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만나는 북유럽 인테리어]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처음 만나는 북유럽 인테리어
오렌지페이지 출판편집부 엮음, 정연희 옮김 / 아우름(Aurum) / 2011년 6월
품절
나에게 있어 인테리어란 큰 돈을 들여 전문가들이 집을 고쳐 주는 것이란 생각이 이미 자리잡고 있나보다. 수납에 관한 책을 읽으면 따라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기도 하는데, 인테리어 관련 서적을 보면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아니야’ 하고 훑어보기만 하기 때문이다. 인테리어란 섣불리 아무나 하는 것이 아니다 싶었다. 하지만 북유럽 인테리어를 다루고 있는 이 책을 보고 있자니 생각이 조금 바뀐다. 물려받은 가구를 고쳐쓰고, 색을 다시 입히고 해서 다시 쓰는 것은 물론 자신의 개성을 담아 집을, 내방을 꾸미고 있어 배울 점이 많아 보인다.
다른 곳에 비해 우리나라에서는 늦게 주목받은 것이 아닐까 싶다. 자연 소재, 실용적인 면을 강조하는 북유럽 문화가 많이 소개되고 있다. 어차리 유행은 돌고 도는 것이지만, 책으로 만나는 북유럽 인테리어는 짧게 지나가는 유행과 같은 인테리어라기 보다는 길게 호흡하는 문화적인 면을 많이 담고 있는 듯 하다. 가구 하나를 만들어도 유행을 타지 않게 담백하게 만들어 세대를 이어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문화로 자리잡고 있었다.
아예 가구를 만들때부터 오래 사용할 것을 염두에 만든 것처럼, 강렬하거나 번쩍이거나 한 눈에 시선을 사로잡는 디자인보다는 깔끔하고 담백한, 편안한 느낌의 디자인이 많았다. 아무래도 자연에서 모티브를 얻어서인지 익숙한 느낌이 많다. 개미, 곰, 옥수수, 딸기, 나뭇잎, 포도, 여우, 백조 등 동식물의 이미지를 차용해 원단, 벽지, 주방 소품, 의자 등 여러 가지를 만들었다. 그래서 였을까? 조부모님이 쓰시던 물건을 물려받아 쓰고 있는 것을 봐도 오래되고 낡았다는 느낌보다는 편안하고 안락한 느낌을 받는다. 또 그런 물품을 가지고 꾸민 집은 넓지는 않아도 탁트인 기분을 느끼게 하고, 복잡하기 보다는 딱 필요한 가구나 물품이 놓인 실용적인 집으로 탄생한다.
알바 알토, 마리메꼬, 브리오, 무민 가족 등 알고 있는 브랜드와 캐릭터들이 있어 북유럽 스타일은 이제 어느정도 우리나라 대중 속으로 많이 다가와 있었구나 싶다. 내가 알고 있을 정도니 말이다. 북유럽 스타일은 참 소박하고 실용적이었다. 아직은 우리나라에 많은 상품이 들어와 있지 않아 아쉽다. 책에서도 소개된 상품의 구입처로 거의 대부분 일본 사이트를 안내하고 있다.
북유럽의 소박한 인테리어를 소개하고 있지만, 그들의 문화와 특성을 한켠 엿본 것 같아 즐거웠던 책, <처음 만나는 북유럽 인테리어> 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