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과 게]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달과 게 - 제144회 나오키상 수상작
미치오 슈스케 지음, 김은모 옮김 / 북폴리오 / 2011년 3월
평점 :
절판
일본 소설들을 자주 읽는데, 일본의 대표적인 문학상은 모두 휩쓸 정도로 유명 작가라는 “미치오 슈스케(道尾秀介)”는 2011년 나오키상 수상작이라는 <달과 게(원제 月と蟹/북폴리오/2011년 3월)>이 처음이다. 작가를 검색해보니 추리소설로 유명한 작가인지라 처음 이 책의 광고 문구인 "엄마의 남자가 사라지게 해주세요."를 접했을 때는 추리소설이겠구나 하는 생각을 했었다. 그런데 막상 읽어보니 예상과는 전혀 다른 “성장소설”이었다. 그것도 사춘기 소년 소녀들의 심리와 성장과정을 섬세하고도 잔잔하게 그린, 결말에 가서는 긴장감을 불러 일으키는 “묘한” 성장소설이었다.
올해 초등학교 5학년인 열두 살 “신이치”가 가마쿠라시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해변 마을에서 살기 시작한 것은 2년 전 부터였다. 아빠 마사나오가 근무하던 상사가 도산하면서 사택에서 나가야 될 처지가 되자 불편한 다리로 혼자 살고 있는 할아버지 “쇼조”와 같이 살기 위해 이 마을에 내려온 것이다. 아버지는 이사온 후 1년 만에 암으로 돌아가시고 이제 할아버지와 혼자가 된 엄마 “스미에”와 살고 있다. 신이치에게는 간사이 지방 해변마을에서 나고 자라 이사를 온, 그 지방 사투리를 쓰는 “하루야”라는 절친한 친구가 있다. 그런데 이 하루야도 툭하면 술주정뱅이 아버지께 매맞아 온 몸이 멍투성이고 밥을 굶어 배가 홀쭉해지는 가정 폭력에 시달리는 가여운 아이이다. 둘은 방과 후 해변 바위터 그늘에 설치해 놓은, 콜라 페트병을 잘라내 만든 수제통발인 “블랙홀”로 작은 물고기나 새우, 멸치, 소라게를 잡으며 노는 것이 일과다. 같이 어울려 놀던 어느날, 엄마가 낯선 남자와 함께 차에 앉아 있는 모습을 목격하게 되면서 엄마가 다른 남자와 사귄다는 사실에 불편해하지만 속내를 털어놓지 못하고 끙끙 앓는다. 그러던 어느날, 하루야와 동네 산을 올라갔다가 정상 부근에 바람소리가 마치 우는 소리같이 들리는 바위와 조그만 웅덩이를 발견하고 그곳을 자신들만의 비밀기지로 삼아 바다에서 소라게를 잡아다가 키우기로 한다. 같은 반 친구이자 10년 전 할아버지가 몰던 어선의 사고 로 그만 엄마를 여읜 - 신이치 할아버지 쇼조는 다리를 잃고 만다 - 동급생 “나루미”와도 어울리게 되고, 이 세 명은 방과 후 산으로 올라가 자신들이 키우는 소라게를 “소라검님”이라 부르며 불로 지져 소원을 비는 놀이에 열중하게 된다. 신이치는 엄마가 만나는 사람이 바로 나루미의 아빠라는 것을 알게 되지만 내색을 하지 않고 나루미 또한 눈치를 채고 신이치 집에 와서 저녁을 먹게 된다. 자신이 지은 죄는 언젠가는 자신에게 돌아온다는 할아버지의 말에 자신의 어머니도 죄를 지어 돌아가신거냐며 뛰쳐나가는 나루미를 쫓다가 쇼조는 그만 머리를 땅에 부딪혀 두개골에 금이 가는 사고가 발생하여 입원하게 된다. 그런 사실을 나루미에게는 알리지 않은 신이치는 나루미가 가져온 아빠 차 스페어 키를 사용해 나루미 아버지 차에 숨어 들고 엄마와 나루미 아버지의 밀회 장면을 직접 목격하게 된다. 신이치는 결국 소라검님에게 “나루미네 아빠를 이 세상에서 없애 주세요.”라는 무서운 소원을 빌게 된다.
책 중반까지는 상처를 가진 세 명의 사춘기 소년 소녀들의 나누는 우정을 그린 잔잔한 성장소설로 읽히다가 말미에 가서는 빌지 말아야 할 금단(禁斷)의 소원을 빌고서도 한 편으로는 그 소원이 이뤄지는 것을 막기 위해 나루미 아버지 차로 신이치가 뛰어드는 장면에서는 비극적인 결말을 맺는 것이 아닌가 싶어 긴장케 만들더니, 결국 결말은 성장소설 특유의 해피엔딩으로 마무리한다. 결국 뱃속에 이상한 것을 키우지 말라는 할아버지 말처럼 어린아이 특유의 순수함이 아닌 미움과 증오를 품게 되지만 결국 스스로 그런 마음을 버리고 마는 신이치 뿐만 아니라 하루야, 나루미 세 명 모두는 비슷한 아픔을 겪게 된다.
껍데기를 짊어지믄 어느 정도 안전할지도 모르지만 대신에 전혀 헤엄 몬 친다 아이가. - P.352
라는 하루야의 말처럼 소라 껍데기는 어른이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벗어버려야 하는 유년의 상징인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이 세 명의 아이들은 자연스럽게 벗어던지지 못하고 불로 달궈지는 껍데기처럼 숙명과도 같은 자신들의 상처로 인해 어쩔 수 없이 벗게 된다. 그러다 보니 “소라 껍데기”라는 보호의 상징을 벗어버리게 되는 과정이 너무나도 아프고 쓰라리기만 하다. 결국 껍데기를 벗어나 말라 죽어버리는 소라게처럼 고통스런 “성장통(成長痛)”을 겪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작가가 아이들의 성장통을 그리는 방법이 결코 아름답지만은 않다. 소라게를 불로 지지는 놀이가 일견 잔인해 보일 수 도 있지만 어린 시절 시골이나 바닷가에서 살아본 사람이라면 비슷한 놀이 - 개구리 뒷다리만 떼 내고 풀어주기, 잠자리 날개 떼기 등등 - 를 경험해본 지라 그렇게까지 눈살을 찌푸리지는 않지만, 하루야가 친구의 소원을 들어주기 위해 아버지에게 대들어 팔이 부러지는 사고를 당하거나 자신을 학대하는 아버지에게 칼을 들고 덤비는 장면, 나루미 아버지 차에 칼을 들고 몰래 숨어드는 장면 - 물론 그게 하루야인지는 명확하게 밝히지는 않지만 - 들은 이해하기 어려운, 섬뜩함마저 느껴지는 그런 설정이라 할 수 있겠다. “유년시절을 서정적으로만 그려낸 작품이 아닌 만만치 않은 작품이다”라는 어느 일본 작가의 감상평이 제격이었다고 할까?
아쉽게도 난 이 책에서 성장소설 특유의 감동을 느끼는 데는 실패했음을, 결코 편히 읽히는 책은 아니었음을 밝혀둬야겠다. 그러나 많은 독자들이 감동적이었다고 평하는 것을 보면 이 작품의 완성도를 탓할 것이 아니라 이 책을 제대로 읽어내지 못한 나를 탓하는 것이 맞을 것 같다. 미치오 슈스케, 이 책 한 권 밖에 읽어보지 못했지만 독특한 느낌의 작가로 기억될 것 같다. 그를 유명하게 만든 전작 "추리소설"들을 읽어봐야겠다.