰기란 이런 것이다", "작가는 이런 사람이야"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데, 어떻게 아무 말 없이 듣고만 있을까? 아직 미완성되었다 해도 저항하는 것이 의무이다. 그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죽는다.


 사물에는 추억이 담겨 있다. 사물은 추억의 주인공이 아니다. 주변 인물들을 비추는 거울일 뿐이다. 지극히 평범한 사물들 틈에서 과거를 하나하나 추려내는 것은 현재를 조금만 희생하면 가능한 일이다. 사물 뒤로 시간과 공간이 함께 움직이고, 사람들이 나타나고, 감각들이 느껴지다가, 마침내 나의 생각이 도착하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그것은 매개체일 뿐이다. 


 책, 들 중 하나를 고르라고 하면 너무 어려운 일이다. 어렸을 때 감명 깊게 읽었던 책이나 내 인생의 책을 고른 뒤, 그 사물에 대해 설명하는 것은 진부하다. 서점에서 헌 책의 냄새를 맡으며 행복한 고민을 했던 기억은 이제 흐릿하다. 그래서 나는 사람들과 함께 읽었던 책을 떠올린다. 선생님 한 분을 탁자 가운데에 모시고 중고등학생 몇몇과 그들의 엄마(아빠는 없었다, 맹세코)들이 책 한 권의 한 부분을 이해하기 위해 다같이 토론했었고, 그 청소년들 사이에 내가 있었다. 당시 나는 꽤 적극적이었고 책의 분야가 무엇이든 간에 그 독서 모임에 참석했다. 어쩌면 선생님에 대한 무조건적인 신뢰 때문이었는지도 모른다. 그때의 경험이 지금의 나를 형성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된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계속될 것만 같았던 5년 간의 수업은 꿈처럼 갑자기 끝났고, 여전히 나는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 나와 함께 가는 것은 오직 『어린 왕자』뿐이다. 1년마다 나는 그를 찾아간다. 아직 어른이 되고 싶지 않기 때문에, 그리고 아직 어른이 무엇인지 모르기 때문에.


 화투, 는 내가 계획한 기억의 파편들 중 일부다. 나는 그 순간을 기록해 놓았다. 2016년 9월 13일, 학교 과방에 모여 동기들과 선배들이 모여 화투 치는 모습을 지켜보았던 나. 나는 여전히 화투 치는 법을 모른다. 만약 알았었다면 그 현장에 나도 참여했으리라. 선후배의 구분 없이, 삶의 고민을 잠시 전부 떨쳐버리고, 오직 화투를 치는 그 순간에만 집중했던 우리의 모습을 나는 기억하고 싶었다. 화투 사진을 컬러로 뽑아 전시해 놓고, 제목은 '20160913'으로, 어떠한 부가 설명도 없이 감상하게 하고 싶었다. 과연 그 사진을 본 이들은 어떤 생각을 할지 너무 궁금했다. 이해할 수 없어 비난하며 지나가거나, 나처럼 사물을 통해 추억 속으로 빠져들거나, 선택은 내가 할 수 없는 것이다.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내가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것이 없다. 그래서 나는 보여준다. 말하지 않는다.

 

 사진, 을 글로 표현할 수는 없다. 그러니 풍경 묘사나 분위기에 대한 설명 따위는 하지 않겠다. 내가 올해에 기억하려는 것은 내 친구가 홀로 앉아 바깥을 바라보는 모습이 찍힌 카카오톡 프로필 사진이다. 별 다른 이유는 없다. 기억하려는 나의 의지만 남아 있다. 글 쓰는 이의 주변인이 되는 것은 어떻게 보면 불편한 일이다. 본인이 원하든, 원하지 않든 기록의 대상이 되어버리니까. 내 친구는 자신의 사진이 언급되고 있는 것을 알까? 알게 되면 좋아할까, 아니면 꺼림칙할까? 하지만 내 주변에 존재하는 이들을 모두 배제할 수는 없다. 때로는 나도 이야깃거리가 되니 그런 식으로 위안을 삼아야 할까? 사물에는 어쩔 수 없이 사람이 묶여 있다. 사물 하나하나에 의미를 부여하느니, 한 사람 한 사람의 흔적을 남기는 일이 더 빠르고 유익하지 않을까 싶다. 우리가 함께 했던 그 순간을 누군가 기억해 주었으면 싶다. 

 글 쓰는 이유가 하나 더 늘었다. 고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